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최참판댁 입구의 안내도
- ↓2. 마치 여각(옛날 여관) 같이 길게 이어진 행랑채의 바깥 모습
- ↓3.최참판댁의 얼굴인 솟을대문
- ↓4. 대문 오른쪽의 곳간
- ↓5. 안마당 한쪽의 멍석들(각종 잔치나 곡식등을 말릴때 사용)
- ↓ 6. 농번기때 수로보다 높은곳의 논에 물을 퍼올리는 도구
- ↓ 7. 안채 오른쪽에 있는 별당 (여기가 바로 서희가 살던 곳)
- ↓ 8. 별당의 마루에 있는 안내문
- ↓ 9.별당도 이와 같이 누각형태로 지어져있어 넓은 악양벌판을 내려다 볼 수 있습니다
- ↓10. 바로 앞에는 조그만 연못도 조성되어 있지요
- ↓11. 별당 뒤에는 담장에 조그만 수구문?을 만들어 뒷산의 물이 흘러 들어 옵니다
- ↓ 12. 여기가 안주인이 거처하는 안채 입니다
- ↓13. 안채의 안방
- ↓14. 안채의 부엌
- ↓15. 안채 부엌의 부뚜막
- ↓ 16. 안채 뒤에 있는 장독대
- ↓ 17. 안채의 굴뚝
- ↓ 18. 바깥 주인이 거주하는 사랑채 / 선비가 거주하는 집에서 심었다는 회화나무 밑에서 촬영
- ↓19. 사랑채에도 누각 형태가 있습니다
- ↓20. 내부 모습 / 세트가 아니라 두꺼운 목재로 지어진 한옥 입니다
- ↓21. 마당에는 양반집에서만 심었다는 능소화가 두 그루가 있구요
- ↓ 22. 루에 올라서면 드넓은 악양벌판이 한눈에 들어 옵니다
- ↓ 23. 사랑채 뒤의 뒷채
>
- ↓24. 집의 가장 뒤에 있는 사당 입니다
- ↓25. 이제는 최참판 댁에서 나와 시장으로 갑니다
- ↓ 26. 포목점
- ↓ 27. 갓, 초립 등을 판매하는 곳 (모자 판매점)
- ↓ 28. 오늘날의 신발가게
- ↓29. 죽세공품
- ↓30. 가구점
- ↓31. 그릇점
- ↓ 32. 여행객이 쉬어가는 여각
- ↓ 33. 동네의 초가집들
- ↓34. 초가집 2
- ↓35. 각각의 초가집에는 드라마에서 살던 주인 명패와 촬영모습이 액자로 걸려 있어요
- ↓ 36. 초가집은 대략 2~30 여채가 지어져 있습니다
'그때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의 한국민속촌 (0) | 2007.03.03 |
---|---|
통방아 굴피집 (0) | 2007.03.02 |
안동 하회 마을 (0) | 2007.03.02 |
100년전 우리나라 생활상 (0) | 2007.03.01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0) | 2007.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