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flash6 plug-in 깔라고 메시지창
- 부팅시 램체크시간이 조금 걸립니다.(약 5초정도..)
이 딜레이(?)를 효과적(?)으로 줄일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방금 컴터 키면서..저도 모르게 습관적으로..(늘그래왔듯이) 이팁을 사용 했는데요..
윈비 사용자님들이 이 생각이 나서..이렇게 몇자 적어봅니다..
부팅할때요...Esc키를 한번 눌러주면..램 채크 하던것을 멈추고 곧바로 부 팅이 된답니다.
129.XP - 종료 로고만 나오고 컴퓨터가 안꺼질 경우
- 수많은 경우의 사소한 팁입니다. 인터넷 라인(회선)이 아무런 문제가 없고 컴퓨터는 포맷후 재설치한 거나 다름없는 깨끗한 상황에서 입니다.
1. 컴 접지 함 해보세요.. (접지는 제대로 하셔야 합니다.어설프게 말구) - 노트북에서는 안 끊기는데 데스크탑에서만 끊긴다거나 ... 자기집에서는 끊기는데 친구 집에 가져가서 하면 안끊기는 경우라던가... 등등 - 랜카드도 바꿔보고, 랜케이블 바꿔보고 윈도 새로깔고 ... 뭐 별의 별거 다해도 끊기는 경우.. - 접지기능 있다는 전기콘센트 믿지 마세요..(어느정도는 되도 100%는 안 됩니다)
2. 랜카드 좋은거루 바꾸어 보세요 - 컴터 누전되두 3com 역시 강하더군요.... realtek 이 싼 이유가 있더군 여...
- 구형컴터(펜티엄200 이하) 에서 isa랜카드 함 써보세요.(pci잘안될때)
3. 랜케이블 새거라고 넘 믿지마세요. - 불량률 높습니다.
4. 메인보드 패치 함 해보세요. - 메인보드패치는 윈도우 깔구 다른 장치 드라이버가 잡히기 전에 바로 해 야 효과가 있습니다. - 이미 사용해 오던 컴푸터는 안전모드로 가서 드라이버 잡은거 제거 다하 구 (특히 "시스템장치" 안에있는거(via ... intel ....)), 패치깔구 드라이버 새 로 잡으세요. 그냥 패치 프로그램만 깔면 일부만 효과있습니다.
5. 컴터 이번 기회에 새거로 하나 사세요. |
128.XP심각한 문제 몇가지--내컴퓨터->속성->고급->성는->설정->고급->메모리사용 계획->프로그램 선택->확인을 반드시 해주시고
제어판->프로그랜 추가/삭제에서 기존 ADSL관련 드라이브포함 ACE MAN PRO등 모두삭제후 재 설치
리부팅!!! |
127.컴퓨터를 오류없이 잘 쓰는 방법
- 대부분의 유저들은 아무 생각없이 Yes 를 누를겁니다. 그런데 이 plug-in을 깔면 explorer 가 자주 죽어버리는문제가 발생하더군요. Macromedia 홈페이지에 가도 이 문제로 plug-in을 update 했다고 되어 있는데 update된 plug-in을 깔아도 같은 문제가 계속 발생합니다. 이때 flash6 plug-in을 지우고 flash5 plug-in을 다시 깔면 해결되는데요 (대신 flash6 plug-in깔거냐고 물어볼때마다 No를 눌러줘야 하는 귀찮음이 -.-) XP의 경우 c:windowssystem32macromedflash 안의 flash.ocx 를 지워주면 plug-in 프로그램이 삭제됩니다. 안의 swflash.ocx 는 flash5의 plug-in이라고 하네요. 이건 지울필요 없구요. Macromedia 홈페이지에 가서 flash6 install 을 찾아서 누르면 flash6 를 설치할거냐고 묻는데 여기서 No를 선택하면 flash5 를 깔거냐고 다시 물어봅니다.
