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권 수련 내용
(太極拳修練內容, Taijiquan Training Contents)
태극권의 수련은 시작의 동기와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비교적 다양한 수련 내용과 방법이 있으리라 본다. 다음의 수련 내용은 운영자가 1990년부터 한중수교가 있기전(1992년 공식 수교)에 중국에 10여년 이상을 비즈니스로 다니면서 홍콩과 중국의 공원 등에서 태극권을 자유롭게 즐기는 사람들에게서 어깨 너머로 장기간을 배우기 시작하여 체계적으로 배우게 되면서 습득한 한 예로 어디까지나 참고자료일 뿐이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문가로부터 배우거나 태극권 전문 도장에서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배우는 것이 좋으리라 본다. 독학으로 배우는 분들도 수시로 전문가와 교류를 통해 지도를 받는 게 좋으리라 본다.
태극권의 수련 동작과 투로(套路)가 왜 그렇게 다양한지 처음부터 어깨넘어로 배운 탓인지 몰랐으나 세월이 지나고서야 차츰 이해하게 되었다. 태극권은 세월이 흘러야 진맛을 아나보다. 1990년부터 중국의 마을 골목과 공원의 도우(道友)들에게서 배운 태극권은 어느 문파인지, 무슨 초식 동작인지 어떤 투로인지 전혀 모르고 그저 따라하기만 했다. 그 분들로 상세한 것은 신경 안쓰고 태극권을 그냥 일과 중에 한 여가로 즐기는 느낌이었다. 여유만만하고 세월을 낚는다는 기분으로나 일까.
태극권은 가르치는 분이나 배우는 분이나 태극권의 유파(流派)에 따라 정말 다양하기 때문에 태극권의 기본기(요결(要訣)!!!)를 배우면서 차차 자신의 취향에 맞는 유파와 수련종목과 과정을 선별하여 범위를 정하여 마음을 비우고 선택한 종목을 집중하여 수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도의 기교나 공력(功力)(?)을 앞서 생각하는 것은 태극권의 진면목을 너무 앞서가는 것은 아닌지도 생각케한다. 많은 분들이 태극권의 고고(孤高)한 맛과 멋과 건신을 누리기를 바라고요...^_^...
유연공(柔軟功)
전신 관절운동 / 준비 체조 / 몸풀기
1. 무극세(예비세)
2. 무릎굽혀펴기
3. 무릎돌리기
4. 슬개골돌리기
5. 호미자세
6. 무릎8자돌리기
7. 골반돌리기
8. 몸통돌리기
9. 허리굽혀펴기
10. 어깨돌리기
11. 목운동
12. 가슴운동
13. 허리세게굽혀펴기
14. 허리돌리기
15. 접시돌리기
16. 양손모아 옆으로벌리기
17. 손목관절풀기
18. 손가락뽑기
19. 손목관절돌리기
20. 양손털기
21. 발목운동
22. 다리털기
23. 발바닥서기
24. 팔목들기
25. 팔꿈치들기
26. 양팔 꼬아펴기
27. 양팔 옆으로펴 돌리기
28. 손바닥깍지끼고고개젖히기
29. 외발서기
30. 허리굽혀 다리팔펴기
31. 외발옆으로팔다리수평뻗기
32. 수세-양기공
효능 :
본 연공(練功에 들어가기 전, 전신 관절을 풀어주어 부상을 방지하고, 연공시의 적응능력을 높여준다. 태극권 수련의 체력를 다지는데 매우 중요하다.
참장공/무극장/삼원참장공/태극혼원장
站庄功/無極庄/三圓站庄功/太極渾元樁
참장공은 위와 같이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린다.
태극권은 다양한 양생술과 무술과 수행의 결합체이다. 그 속에는 기를 기르는 양기공(養氣功)이 있고, 기를 운행하는 운기공(運氣功)도 포함되어 있다.
