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위
* 급체 急滯, 구체 久滯, 적괴 積塊
* 중독 中毒
* 위산과다 胃酸過多
* 위궤양 胃潰瘍
* 위암 胃癌
* 위통 胃痛
* 위확장 胃擴張
* 위를 튼튼히 하는법
* 위장병(胃腸病)
* 토사(吐瀉), 곽란(藿亂)
* 식중독(食中毒)
* 위 胃에 관한 병
(1) 청주의 숙취에 무우즙
숙취로 기분이 나쁠때나 술에 곤드레가 되었을 때 머리와 가슴을 젖은 수건으로 식혀 주면서 될 수 있는 대로 메운 무우로 즙을 내어 다량을 먹인다.
(2) 맥주의 숙취에는 대나무잎
맥주를 과음했을 때는 대나무잎 12 - 13장을 포개어 잘게 썰어서 물 3홉으로 반쯤이 되게 달인 것을 하루동안에 몇차례에 나누어 마신다.
(3) 숙취에는 검은콩
검은콩 1홉에 물 3홉을 붓고 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동안에 몇차례 마시도록 하면 속이 풀닌다. 또 수삼(水蔘)을 달인 물을 마시면 가장 속이 편해진다.
(4) 감이나 녹차
숙취에 감을 먹거나 진한 녹차를 마시면 속이 차츰 풀린다.
(5) 숙취(宿醉)에 팥물
간을 넣지 않고 푹 삶은 팥물을 많이 마시면 곧 토기(吐氣)도 멎고 숙취도 낫는다. 팥에는 해독 작용이 있는 것이다.
1.해주(解酒)에 갈화(葛花) : 칡꽃을 많이 따다 말려 두었다가 3g씩 끓는 물에 우려 마시면 이상적인 해주법이 된다. 향기롭고 맛도 좋다.
2.주독(酒毒)과 단주(斷酒)에 기구(機構) : 한약방에서 기구를 구해 10 - 15g을 2홉의 물로 달여 한 홉이 되면 두 번에 나누어 마신다. 모국(某國)에서는 거국적으로 이 기구를 채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1) 급체한 식품과 동종의 식품의 흑소분(黑燒粉)
식체(食滯)로 가슴이 답답하고 대변불통인 경우에는 그 체한 식품과 동종의 식품에 약간에 소금을 섞어 뭉쳐 밀폐된 그릇속에서 태워 그 가루를 한숟가락 술이나 귤껍질 끓인 물로 먹는다. 가장 온건하며 효과적인 방법이다.
(2) 피마자기름과 우유
어떠한 식체이든 피마자기름과 우유를 반반 섞어 펄펄 끓이고 설탕을 약간 섞어 식은 후에 마시면 쑥 내려간다.
(3) 밀가루 음식에 체하면 당근즙
오래된 것도 당근을 강판에 갈아 그 생즙을 큰주발로 하나 마시면 낫는다. 한번에 안되면 몇일 되풀이 하면 근치된다.
(4) 생선에 체하면 산사(山査)
생선고기를 먹고 체한 경우에는 산사를 밀폐된 그릇속에 넣고 불로 달구어 태워 그 가루를 몇번 먹으면 낫는다. 먹는 양은 한번에 한숟가락.
(5) 쇠고기에 체한데는 볏짚
쇠고기를 먹고 체하여 구체가 된 경우에는 마른 볏짚을 한 줌 진하게 다려 덥게 마시면 시원하게 뚫린다. 한번에 안되면 여러번 되풀이 한다.
* 임시 체한데는 배를 강판에 갈아 그 즙을 한대접 마셔도 쑥 내려간다.
(6) 양고기 체한데는 밤껍데기
양고기로 구체가 된 경우에는 밤 껍데기를 끓여 그 국물을 마시면 직효를 본다고 한다.
1. 과음 인사 불성에 양조 식초 : 양조 식초를 양주잔 하나 정도 삼키게 하면 곧 정신이 든다 (이는 옛 미국병사의 술깨는 비방이었다. 물과 꿀을 약간 섞는 것도 좋다. 반드시 양조 식초).
