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태그공부

Stop, Play 버튼 만들기

영지니 2012. 1. 25. 22:20

★ Stop, Play 버튼 만들기



완성작품(swf)


ball(다운로드)





무비를 400x300으로 설정한 다음 공을 불러와 중앙하단에 배치합니다.
Outline에서 아래의 그림처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 Convert ▶ Convert to Sprite를 적용합니다.





번 Sprite가 선택된 상태에서 패널 창에서 이름을 ball이라 붙여주고
엔터를 하고 나면 번과 같이 이름이 Ball로 바뀝니다.

그리고 Stop playing at end of sprite에 체크를 제거해 줍니다.
체크를 제거해 주었을 때와 체크를 한 상태의 차이점은 Move를 적용하였을 때
체크된 상태에서는 Move가 1회작동하고, 체크를 제거하면 Move는 무한 대로 작동하지요.





ball (+)자를 클릭해 (-)로 한 다음 모션패스를 선택합니다.





메인상단에 적당히 클릭하여 Move를 적용합니다.
테스트를 해 보시면 무한 대로 무비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Scene_1을 선택한 다음 공의 좌우측에 play와 stop이라는 글을 씁니다.
버튼을 만들기 위해서지요.





Outline창 stop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 Convert ▶ Convert to Button를 적용합니다.
다음은 패널 창에서 이름을 stop라 입력하고 over, down, hit 체크박스에 체크를 합니다.
하단에 있는 Use bounding box for hit-state는 자동으로 감춰지지요.





이번에는 아래와 같이 Over State의 텍스트 Stop를 선택한 다음 패널에서 텍스트 색상을 적색으로 바꿔줍니다.
이번에는 Down State의 텍스트를 선택한 다음 패널에서 텍스트 색상을 핑크색으로 바꿔줍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Convert ▶ Convert to Button를 적용한 다음 Down 및 Over색상을 바꿔줍니다.
테스트를 한번 해 보시지요. Stop, play 버튼을 눌러보세요. 마우스를 올리면 적색으로,
마우스를 누르면 핑크색으로 바뀌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Stop와 Play 버튼의 (-)를 (+)로 해줍니다.





버튼이 만들어졌으니 이제는 스크립트를 적용해 스톱과 플레이어가 작동 되도록 해 보겠습니다.
Expert는 전문가용이므로 Guided를 선택합니다.





아래의 순서대로 스크립트를 적용합니다.
1) Script ▶ Events ▶ Self ▶ onselfEvent(press)
2) Movie Confrol ▶ stop()
하단 stop()창 Target으 드롭다운을 클릭하여 _parent.ball을 선택합니다.
stop 버튼을 눌렀을 때 ball이 정지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지요.





이번에는 Play 버튼에 스크립트를 주겠습니다.
Play 버튼을 선택한 상태에서 아래의 순서대로 스크립트를 적용합니다.
1) Script ▶ Events ▶ Self ▶ onselfEvent(press)
2) Movie Confrol ▶ play()

하단 stop()창 Target으 드롭다운을 클릭하여 _parent.ball을 선택합니다.





※ 보너스

스위시맥스 마우스이벤트(onSelfEvent)

press : 버튼을 클릭할 때 발생
release : 버튼을 클릭하고 뗄 때 발생
releaseoutsidw : 버튼을 클릭한 뒤,밖으로 드래그하고 뗄 때 발생
rollover : 커서를 버튼위로 올려 놓을 때 발생
rollout: 커서가 버튼 위에서 밖으로 벗어날 때 발생
dragover : 버튼을 클릭한 뒤,밖으로 드래그하고 다시 버튼위로 드래그할때 발생
dragout : 버튼을 클릭한 뒤,밖으로 드래그할때 발생
keypress : 키보드의 특정글쇠를 클릭할 때 발생(여기서는 space)



스크립트는 연구와 복습 이해가 중요하지요. 응용하여 멎진 작품을 만드시기 바랍니다.

'컴.태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그 명령  (0) 2012.06.27
태그연습장  (0) 2012.05.28
스위시 파일 활성화 하는법   (0) 2012.01.25
운영자가 편집시 많이 사용하는 소스  (0) 2012.01.25
영상시 꾸미기 자료  (0) 201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