기를 배양하는 공법을 양기공 또는 참장공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호흡법이 함께 결합되어 있다. 발경이 포함된 원래의 태극권은 복식 역호흡법을 쓰지만, 양생 위주의 일반 태극권에서는 보편적으로 복식 순호흡법을 활용한다.
우리 몸의 기와 혈은 정신을 편안하게 하고 몸을 이완시키기만 하면 모일 곳에 모이고 흐를 곳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태극권의 양기를 위한 공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보편적이면서 무난한 것으로 삼원참장공이 있다.
삼원참장공은 움직이지 않고 정지 상태로 연공하는 정공(靜功)의 일종으로, 옛 사람들이 경험적으로 찾아낸 기를 배양하는 연공법이다.
운기공(運氣功)
- 승강공(昇降功) : 기(氣)의 상하운기(上下運氣)를 유도하는 공법(功法)으로, 특히 손목을 유연하게
움직이면서 호흡에 맞추어 완만하게 연공(練功)한다. - 개합공(開合功) : 기의 좌우 운기(左右運氣)를 유도하는 공법으로서 양 손의 장심을 서로 호응시켜
개합 동작에 따라 운기의 기감(氣感)을 강화시킨다.
- 포구공(抱球功) : 기의 나선형 운기(螺旋形運氣)를 유도하는 공법으로 공을 안고 노는 듯한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을 안고 있는 듯한 포구 형상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다리, 허리, 팔 부분이 나선형으로 비틀리며 기를 이끌어 낸다.
무팔단금 (武八段錦)
무팔단금은 정통 도교에서 오래전부터 비전되어 온 동양적 유산소 운동으로 전신근골을 자연스레 풀고, 교정하는 효과가 크며, 체내의 탁기를 배출하고, 육합(전,후,좌,우,상,하)의 청기를 몸 안으로 받아들여 진기회하여 내기를 보충하는 공능이 탁월하다. 특히, 평이하고, 간편하여 남녀노소, 병약자 누구나 어디서든지(오염 안된 곳) 행할 수 있다. 팔단금이란 8가지 순서로 나뉘어진 단련 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가(道家)의 수련자가 심신을 강건(强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극권과 함께 신체 단련법의 하나이다. |
매화기공
- 내공(기공, 연단법)을 제대로 수련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그 동안 살아오면서 축적된 |
기본공(基本功)
1) 하안공(下按功) |
기본자세(基本姿勢)
기본동작
1) 기마세(騎馬勢) 1. 수형(手形) 2. 보형(步型) : 태극오보장(太極五步庄) 6. 보법(步法) : 행보공(行步功) |
태극기공 18식 (太極氣功18式)
|
태극권 24식(太極拳24式)
간화태극권/표준태극권
|
국제규정 태극권 42식 (國際規定太極拳 42式)
국제경기종목 / 종합태극권
|
태극검 42식
검무(劍舞) / 국제경기종목
|
태극선 42식 (太極扇 42式)
태극검42식에 검 대신에 부채 이용
|
진식태극권 연환공 16식