2. 식도(食道)에서 밥이 잘 안 내려갈 때 : 우유 한홉에 부추 생즙 한숟갈. 무우 생즙 한숟갈, 배 생즙 한 숟갈, 생강즙 한 숟갈을 섞어 끓여 마신다.
(7) 계란에 체하면 식초
좋은 양조식초를 마신다. 단번에 안되면 몇번 마시면 낫는다.
(8) 오리알에 체한데는 찹쌀뜨물
진한 찹쌀뜨물을 끓여 넙게 하여 한대접 마시면 쑥 내려간다. 한번에 안되면 몇번한다.
(9) 콩(두부)에 체한데는 무우즙
콩 또는 콩으로 만든 음식에 체하면 무우를 강판에 갈아 그즙을 한대접 마신다. 단번에 안되면 2, 3차 한다. 반드시 낫는다.
(10) 참외에 체하면 그껍질
참외뿐만 아니라 수박, 물오이등에 체했을 때는 그 식품의 껍질을 푹 끓여 국물을 마시면 쑥 내려간다.
(11) 주체(酒滯)에 닭멀떠구니
닭멀떠구니(닭의 밥통 : 溪內金이라 함)를 말린 것에 같은 양의 갈분(葛粉)을 섞어 가루로 하여 쪄서 환을 지어 술로 먹는다. 환의 크기는 오동나무씨 정도이며 50알씩 먹는다. 오래된 주체도 근치된다.
(12) 부괴(부塊)에 웅황(雄黃)과 백반
배속에 딴딴한 덩어리가 생긴 경우에는 웅황과 백반을 각각 1량(兩) 합쳐 가루로 하여 한다음 밀가루에 반죽하여 걸죽하게 고약처럼 개어 환부에 붙인다. 좀 두텁게 한다. 몇번이고 갈아붙이면 반드시 효과를 본다.
(13) 과음으로 인사불성이 된데에 두부
술을 너무 마셔 죽음 일보 직전에 있는 경우에는 먼저 머리를 풀어헤치게 한다음 냉수에 담그고 옷을 벗겨 두부를 온몸에 붙였다가 잠시후에 갈아 붙인다. 몇번 하면 반드시 깨어난다. 단 겨울철 추운곳에서는 이 방법을 쓰지 말 것.
1. 주체에 자주 쓴풀 : 제주도를 비롯하여 우리 나라들에 흔히 있는 이 풀을 진하게 달여 마시면 5분도 안되어 위의 내용물을 깨긋이 토하게 되어 거뜬해진다.
2. 급체에는 토하라 : 참외꼭지를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하고 그와 같은 분량의 팥가루를 섞어 종이통으로 목구멍에 불어 넣으면 즉시 토한다 (吐法은 한방의 3대 치료법의 하나다).
음식물에 의한 중독은 이를 중화하거나 해소하는 방법을 쓰는 것이 보통이고 중독 중세의 초기에는 토해버리는 것이 상책이다.
독물에 중독했을 때는 그릇이나 남은 것을 조사하여 독물의 종류를 알아내어 이에 대한 조치를 한다. 독물중독은 모든 것에 앞서 위속의 것을 토해 내게 하고 물을 먹여서 몇번이고 씻어내고는 의사에게 달려가도록 한다.
(1) 쥐약에는 감물
쥐약은 대부분 그 성분이 아비산(亞砒酸)이기 때문에 감물을 소주잔에 한잔 정도를 먹이고 난 다음 위속의 것을 토해 내게 한다. 감물은 먹기 힘드는 것이나 강제로라도 입을 벌리고 먹이도록 한다.
(2) 쥐약의 중독에 계란흰자
쥐약을 먹은 것이 판명되면 달걀 5-6개의 흰자만을 먹이고 난 다음 손가락으로 목구멍을 자극하여 위속의 독물을 토하게 한다. 의사가 올 때까지 몇차례고 되풀이 하도록 한다. 쥐약의 중독에는 다른 중독의 경우에 먹이는 우유와 피마자기름을 먹여서는 안된다.