|
126.시디스페이스공유메모리설정오류
- 윈도우즈xp를 설치할때 무슨무슨 파일이없다........그런식의 오류가 난다는사람이 많습니다 ..파일은 확실히 깔았는데 계속 인식을 못하는겁니다..지금부터 그해결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번째. 오버클럭킹이돼어있다(원래 값으로 바꿔주세요) 둘째. 전압이 무리하게 높여져있다(바이오스에서 조절하세요) 셋째, 파워서플라이의 파워가 모자르다(요즘 펜4를쓰는사람이많은데요.. 꼭 펜4전용 파워를구입하시기바랍니다) 넷째,하드가 불량이다(로우레벨 포맷권장,) |
125.윈도우xp 인스톨시에 sxs.dll 오류
- 시작-제어판-새 하드웨어 추가]를 클릭합니다.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 창이 뜨면 [다음]을 눌러 윈도우 XP가 새로 설치된 장치를 찾으면 [하드웨어가 연결되어 있습니까?]하고 물어 보는데 [예, 하드웨어를 연결했습니다] 라는 단추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설치된 하드웨어] 목록이 쭉~ 나오는데, [새 하드웨어 장치 추가] 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원하는 작업을 선택하십시오]라고 나오면 [목록에서 직접 선택한 하드웨어 설치(고급)]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 [일반 하드웨어 종류]에서 [ NT APM/레거시 지원 ] 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르고,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계속 따라 하시면 무사히 설치 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종료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
124.익스플로러 한글입력 오류
- 안정성과 호환성 그리고 사실적표현으로 대표되는 XP는 이외로 심각한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처음 나올 당시만해도 호평을 받으며 크랙에 목숨(?)걸만한 비슷한 말덜하면서 설치하다가 3,4개월이 지난즈음 부정적인 시각도 많이 보이곤 합니다. 그이유 몇가지 나름대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전체적으로 무겁다는 분위기가 많이 보이네요.. 설치해서 한달정도 지나다보면 지렁이(?)이도 많이 생기고 사소한 오류메세지도 많이 뜹니다.(특히 공공장소용)익스오류는 2000보다 더한것 같군요.. 그나마 이정도는 봐준다 해도 자바머신이 탑재 안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MS의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설치하고 나서 사이트 접속하면 자바머신이 필요한 사이트의 경우 거의 로그인이 불가능합니다. (특히 홈에디션버젼) 문제는 다운받아설치하면 해결할 수도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자바머신이 뭔지 아니면 어떻게 다운받아야 할지 모른다는데 있습니다. 일반사용자를염두해 두었다면 반드시 자동 업이 될수 있도록 했어야 한다는 점인데 저작권시비에 복잡해져 버렸습니다. 덕분에 최신형 설치해놓고 인터넷 안된다고 다시 구형OS설치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한다는군요.. 중을 위한 배려가 부족했다고 보여지는 대목입니다. 그나마 자바머신설치하고 해결되면 좋으련만 플래시가 없으면(숍왜이브)또 인터넷 접속안 되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벌써 이넘의 자바머신땜에 피아닌 피보시는 컴 수리공덜 고생이 말이 아닐겁니다. 그다음 보안이 너무 허술합니다. 간단한 키조작으로 ADMIN 접근이 너무쉬운것도 문제입니다. 계속 패치는 나오지만 역시나 사내망으로는 문제가 많습니다. 작정만하면 쉽게 바꿔놓으니..이건 완전히 가정용판이지 업무용으로는 뭔가 많이 부족하다는 느낌입니다. 속도역시 2000이경우 셀러론급에서 128M 램이면 운영하는데 무리가 별로 없으나 XP는 셀 러론은 아예취급도 안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돈달라 아우성치더군요..(시푸교체) 또한 파티션테이블이너무자주 망가는현상도 보입니다. 2000보단 더하군요..(아예다시깔기도) 게임호환은 좋은데 업무용호환은 많이 떨어집니다. 특정 프로그램에서는 아예DB가 운영이 안됩니다. 병의원 의보수가 프로그램 과 비슷한 업무용프로그램들..과 DB들. 안정성면에서도 2000보다 낮다는 느낌은 별로 안듭니다. 장점이라면 드라이버 종류가 많아서인지 새로운 장치설정은 아주 편리합니다.(메인보드빼고..<-이거바꾸면 거의 새로설치해야함) 4개월여 써본결과 대중 이런 데이타가 나오던군요. CPU: 펜3 500이상에 램최저128M 이상 하드 8기가이상 (이왕이면(ATA100))이이상 시스템이 아니면 XP포기하시는게 오래 사실것 같습니다. (열 덜받어서) 이나마도 좀딸리져? 어쨋든 만약 OS뭘할까 고민하는데 선택하라면 컴사양에따라 사용용도에 따라 정하시면좋을 듯 합니다. 예를들어 1)펜3-500이상 램 128M 이상인데 가정에서 쓸경우, 지우고 다시깔아도 지장없는경우 -> XP 2)펜2 이상 128M 이상인데 회사에서쓸경우, 지우면 난리날 경우 ,보안이 필요한경우 -> 2000 3)기타 컴퓨터중 막지우고, 또지우고, 고스트 날리고, 뻑가도 안심되는경우 -> 98,ME