진식태극권을 수련하기 위한 기초 공법. |
전사공(纏絲功) 기본13전사(基本十三纏絲), 전사경(纏絲勁)
기본전사
- 정면전사(正面纏絲)
- 측면전사(側面纏絲)
- 쌍수대전사(雙手大纏絲)
- 차장전사(叉掌纏絲)
- 좌우전사(左右纏絲 : 雲手)
- 일심양의(一心兩意)
第一式 |
정면전사(正面纏絲) : |
第二式 |
측면전사(側面纏絲) |
第三式 |
쌍수대전사(雙手大纏絲) |
第四式 |
쌍수소전사(雙手小纏絲) |
第五式 |
오행전사(五行纏絲) |
第六式 |
차장전사(叉掌纏絲) |
第七式 |
역식전사(逆式纏絲) |
第八式 |
좌우전사(左右纏絲) |
第九式 |
일심양의(一心兩意) |
第十式 |
요부전사(腰部纏絲) |
第十一式 |
단수진보전사(單手進步纏絲) |
第十二式 |
쌍수진보전사(雙手進步纏絲) |
第十三式 |
퇴보전사(退步纏絲)<도권굉(倒捲肱)> |
1. 몸풀기
- 무극장(無極庄, 참장공(站庄功) ---- 5분~10분
- 요부전사(腰部纏絲) ------------- 좌우상하 각 50회
- 오행전사(五行纏絲) ------------- 좌우 각 10회
- 두공(두功) ------------------------- 100회
- 허리틀기 -------------------------- 좌우 각 2회
- 양단공(養丹功) ----------------- 100회
2. 기본 보법
- 단수진보전사(單手進步纏絲)
- 쌍수진보전사(雙手進步纏絲)
- 상보(上步)
- 퇴보(退步)
운수전사 |
보법 전사 |
1. 단운수전사/좌우
|
1. 전진보(前進步) |
진식 태극권 정요18식 (陳式太極拳 精要18式)
진식 노가1로 간화
第1式 |
태극기세(太極起勢) |
第2式 |
금강도대(金刚捣碓) |
第3式 |
나찰의((懒扎衣) |
第4式 |
육봉사폐(六封四閉) |
第5式 |
단편(單鞭) |
第6式 |
백아량시 (白鴉亮翅) |
第7式 |
사행 (斜行) |
第8式 |
누슬 (搂膝) |
第9式 |
요보 (拗步) |
第10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11式 |
고탐마 (高探馬) |
第12式 |
좌등일근 (左蹬一根) |
第13式 |
옥녀천사 (玉女穿梭) |
第14式 |
운수 (雲手) |
第15式 |
전신쌍파련 (轉身雙擺蓮) |
第16式 |
당두포 (當頭炮) |
第17式 |
금강도대 (金刚捣碓) |
第18式 |
수세 (收勢) |
진식태극권 19식 (陳式太極拳 19式)
진식 노가1로 간화
제1식 |
예비세(預備勢) |
제11식 |
육봉사폐(六封四閉) |
제2식 |
금강출묘(金剛出廟) |
제12식 |
운수(云手) |
제3식 |
나찰의(懶紮衣) |
제13식 |
고탐마(高探馬) |
제4식 |
상보사행(上步斜行) |
제14식 |
우등일근(右蹬一跟) |
제5식 |
상삼보(上三步) |
제15식 |
좌등일근(左蹬一跟) |
제6식 |
좌엄수굉권(左掩手肱拳) |
제16식 |
야마분종(野馬分鬃) |
제7식 |
쌍추수(雙推手) |
제17식 |
옥녀천사(玉女穿梭) |
제8식 |
도권굉(倒拳肱) |
제18식 |
금강도대(金剛搗碓) |
제9식 |
섬통배(閃通背) |
제19식 |
수세(收勢) |
제10식 |
우엄수굉권(右掩手肱拳) |
제20식 |
진식태극권 오행태극권 (陳式太極拳 五行八卦拳)
오행팔괘권21식
|