(3) 석탄산의 중독
우유, 소다수, 중조수 등을 몇홉이고 먹여서 강한 산성을 중화시킨 다음 목구멍에 손가락을 넣어 토하게 한다.
1. 아편을 잘못 먹어 까무러친데 : 아직 몸이 부드러우면 빨리 오리의 생피를 많이 삼키게 하면 신효를 본다. 이때 햇빛을 보이면 안된다 (중국 단방) * 즉시 의사를 부를 것.
2. 아편독에 목화꽃 : 목화꽃을 태운 가루를 고운 소금과 3대1의 비율로 섞어 20그램을 물 반 대접에 타서 단번에 마신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마심. * 이것은 목화꽃의 성분 연구를 위해 소개했다.
(4) 가스중독
환자를 실외로 옮겨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게 하면서 인공호흡을 시키는 한편 무우를 강판에 갈아 즙을 내어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먹이고 의사에게 달려간다.
(5) 산성중독의 구별
산성이 강한 약물 중에서 일반적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은 황산, 염산, 질산 등이다. 이것들을 마시면 입, 목구멍, 밥줄, 위, 장의 내부가 헐어서 출혈을 하게 된다. 환자의 입속을 들여다 보면 황산의 경우 입속이 검게 헐고, 질산의 경우에는 노란색, 염산은 흰색으로 보인다 입가장자리에 흑갈색의 변화가 보이는 것은 황산중독이다. 석탄산의 중독은 입속의 헐은 자리가 회고 오줌이 검은 것이 특징이다.
(6) 육류의 중독
쇠고기국을 먹고 체 했을 때는 배를 깎아서 먹고 껍질과 속을 따로 2홉의 물로 달여서 반이 된 것을 복용한다.
보신탕에 체했을 때는 쌀구씨(杏仁)를 2개 2홉의 물로 달여서 반이 되면 이를 복용한다.
(7) 조개의 중독에는 참기름
질이 좋은 참기름을 소주잔 한잔정도를 마시는 것이 좋다.
(8) 생선의 중독에는 남천의 잎
남천의 새잎을 소금으로 비벼서 즙을 짠다. 남천의 잎은 수분이 적은 식물이기 때문에 좀 넉넉히 모아서 짠다. 이 즙을 조금만 먹어도 중독을 막을 수가 있다. 생선이 변하지 않았나 하고 의심스러운 때도 중독하기 전에 미리 먹어두는 것도 좋다.
1. 비상 중독에 방풍(防風) : 방풍 600g을 진하게 달여 냉수에 타서 배속의 독을 다 토해 낼 때까지 자꾸 마시게 한다. 물론 병원에 빨리 연락해야 함.
2. 비상독에 오동나무 기름 : 생동유를 찻잔으로 두 잔 강제로 삼키게해서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9) 다랑어, 고등어의 중독
대왕풀(紫蘭 : 한방에서는 백급(白汲)이라 한다)의 새잎을 달여서 마신다.
(10) 생선의 중독
머위의 줄기를 찧어서 즙을 내어 1-2시간마다 조금씩 1-4회 마시면 위속의 것을 모조리 토하게 된다.
(11) 새우나 게의 중독
시우나 게가 변한 것을 먹으면 목숨을 잃는 일이 있는 무서운 중독이다. 연뿌리를 강판에 갈아서 그 즙을 짜서 컵 한잔 정도를 1-4시간마다 마시도록 한다. 중독을 일으킨 게나 새우의 껍질을 버리지 말고 이것을 검게 구어서 가루를 내어 차숟갈 하나 정도를 하루에 1번씩 먹으면 거뜬해진다.
(12) 고등어의 중독
흑설탕을 핥는 것도 효과가 있으나 벚나무 껍질을 깎아서 한줌을 1홉의 물로 달여서 반량으로 줄었을 때 2-3번에 나누어 마신다. 이것은 다른 생선의 중독에도 잘 듣는다. 벚꽃을 소금에 절여 두었던 것을 더운 물에 타서 마시면 기분이 상쾌해진다.