|
123.XP Home Edition 문제 발생 시 시스템 복원 기능
- 첫째. 모르는 파일은 함부로 지우지 않는다. 윈도에선 삭제시 완전히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임시로 휴지통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물론 shift 키와 함께쓰면 휴지통에 가지 않고 곧바로 삭제가 됩니다만, 잘 모르는 파일이 있을때 무턱대고 삭제하면 언젠가 문제가 발생합니다. 의심이 가면 백신이나 기타등등으로 검사해보시고 바이러스가 아니다 싶으면 그냥 두세요. 휴지통은 일부러 비우지 않는 것이 좋아요. 잘못해서 삭제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휴지통 크기는 별로 크지 않습니다. 그리고, 휴지통이 다 차면 알아서 오래된 파일부터 없애주므로 따로 비울 필요가 없습니다.
둘째. 하드디스크의 10-20 % 정도는 항상 남겨둔다. 하드 공간이 다 차게 되면 컴퓨터의 속도가 느려지고 필요시 가상메모리도 확장할 수 없게 됩니다. 최소한 하드디스크의 10% 이상은 남겨둬야 합니다.
세째.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을 하자. 아무리 조심한다구 해도 바이러스는 언제 어디서 들어올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항상 감시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최신백신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v3 의 경우 1주 단위로 업데이트가 되니 적어도 한달에 한번은 업데이트 해주셔야 합니다.
네째. 디스크 검사/조각모음 활용. 사용상 아무런 문제가 없더라도 디스크 검사는 한달에 한번 정도. 그리고 조각모음은 두세달에 한번 정도는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디스크가 대형화되면서 조각모음 실행시 몇시간을 넘기는것은 기본입니다. 잠들기 전에 조각모음 실행시켜 두시면 아침에 끝날 겁니다.
다섯째. 설치/삭제는 제어판에서. 설치와 삭제는 제어판에서 실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설치의 경우는 궂이 제어판에서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만. 삭제는 가능한한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 메뉴를 이용해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는 프로그램의 설치 시 설치정보를 레지스트리에 기록해 둡니다. 그리고 삭제시 설치정보를 참고해서 삭제를 해주기 때문에 찌꺼기 없이 깨끗이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uninstall 메뉴가 있다면 그걸 사용하셔도 됩니다.
여섯째. 같은 종류의 플그램은 하나만 사용하자. 간혹 보면 같은 종류의 플그램을 여러개 설치해두고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물론 제작자에 따라 메뉴나 환경등이 다르긴 하겠지만 자신이 사용하는 전용 플그램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압축프로그램 같은 경우도 알집, winzip, 밤톨이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것 하나만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일곱째. 드라이버와 업데이트는 항상 최신으로 유지. 자신의 하드웨어의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패치 등은 항상 최신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드웨어의 제작사 홈피들을 즐겨찾기에 드라이버라는 그룹으로 만들어 놓고, 수시로 확인하실 필요는 없지만 어디선가 업데이트가 됐다더라 라는 얘기를 들으면 꼭 확인하시고 업데이트 해주시길 바랍니다.