진식태극권 36식간화 태극권(陳式 三十六式 簡化 太極券)
|
진식태극권 노가1로(陳氏太極拳 老架一路)
[진정뢰 계열]
第1式 |
태극기세(太極起勢) |
第2式 |
금강도대(金刚捣碓) |
第3式 |
나찰의(懒扎衣) |
第4式 |
육봉사폐(六封似閉) |
第5式 |
단편(單鞭) |
第6式 |
금강도대(金刚捣碓) |
第7式 |
백아량시(白鴉亮翅) |
第8式 |
사형(斜形) |
第9式 |
루슬(搂膝) |
第10式 |
요보(拗步) |
第11式 |
사형(斜形) |
第12式 |
루슬(搂膝) |
第13式 |
요보(拗步) |
第14式 |
엄수굉권(掩手肱拳) |
第15式 |
금강도대(金刚捣碓) |
第16式 |
별신추(撇身捶) |
第17式 |
청룡출수(靑龍出水) |
第18式 |
쌍추수(雙推手) |
第19式 |
주저간권(肘底看拳) |
第20式 |
도권굉 (倒捲肱) |
第21式 |
백아량시(白鵝亮翅) |
第22式 |
사형 (斜形) |
第23式 |
섬통배 (閃通背) |
第24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25式 |
육봉사폐 (六封似閉) |
第26式 |
단편(單鞭) |
第27式 |
운수(雲手) |
第28式 |
고탐마(高探馬) |
第29式 |
우찰각(右擦脚) |
第30式 |
좌찰각(左擦脚) |
第31式 |
좌등일근(左蹬一跟) |
第32式 |
전쟁요보(前趟拗步) |
第33式 |
격지추(擊地錘) |
第34式 |
척이기(踢二起) |
第35式 |
호심권(護心拳) |
第36式 |
선풍각(旋風脚) |
第37式 |
우등일근(右蹬一跟) |
第38式 |
엄수굉권(掩手肱拳) |
第39式 |
소금타(小擒打) |
第40式 |
포두추산(抱頭推山) |
第41式 |
육봉사폐(六封似閉) |
第42式 |
단편(單鞭) |
第43式 |
전초(前招) |
第44式 |
후초(后招) |
第45式 |
야마분종(野马分鬃) |
第46式 |
육봉사폐(六封似閉) |
第47式 |
단편(單鞭) |
第48式 |
옥녀천사(玉女穿梭) |
第49式 |
나찰의(懒扎衣) |
第50式 |
육봉사폐(六封似閉) |
第51式 |
단편(單鞭) |
第52式 |
운수(雲手) |
第53式 |
파각질차(擺脚跌叉) |
第54式 |
금계독립(金鷄獨立) |
第55式 |
도권굉(倒捲肱) |
第56式 |
백아량시(白鴉亮翅) |
第57式 |
사형(斜形) |
第58式 |
섬통배(閃通背) |
第59式 |
엄수굉권(掩手肱拳) |
第60式 |
육봉사폐(六封似閉) |
第61式 |
단편(單鞭) |
第62式 |
운수(雲手) |
第63式 |
고탐마(高探馬) |
第64式 |
십자각(十字脚) |
第65式 |
지당추(指裆捶) |
第66式 |
원후탐과(猿猴探果) |
第67式 |
단편(單鞭) |
第68式 |
작지룡(雀地龍) |
第69式 |
상보칠성(上步七星) |
第70式 |
하보과굉(下步跨肱) |
第71式 |
전신쌍파련(轉身雙擺蓮) |
第72式 |
당두포(当头炮) |
第73式 |
금강도대(金刚捣碓) |
第74式 |
수세(收勢) |
진식태극권 노가2로(老架2路, 포추(炮捶) 전통투로
第1式 |
태극기세 (太極起勢) |
第2式 |
금강도대 (金刚捣碓) |
第3式 |
나찰의 (懒扎衣) |
第4式 |
육봉사폐 (六封似閉) |
第5式 |
단편 (單鞭) |
第6式 |
약보호심권(躍步護心拳) |