(13) 식중독에 매실약
매실약을 성냥개비의 머리 두개 정도, 어린이는 하나정도를 물과 함께 먹으면 대부분의 식중독은 낫는다.
매실약은 매실의 씨가 겨우 굳어졌을 무렵 아직 퍼런 것을 강판에 갈아서 질솥에 넣고 약한 불에 장시간 조린다. 검게 변하여 질척할 때까지 조려서 만들어 둔다.
또 진한 소금물이나 진한 중조수를 한컵 마셔도 대개의 식중독은 곧 토하게 되어 낫게 된다.
1. 납중독 : 연분(鉛粉)의 중독에는 꿀을 참기름에 개어 물엿처럼 만들어 마시면 해독된다. 또 무우즙을 자주 마시게 한다. * 어디까지나 구급방법이다. 그러나 꿀을 매일 먹고 있으면 무서운 납중독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유황중독 : 산등의 생피(生血)를 더울 때 한 대접 마시면 즉시 해독된다. * 즉시 의사에 가야 한다.
(14) 참외의 중독에 오징어
참외를 과하게 먹으면 소화불량으로 인해 심한 구토와 설사를 일으킨다. 이때는 오징어를 구워서 먹으면 참외의 소화를 도우게 된다.
(15) 게의 중독에 자소(紫蘇 : 자조기)의 잎
미국의 대통령 중에 게를 먹고 죽은 예가 있을 정도로 썩은 게는 맹독성을 지닌다. 자소의 잎 한줌을 한홉의 물로 반으로 달여서 먹인다. 증세가 무거운 때는 곧 의사에게 달려간다.
(16) 문어의 중독에는 청각채
청각채를 더운 물에 녹여서 조금씩 자주 먹이면 낫는다. 청각채에는 문어의 독을 둘러 싸서 배출시키는 성분이 있다.
(17) 버섯의 중독에 금
금반지를 한홉의 물로 15분간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버섯의 독이 없어진다.
또는 생강을 강판에 갈아서 즙을 짜내어 소주잔에 반 정도를 마시면 된다.
(18) 버섯의 중독에 감초
감초는 독성르 감소키는 힘이 있기 때문에 감초 5돈을 3홉의 물로 달여서 이것을 하루만에 다 마시면 위험사태에 빠지는 일은 없다.
1. 파두중독(巴豆中毒) : 잘못해서 파두를 먹어 중독되었을 때는 대황(大黃)과 황련(黃連)을 달여 마시면 직효, 또 날 파초잎을 찧어 생즙을 마셔도 직효.
2. 육류(肉類)의 중독 : 말고기 중독에는 사람의 젖, 양고기 중독에는 밤 껍질을 진하게 달여 마심. 감초도 좋음, 돼지고기 중독에는 흰설탕 40g을 끓여 마신다.
(19) 송이의 중독에는 산흙
송이의 요리를 많이 먹고 중독증을 일으켜 복통이 심한 때가 있다. 이때는 산흙을 한줌 먹으면 복통이 차츰 살아지고 이튿날에는 거뜬해진다. 산흙은 오랜 풍화 작용으로 정화(淨化)작용이 증가되어 있다고 한다.
(1) 황련(黃連)
황련(혹은 깽깽이풀이라고도 한다) 잘게 썰어서 작은 술잔에 1잔정도를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되게 하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혹은 가루를 내어 하루에 1돈을 3번에 나누어 복용하여도 효험에는 변함이 없다.
(2) 결명자(決明子)
결명자와 이질풀을 각 5돈씩 4홉의 물로 3홉이 되게 달여서 하루에 여러차례 차대신 복용한다. 상당한 중증일지라도 계속해서 복용하면 뚜렷한 효험을 본다. 증세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결명자만을 달여서 복용하여도 된다.
결명자는 소화약이 아니고 위장의 기능을 조정하는 힘이 있어 변비는 살아지고 복통이 멎는다. 결명자는 독기를 없애고 살균력이 있으며 창자내의 이상발효나 자가중독을 없애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설사가 날 때는 결명자는 중단하도록 한다.
