가정의 화목을 가져오는 식탁의 풍수학
집안에서 식사 시 가장 중요한 가구는 역시 식탁일 것이다. 고대에는 각자의 식탁에서 각자 식사를 하였기 때문에 식탁이 가볍고 작았지만, 현재의 식탁은 크고 무거워져서 사람들을 한데 모아 식사하게 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때문에 풍수학에서는 식탁이 가정의 원만함, 부부간의 화목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여긴다. 아래에 식탁과 관련된 열가지의 주의 항목들을 소개한다.
1. 원형 혹은 사각형의 식탁을 골라라
중국은 전통적으로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우주관을 갖고 있기에 일상용품의 형상도 원형이나 사각형 위주이다. 전통 식탁이 그 전형적인 예로 둥그런 식탁은 일가족의 단합과 화목을 상징하였다.
작은 사각형 식탁은 4명이 앉을 수 있으므로 사선탁(四仙卓)이라 부르고, 큰 사각형 식탁은 8명이 앉을 수 있으므로 팔선탁(八仙卓)이라 부르는데, 이것이 팔선(八仙)의 모임을 상징하여 길하다. 또한 안정적인 사각형은 공평과 중후를 상징한다.
식탁의 형태도 식사 분위기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원형의 나무식탁이나 정사각형 식탁은 식구가 적을 때 적합하고, 직사각형 식탁은 식구가 많을 때 적합하다.
2. 식탁 재질에도 신경 써야
식탁은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리 등을 까는 경우가 많은데 차가운 재질로만 이루어진 식탁은 식사 후에 생겨난 인체의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식사하며 가족간에 이야기를 나눌 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차가운 재질 대신 다양한 재질이 혼합되어 있으면 가족이 함께 있을 때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3. 식탁 모서리는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
날카로운 모서리는 작을수록 더욱 날카롭고, 살상력도 크기 때문에 풍수학에서는 이를 금기시한다. 삼각형의 식탁은 가정의 화목과 식구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식탁에 돌기처럼 튀어나온 모서리가 있으면 재물이 밖으로 새게 된다. 즉, 식탁은 원형이나 정방형이 가장 좋다.
4. 식탁 위 천장은 평평해야
식탁 위의 천장은 평평해야 좋다. 만약 식탁 위에 대들보가 있거나 계단 밑에 식탁을 놓으면 가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대들보가 머리 위에 있는 것은 풍수에서 큰 금기사항으로 불길하게 여겨진다. 특히 침대나 소파, 식탁 등의 위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5. 식탁을 대문에 곧바로 향하게 하지 마라
식탁과 대문이 일직선을 이루고 있으면 문 밖에서 온 가족이 식사하는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풍수학적으로 원기가 새어나간다고 한다. 이러한 배치는 피하는 것이 좋다.
6. 식탁을 화장실 바로 앞에 두는 것도 금해야
화장실은 풍수학적으로 더러움이 나오는 불결한 곳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화장실은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있을수록 좋은데, 만약 식탁이 화장실을 곧바로 향하고 있다면 가족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니 식탁을 다른 곳으로 옮겨놓는 것이 좋다.
7. 양초모양 펜던트 등 피해라
길이가 서로 다른 흰 양초들을 식탁 중앙에 놓으면 매우 불길하다. 이는 양초가 장례를 상징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양초를 일가족이 함께 식사하는 식탁에 올리는 것은 불길하다. 그러므로 양초 모양으로 생긴 펜던트 등도 식탁 위에 두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러나 흰 색 외에 다른 색깔이라면 상관없다.
8. 신이나 조상을 모시는 곳과 식탁을 마주놓지 마라
집안에 신이나 불상, 조상을 모시는 곳이 있다면 이런 장소는 식탁과 떨어뜨려야 한다. 특히 관음보살 등 살생과 육식을 금하는 불상을 모시고 있다면 생선이나 고기를 올리는 식탁에서 멀리 두는 것이 도리일 것이다.
9. 너무 큰 식탁은 좋지 않아
과시를 위해 일부러 큰 식탁을 집에 놓는 경우가 있다. 큰 식탁 자체는 문제가 안되나 이 경우 식탁과 그 공간 사이의 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좁은 공간에 너무 큰 식탁을 들여놓으면 드나들기 불편할 뿐 아니라 풍수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10. 식탁을 복잡한 문 앞이나 통로에 두지 말아야
식탁은 온 가족이 모여 함께 식사를 하는 곳이므로 조용하고 안정된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편안하게 식사할 수 있다. 만약 식탁이 사람이 많이 드나드는 문 바로 앞이나 통로에 위치하면 풍수적으로도 나쁘고 가족들의 식사 분위기도 망칠 수 있다. 이런 상황은 마치 몸이 소용돌이 한가운데에 놓여진 것과 같아 온몸이 상쾌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배치를 바꾸는 것이 좋다.
'풍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복 없다는 사람을 위한 7가지 처방전 (0) | 2010.04.18 |
---|---|
집안에 두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물 (0) | 2010.04.09 |
남편을 꽉 잡아둘 수 있는 집안 풍수 (0) | 2010.04.08 |
꼭 알아두어야 할 침실 배치의 13가지 금기 (0) | 2010.04.08 |
집에 그림 걸어놓을때 알아두면 좋은 몇가지 (0) | 201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