第7式 |
진보사행(進步斜行) |
第8式 |
회두금강도대(回頭金刚捣碓) |
第9式 |
별신추(撇身捶) |
第10式 |
지당(指裆) |
第11式 |
참수(斬手) |
第12式 |
번화무수(飜花舞袖) |
第13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14式 |
전신요란주(转身腰拦肘) |
第15式 |
대굉권소굉권(大肱拳小肱拳) |
第16式 |
옥녀천사 (玉女穿梭) |
第17式 |
도기룡(倒騎龍) |
第18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19式 |
과편과편(裹鞭裹鞭) |
第20式 |
수두세(獸頭勢) |
第21式 |
피가자(披架子) |
第22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23式 |
복호(伏虎) |
第24式 |
말미굉(抹眉肱) |
第25式 |
황룡삼교수(黄龙三搅水) |
第26式 |
좌충우충(左衝右衝) |
第27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28式 |
소당퇴(扫堂腿) |
第29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30式 |
전포추(全炮捶 ) |
第31式 |
엄수굉권 (掩手肱拳) |
第32式 |
도차도차(搗叉搗叉) |
第33式 |
좌이굉우이굉(左二肱右二肱) |
第34式 |
회두당문포(回头当门炮) |
第35式 |
변세대착포(變勢大捉炮) |
第36式 |
요란주(腰拦肘) |
第37式 |
순란주(顺拦肘) |
第38式 |
와저포(窩底炮) |
第39式 |
회두정란직입(回头井栏直入) |
第40式 |
금강도대 (金刚捣碓) |
第41式 |
수세 (收勢) |
|
진식 태극권 56식 경기종목 [경새투로(竟賽套路)]
第1式 |
기식(起式) |
第2式 |
우금강도대(右金刚捣碓) |
第3式 |
람찰의(揽扎衣) |
第4式 |
우육봉사폐(右六封似閉) |
第5式 |
좌단편 (左單鞭) |
第6式 |
반란추(搬拦捶) |
第7式 |
호심추(護心錘) |
第8式 |
백학량시(白鶴亮翅) |
第9式 |
사행요보(斜行拗步) |
第10式 |
제수(提手) |
第11式 |
전당(前趟) |
第12式 |
우엄수굉추(右掩手肱錘) |
第13式 |
피신추(披身錘) |
第14式 |
배절고(背折靠) |
第15式 |
청룡출수(靑龍出水) |
第16式 |
참수(斬手) |
第17式 |
번화무수(飜花舞袖) |
第18式 |
해저변화(海底翻花) |
第19式 |
좌엄수굉추(左掩手肱錘) |
第20式 |
20.좌육봉사폐 (左六封似閉) |
第21式 |
우단편 (右單鞭) |
第22式 |
우운수 (右雲手) |
第23式 |
좌운수 (左雲手) |
第24式 |
고탐마 (高探馬) |
第25式 |
우연주포(右连珠炮) |
第26式 |
좌연주포(左连珠炮) |
第27式 |
섬통배 (閃通背) |
第28式 |
지당추(指裆捶) |
第29式 |
백원헌과(白猿獻果) |
第30式 |
쌍추수(雙推手) |
第31式 |
중반(中盘) |
第32式 |
전초(前招) |
第33式 |
후초(后招) |
第34式 |
우야마분종(右野马分鬃) |
第35式 |
좌야마분종(左野马分鬃) |
第36式 |
파련질차(擺蓮跌叉) |