결명자는 병세가 중증일 때는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 효과가 빠르고 평소에 차대신에 복용할 때는 약간 묽게 달이거나 재탕, 삼탕을 마셔도 좋다.
(1) 인삼과 생강
인삼 1돈에 생강을 검게 볶아서 5푼을 섞어 2홉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1. 위산과다에 쑥 계란 : 진물을 토하여 위가 아픈 증세에는 쑥잎 80g, 계란 600g을 세 사발로 반이 되게 끓인 다음, 계란 껍질을 버리고 다시 끓여 국물이 없어지면 매일 계란 1,2개를 덥게 해서 점심 때에 먹는다. 2-3근이면 근치된다고 한다. * 실로 묘방이다.
2. 명약(名藥) 오패산(烏貝散) : 어떠한 위산 과다중이든 오징어의 뼈가루 80g과 패모(貝母) 16g을 합쳐 곱게 가루로 내어, 식사후마다 4g씩 마음으로 먹는다. 계속하면 근치한다(中). * 이 오패산은 위궤양의 명약이기도 한다.
(2) 드릅나무의 뿌리
드릅나무(깊은 산의 것일수록 좋다)의 뿌리를 파내서 두꺼운 껍질을 벗겨 이 껍질만을 썰어서 2-3일동안 말린다. 하루양으로 껍질 3돈, 감초를 약간 섞어서 4홉의 물로 2.5홉이 되게 달여서 3-4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구역질을 느끼는 수도 있기 때문에 식사와 식사의 중간에 복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또 먹기에 편하도록 식혀서 복용하는 것도 좋다. 이것은 위암에도 효력이 있다.
(3) 번행초(蕃杏草)
바닷가에 자라는 번행초를 그늘에서 말려 한줌을 물로 달여 마시면 위암(胃癌)의 예방과 치료에 효력이 매우 크다.
(4) 저당환(抵當丸)
거머리, 등에(말파리), 쥐며느리(이상 말린 것), 도인(桃仁) 각 10돈, 당대황(唐大黃) 40돈, 꿀 30돈, 쌀풀 7돈을 섞어 환약을 만든다. 거머리, 등에, 쥐며느리는 아주 잘게 썰고, 도인, 당대황은 가루로 하고 꿀과 쌀풀로 반죽하여 환을 만든다 (환의 지름 3밀리) 이것은 20일 양이며 매일 식후마다 1-2돈정도를 복용한다.
1. 후추와 용뇌향 : 어떠한 방법으로도 잘낫지 않는 위궤양(통증이 심한) 에는, 후추7알과 용뇌향(龍腦香) 2g을 섞어 곱게 가루로 해서 위통(胃通)이 발작할 때 더운 물로 먹는다. 이것이 1회분이다. 수많은 사람이 이것으로 고쳤다고 한다. * 삼칠 지통산(三七止痛散)이라는 명약이다.
2. 주의 : 등나무의 흑을 잘게 썰어 그것만을 20g 가량씩 달여 마셔도 좋다. 등나무 고목(古木)의 밑동에 생기는데, 새 것이 듣는다.
(1) 번행초(蕃杏草)
바닷가에 자라는 번행초는 시금치와 같은 성분을 지니고 있다. 들나무로서도 데쳐서 반찬으로 흔히 먹는 풀이나 번행초를 그늘에서 말려 한줌을 2-3홉의 물로 달여서 마시면 위장을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위암의 예방에 효력이 매우 크다.
(2) 잉어찜
청주 한되를 철솔에 붓고 끓여 여기에 잉어(30센티정도)를 산채로 도막을 내지 말고 넣는다.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조리되 불을 약하게 하고는 뒤섞어 주면서 연한 갈색이 될 때까지 계속한다(약 6시간 걸린다) 이때 잘못하면 기름이 쓰며 나와서 떡이 되어 버리면 쓰지 못한 이것을 식전에 세손가락으로 한줌씩 하루3번 먹는다. 잉어 한 마리이면 1주일량이 되므로 1-1.5개월을 계속하여 복용하도록 한다.