第37式 |
좌우금계독립(左右金鷄獨立) |
第38式 |
도권굉 (倒捲肱) |
第39式 |
퇴보압주(退步压肘) |
第40式 |
찰각(擦脚) |
第41式 |
등일근(蹬一根) |
第42式 |
해저번화(海底翻花) |
第43式 |
격지추 (击地捶) |
第44式 |
번신이기(翻身二起) |
第45式 |
쌍진각(雙震脚) |
第46式 |
등각(蹬脚) |
第47式 |
옥녀천사 (玉女穿梭) |
第48式 |
순란주(顺鸾肘) |
第49式 |
과편포(裹鞭炮) |
第50式 |
작지룡 (雀地龍) |
第51式 |
상보칠성 (上步七星) |
第52式 |
퇴보과호(退步跨虎) |
第53式 |
전신파련 (轉身擺蓮) |
第54式 |
당두포 (当头炮) |
第55式 |
좌금강도대(左金刚捣碓) |
第56式 |
수식 (收式) |
진식 태극단검 49식(陳式太極單劍 49式, 陈氏太极单剑 49式)
1、 太极剑初势 (태극검초세) 太極劍初勢 |
26、 燕子啄泥 (연자탁니) 燕子啄泥 |
2、 朝阳剑 (조양검) 朝陽劍 |
27、 白蛇吐信 (백사토신) 白蛇吐信 |
3、 仙人指路 (선인지로) 仙人指路 |
28、 斜飞式 (사비식) 斜飛式 |
4、 青龙出水 (청룡출수) 靑龍出水 |
29、 鹰熊斗智 (응웅투지) 鷹熊鬪智 |
5、 护膝剑 (호슬검) 護膝劍 |
30、 燕子啄泥 (연자탁니) 燕子啄泥 |
6、 闭门式 (폐문식) 閉門式 |
31、 摘星换斗 (적성환투) 摘星換鬪 |
7、 青龙出水 (청룡출수) 靑龍出水 |
32、 海底捞月 (해저로월) 海底撈月 |
8、 翻身下劈剑 (번신하벽검) 翻身下劈劍 |
33、 仙人指路 (선인지로) 仙人指路 |
9、 青龙转身 (청룡전신) 靑龍轉身 |
34、 凤凰点头 (봉황점두) 鳳凰點頭 |
10、 斜飞式 (사비식) 斜飛式 |
35、 燕子啄泥 (연자탁니) 燕子啄泥 |
11、 展翅点头 (전시점두) 展翅點頭 |
36、 白蛇吐信 (백사토신) 白蛇吐信 |
12、 拨草寻蛇 (발초심사) 撥草尋蛇 |
37、 斜飞式 (사비식) 斜飛式 |
13、 金鸡独立 (금계독립) 金鷄獨立 |
38、 左托千斤 (좌탁천근) 左托千斤 |
14、 仙人指路 (선인지로) 仙人指路 |
39、 右托千斤 (우탁천근) 右托千斤 |
15、 盖拦式 (개란식) 蓋攔式 |
40、 燕子啄泥 (연자탁니) 燕子啄泥 |
16、 古树盘根 (고수반근) 古樹盤根 |
41、 白猿献果 (백원헌과) 白猿獻果 |
17、 饿虎扑食 (아호박식) 餓虎撲式 |
42、 落花式 (낙화식) 落花式 |
18、 青龙摆尾 (청룡파미) 靑龍擺尾 |
43、 上下斜刺 (상하사자) 上下斜刺 |
19、 倒卷肱 (도권굉) 倒卷肱 |
44、 斜飞式 (사비식) 斜飛式 |
20、 野马跳涧 (야마도간) 野馬跳澗 |
45、 哪叱探海 (나질탐해) 哪叱探海 |
21、 白蛇吐信 (백사토신) 白蛇吐信 |
46、 怪蟒翻身 (괴망번신) 怪蟒翻身 |
22、 乌龙摆尾 (오룡파미) 烏龍擺尾 |
47、 韦驼献杵 (위타헌저) 韋駝獻杵 |
23、 钟魁仗剑 (종괴장검) 鐘魁杖劍 |
48、 磨盘剑 (마반검) 磨盤劍 |
24、 罗汉降龙 (나한강룡) 羅漢降龍 |
49、 太极剑还原 (태극검환원) 太極劍還原 |
25、 黑熊翻背 (흑웅번배) 黑熊翻背 |
진식 태극권 신가1로(新架一路)
제 1 식 | 예비세(預備勢) |
제 43 식 |
포두퇴산(抱頭推山) |
제 2 식 | 금강도대(金刚捣碓) |
제 44 식 |
삼환장(三換掌) |
제 3 식 | 나찰의(懒扎衣) |
제 45 식 |
육봉사폐(六封四閉) |
제 4 식 | 육봉사폐(六封四閉) |
제 46 식 |
단편(單鞭) |
제 5 식 | 단편(單鞭) |
제 47 식 |
전초(前招) |
제 6 식 | 제2금강도대(第二金刚捣碓) |
제 48 식 |
후초(後招) |
제 7 식 | 백학량시(白鶴亮翅) | 제 49 식 | 야마분종(野馬分 ) |
제 8 식 | 사행요보(斜行拗步) | 제 50 식 | 대육봉사폐(大六封四閉) |
제 9 식 | 초수(初收) |
제 51 식 |
단편(單鞭) |
제 10 식 | 전당요보(前趟拗步) |
제 52 식 |
쌍진각(雙震脚) |
제 11 식 | 제2사행요보(第二斜行拗步) |
제 53 식 |
옥녀천사(玉女穿梭) |
제 12 식 | 재수(再收) |
제 55 식 |
나찰의(懒扎衣) |
제 13 식 | 전당요보(前趟拗步) |
제 54 식 |
육봉사폐(六封四閉) |
제 14 식 | 엄수굉추(掩手肱捶) |
제 56 식 |
단편(單鞭) |
제 15 식 | 제3금강도대(第三金刚捣碓) |
제 57 식 |
운수(雲手) |
제 16 식 | 별신추(撇身捶) |
제 58 식 |
쌍파각(雙擺脚) |
제 17 식 | 청룡출수(靑龍出水) | 제 59 식 | 질차(跌岔) |
제 18 식 | 쌍추수(雙推手) | 제 60 식 | 금계독립(金鷄獨立) |
제 19 식 | 삼환장(三換掌) | 제 61 식 | 도권굉(倒卷肱) |
제 20 식 | 주저간추(肘底看捶) | 제 62 식 | 퇴보압주(退步壓肘) |
제 21 식 | 도권굉(倒卷肱) | 제 63 식 | 중반(中盤) |
제 22 식 | 퇴보압주(退步壓肘) | 제 64 식 | 백학량시(白鶴亮翅) |
제 23 식 | 중반(中盤) | 제 65 식 | 사행요보(斜行拗步) |
제 24 식 |
백학량시(白鶴亮翅) |
제 66 식 | 섬통배(閃通背) |
제 25 식 |
사행요보(斜行拗步) | 제 67 식 | 엄수굉추(掩手肱 ) |
제 26 식 | 섬통배(閃通背) |
제 68 식 |
대육봉사폐(大六封四閉) |
제 27 식 | 엄수굉추(掩手肱捶) | 제 69 식 | 단편(單鞭) |
제 28 식 | 대육봉사폐(大六封四閉) | 제 70 식 | 운수(雲手) |
제 29 식 | 단편(單鞭) | 제 71 식 | 고탐마(高探馬) |
제 30 식 | 운수(雲手) | 제 72 식 | 십자단파각(十字單擺脚) |
제 31 식 | 고탐마(高探馬) | 제 73 식 | 지당추(指裆捶) |
제 32 식 | 우찰각(右擦脚) | 제 74 식 |
백원탐과(白猿探果) |
제 33 식 |
좌찰각(左擦脚) | 제 75 식 | 소육봉사폐(小六封四閉) |
제 34 식 | 전신좌등일근(轉身左蹬一跟) | 제 76 식 | 단편(單鞭) |
제 35 식 | 전당요보(前 拗步) | 제 77 식 | 포지금(鋪地錦) |
제 36 식 | 격지추(擊地捶) | 제 78 식 |
상보칠성(上步七星) |
제 37 식 | 이기각(二起脚) : 척이기(踢二起) | 제 79 식 | 퇴보과호(退步跨虎) |
제 38 식 | 호심권(護心拳) : 수두세(獸頭勢) | 제 80 식 | 전신쌍파련(轉身雙擺蓮) |
제 39 식 | 선풍각(旋風脚) | 제 81 식 | 당두포(當頭炮,当头炮) |