(3) 등나무의 흑
등나무 줄기에 생긴 흑과 드릅나무뿌리의 껍질을 그늘에 말려서 잘게 부수어 이것을 섞어 적당한 양을 달여서 복용하면 어느덧 낫게 된다. 위궤양에도 효험이 있다.
(4) 마름의 열매
마름의 열매 한 줌을 3홉의 물로 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에 몇차례씩 차대신에 복용하면 2주일 이후에는 고통이 휠씬 적어지고 식용이 나아지면서 2-3개월만에 정상적인 건강을 회복할수가 있다.
1. 위에 매화(梅花) 버섯 : 버섯 중에도 매화나무에 열리는 버섯이 제일 잘 듣는다. 잘게 썰어 15그램을 진하게 달여 매일 장복하면 효과를 본다고 한다. * 생나무 것이 좋으나 마른 나무의 버섯도 좋다.
2. 위암에 질경이 갯완두 : 질경이(車前이라고도 함)의 잎과 줄기 말린것 10g, 갯완두의 잎, 줄기 5g, 감초 2g을 함께 진하게 달여 마시면 좋다. 실제로 고친 사람이 있다고 한다. * 갯완두는 독하므로 양을 지나치지 말것.
(1) 위의 토혈(吐血)에 연뿌리 (蓮根)
위에서 피를 토할 겨우(선명한 피를 토한다) 지체없이 연뿌리를 강판에 갈아서 작은 술잔에 한 잔씩을 자주 먹도록 하면 신통하게 효력이 나타난다.
(2) 개자떡 찜질
급성적인 복통(위통)에는 매운 개자가루를 따뜻한 물로 흐르지 않을 정도로 질퍽하게 반죽하여 종이에 붓고 (두께 2-4밀리) 위에 종이를 덮는다. 이것을 배에 붙이고 (배꼽과 염통은 피한다) 10-15분간 두었다가 피부가 벌겋게 되면 들어낸다. 그 자리를 뜨거운 물에 수건을 짜서 덮고 뜨거운 물을 얼음주머니에 3분의 1정도 넣은 것으로 찜질한다.
(3) 복령(茯笭)과 계피(桂皮)
뚜렷한 원인도 없이 위에 고통을 느낄 경우에는 복령, 계피, 대추 각 1돈과 감초 4푼을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되게 하여 고통을 느낄 때에 마시면 진통이 되고 차츰 위통을 일으키는 회수가 적어진다. 위경련과 같은 위통에도 뚜렷한 효력을 볼수가 있다.
(4) 계피(桂皮)와 지실
계피 1.5돈, 지실(탱자를 말린 것) 5푼, 생강 약간을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되게하여 위통이 났을 때 마시면 쉽게 갈아 앉는다.
1. 위통에 자주쓴풀 : 잘게 썬풀 15g을 4홉의 소주에 넣어 10일 지난뒤에, 소주잔 박씩을 같은 양의 물에 타서 하루 한 번 마신다.
2. 생강가루 : 생강을 말려 가루로 해두고 차숟깔의 1/2정도를 물로 먹는다.
3. 숯가루 : 배의 "개스"는 목탄(木炭 : 활성탄이어야 함) 가루를 한 숟깔 풀로 삼키면 곧 없어진다(美), * 숯가루가 "개스"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 활성탄의 가루에는 독이 없다.
(5) 감초
구토증이 나면서 심한 위통을 일으켰을 때는 감초 3돈을 1홉의 물로 달여서 식기전에 30분 간격으로 두번에 나누어 복용하면 위통과 구역증이 함께 살아진다.
(6) 위경련에 센나
센나 한 줌을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된것을 차대신에 마시면 발작이 곧 멎게 되고 평소에 복용하면 차츰 위경련을 일으키는 회수가 적어지면서 마침내 근치를 볼 수가 있다.
(7) 위경련에 방동사니
방동사니를 그늘에 말리거나 그대로 잘게 썰어 한줌을 3홉의 물로 달여서 하루에도 몇번이고 차대신에 1-2개월 계속하여 복용하면 전연 위경련을 일으키지 않는다.