제 40 식 | 우등일근(右蹬一跟) | 제 82 식 | 금강도대(金刚捣碓) |
제 41 식 | 엄수굉추(掩手肱捶) | 제 83 식 | 수세(收勢) |
제 42 식 | 소금타(小擒打) |
|
|
진식태극권 신가2로(陈氏太极拳 新架二路)
第一式 |
预备势(예비세) |
第三十一式 |
掩手肱捶(엄수굉추) |
第二式 |
金刚捣碓(금강도대) |
第三十二式 |
伏虎(복호) |
第三式 |
懒扎衣(나찰의) |
第三十三式 |
抹眉红(말미홍) |
第四式 |
六封四闭(육봉사폐) |
第三十四式 |
右黄龙三搅水(우황룡삼교수) |
第五式 |
单鞭(단편) |
第三十五式 |
左黄龙三搅水(좌황룡삼교수) |
第六式 |
搬拦肘(반란주) |
第三十六式 |
左蹬一跟(좌등일근) |
第七式 |
护心捶(호심추) |
第三十七式 |
右蹬一跟(우등일근) |
第八式 |
拗步斜行(요보사행) |
第三十八式 |
海底翻花(해저번화) |
第九式 |
煞腰压肘拳(살요압주권) |
第三十九式 |
掩手肱捶(엄수굉추) |
第十式 |
井拦直入(정란직입) |
第四十式 |
扫膛腿(소당퇴) |
第十一式 |
风扫梅花(풍소매화) |
第四十一式 |
掩手肱捶(엄수굉추) |
第十二式 |
金刚捣碓(금강도대) |
第四十二式 |
左冲(좌충) |
第十三式 |
撇身捶(별신추) |
第四十三式 |
右冲(우충) |
第十四式 |
斩手(참수) |
第四十四式 |
倒插(도삽) |
第十五式 |
翻花舞袖(번화무수) |
第四十五式 |
海底翻花(해저번화) |
第十六式 |
掩手肱捶(엄수굉추) |
第四十六式 |
掩手肱捶 (엄수굉추) |
第十七式 |
飞步腰拦肘(비보요란주) |
第四十七式 |
夺二肱(탈이굉) |
第十八式 |
云手(前三)(운수-전) |
第四十八式 |
连环炮(연환포) |
第十九式 |
云手(后三)(운수-후) |
第四十九式 |
玉女穿梭(옥녀천사) |
第二十式 |
高探马(고탐마) |
第五十式 |
回头当门炮(회두당문포) |
第二十一式 |
连珠炮(연주포) |
第五十一式 |
玉女穿梭(옥녀천사) |
第二十二式 |
倒骑麟(도기린) |
第五十二式 |
回头当门炮(회두당문포) |
第二十三式 |
白蛇吐信(백사토신) |
第五十三式 |
腰栏肘(요란주) |
第二十四式 |
海底翻花(해저번화) |
第五十四式 |
顺拦肘(순란주) |
第二十五式 |
掩手肱捶(엄수굉추) |
第五十五式 |
穿心肘(천심주) |
第二十六式 |
左裹鞭炮(좌과편포) |
第五十六式 |
窝里炮(와리포) |
第二十七式 |
右裹鞭炮(우과편포) |
第五十七式 |
井拦直入(정란직입) |
第二十八式 |
兽头势(수두세) |
第五十八式 |
风扫梅花(풍소매화) |
第二十九式 |
劈架子(벽가자) |
第五十九式 |
金刚捣碓(금강도대) |
第三十式 |
翻花舞袖 (번화무수) |
第六十式 |
收势(수세) |
출처 :사랑도 벗어 놓고 미움도 벗어 놓고
'운동,무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빈제임스(kevin james) Top 매직 (0) | 2016.07.31 |
---|---|
동악태극권 - 문감홍 원장 (0) | 2010.11.07 |
88식 태극권 (0) | 2010.11.07 |
진식태극권24식 (0) | 2010.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