(1) 백금과 복령
백금과 복령을 각 2돈씩 2홉의 물로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2) 매실(梅實)과 감초
완숙되기 전의 매실을 강판에 갈아서 볕에 말린다. 고약처럼 되었을 때 이와 같은 양의 감초를 잘 섞어 두고는 하루에 한번 차숟갈 하나정도를 먹는다.
1. 엿기름 가루 : 배가 "개스"등으로 더부룩한 때는 엿기름(보리의 싹을 말린 것) 가루를 식사 30분 전에 차숟깔 하나씩 먹는다.
2. ?꽃 : 들에 흔히 있는 ?꽃 15g을 두 홉의 물로 반이 되게 달여 두 번에 마신다. 이렇게 계속하면 잘 듣는다.
3. 가지 꼭지 : 가지 꼭지를 밀폐된 그릇 속에서 숯처럼 태워, 그 가루를 차 숟갈 1/2씩 물로 먹는다. 특히 생선, 버섯 중독에 의한 위통에 잘 듣는다.
4. 주의 : 여기의 위통은 위궤양, 위암과 같은 것 이외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
(3) 간연어
소금에 저린 연어의 머리를 질솥에 넣고 장시간 구우면 검게 익는다. 이것을 가루로 만들고 이의 반정도의 굴껍질(해산물인 굴의 껍질)을 절구에 빨아서 가루를 내어 섞는다. 하루 3회 1회에 1돈씩을 복용한다.
(4) 만성 위장병에 생강
생강을 볶아서 다시 물로 끓인 다음 설탕을 넣어 차대신에 복용하여 1-2주일 동안 계속한다.
(5) 악화된 만성위장병에 결명자
혀에 백태(白苔)가 끼고 음식물이 목구멍을 넘어가지 못할 정도의 중태일 때는 의사의 치료를 받는 한편 결명자를 진하게 달여서 입에 먹음도록 하면 한참 동안에 저절로 물이 목구멍을 넘어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계속해서 복용하도록 하면 병의 경과가 빠르다.
(1) 사프란
사프란의 암술 몇 개를 컵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다. 이것을 계속해서 마시면 위를 튼튼하게 하므로 평소에 꽃분에 심어 놓고 감상을 겸하여 건위제로 스면 일거양득이다.
(2) 당약 (當藥)
당약은 원래 위병의 묘약으로 말려진 것이나 만큼 10-15개를 달여서 먹도록 한다.
1. 신경성 위통에 귀의 위점(胃點) : 양쪽 귀 중 눌러서 아픈 곳에, 침을 놓거나 손으로 꼭 눌러 "따끔"하게 아픈 느낌이 나게 하면 잘 듣는다. * 귀의 위점을 자극하는 것이다.
2. 좁살 끓인 물 : 위를 튼튼히 하는데 좁쌀 20g을 달여서 마신다. 또 인절미를 식사대신 한 두개씩 구워 먹으면 위가 좋아진다.
(3) 머위의 징다리
머위의 장다리를 세로로 쪼개어 숯불에 살짝 굽는다. 이것을 잘게 썰어서 된장과 양념을 하여 먹도록 한다.
(4) 민들레
꽃이 피기 전에 뿌리채 파내어 물로 깨끗이 씻어서 볕에 말린 다음 잘게 썰어서 하루에 2돈을 1.5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된 것을 복용하면 건위의 뇨제로 매우 효험이 있다.
{중구단방(中國丹方)}
(1) 위가 졸지에 몹시 아플때
딴방법으로 안 들으면 아조(牙조)를 밀폐된 곳에서 태워 숫처럼되면 가루로하여 소주에 개여 1돈 가량 먹으면 잘듣는다.[
(2) 위부 (胃部)에서 옆구리까지 아픈데
즉 위완협통에는 생부추의 즙을 내어 큰 맥주컵 하나 정도를 마시면 멎는다.
출처 : | Sky | ||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 ,콩 (0) | 2008.06.08 |
---|---|
외상 (0) | 2008.06.08 |
민간요법 (0) | 2008.06.08 |
시력이 좋아지는 민간비법 (0) | 2008.06.08 |
감기다 싶으면 콩나물약 (0) | 200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