여덟째. 설치전 도움말과 가이드를 반드시 참고. 어떤 플그램이든 설치파일 이외에 설치가이드나 도움말, Readme 등의 파일을 갖추고 있습니다. 설치전에 항상 확인하시고, 유의점과 지원정보 등을 꼭 확인하셔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아홉째. 다른 사람의 팁을 무작정 따라하진 말자. 팁이라고 해서 무조건 다 좋은건 아닙니다. 자신에게 필요없는 팁은 적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팁이란건 대개 프로그램의 환경을 조작하거나 레지스트리 등을 수정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런 작업들은 위험하니 자신에게 필요없는 것은 시도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열번째. 작업파일은 한곳에 모아두자. 문서화일은 문서화일대로. 그림은 그림대로. 동영상은 동영상대로. 그렇게 비슷한 종류의 파일들은 한곳에 모아두는 것이 백업과 복구시 편합니다. 하나의 하드에 따로 파티션을 두어 모아두는 것도 좋지만 남는 하드가 있으면 반드시 물리적으로 다른 하드에 저장해 두셔야 최악의 경우에도 복구를 할 수 있습니다. 중고컴퓨터에서 쓰던 540 M 의 하드를 백업용으로 사용해도 좋다.
열한번째. 안정성이 확인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자. 어느 플그램이 좋다는 말을 듣고 그냥 다운받아 사용할 것이 아니라. 가능하면 겜방이라도 가서 한번 설치해보고 이상이 없으면 설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놀고있는 구형 pc 가 있다면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열두번째. 업그레이드는 목적에 맞게 컴퓨터 사양도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합니다. 지원되지 않는 하나의 프로그램 때문에 하드웨어를 바꾸는 것보다는 자신의 하드웨어에서 지원되는 비슷한 프로그램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목적에 따라 업그레이드시 고려해야할 비용이 틀려집니다.
그저 최신의 사양만을 고집할 게 아니라 자기컴의 사양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컴퓨터 사용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걸로 100%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정도만 주의하셔도 컴퓨터 오류는 많이 줄어들 겁니다. 특히 프로그램 설치전 설치가이드 참고하는 것은 대개 영문으로 되어있고 많은 분들이 다른 사람들의 얘기만 듣고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한번쯤 읽어보려고 노력해보세요. 한번 읽으면 대부분의 매뉴얼의 내용이 비슷하기때문에 다음에 읽을땐 훨씬 눈에 잘 들어올거예요.
|
122.XP 자동종료가 안될 경우
- 가끔 부팅후 시디스페이스 공유메모리 설정에 실패했습니다. 라는 글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로그오프한담에 다시 로그인하면 정상적으로 돌아 가는데 무지 귀찮아서 인터넷 뒤지던중 해결방법이라고 누가 올려놨네요.. 밑에 내용은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은것이라서.이유나 어떤원리로 해결되는건지는 모르겟네요.. Registry변경으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시작-> 실행-> Regeidt입력하여 Regedit를 실행하신 후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XSPACEWG의 start값을 `1` 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
121.컴퓨터 사용도중 "이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연산을 수행하여 종료됩니다.
|
120.컴퓨터 오류 때문에 다운되는 문제
- 마이크로소프트(MS)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웹서핑을 즐기다 보면 가끔 한글 입력이 되지 않고 영어만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한/영’ 전환키도 작동하지 않는다. 한글을 쓰기 위해 익스플로러를 끄거나 컴퓨터를 다시 부팅해보기도 하지만 껐다 켜도 한글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익스플로러 5.0 이상에서 발생하는 ‘버그’ 때문이다. 버그란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 때 발생하는 오류를 뜻한다. 윈도나 익스플로러 같은 프로그램은 수만개의 명령문이 조합된 대형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제작자가 수정하지 못한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 익스플로러 6.0에서도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이 버그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5가지로 요약된다. 버그의 변형이 많아 5가지 중 해당 해법을 찿아내면 된다.
①익스플로러를 실행시키고 한글 입력이 안되면 ‘F6’키를 2번 누르거나 마우스를 익스플로러의 주소입력창에 가져간 다음 더블 클릭 한다. ②마우스를 주소입력창으로 가져간 뒤 ‘한/영’ 변환키를 누른다. ③아래아한글 등 다른 프로그램에서 한글을 써서 복사한 다음 익스플로러에 붙여 쓴다. ④‘Ctrl’와 ‘N’을 눌러 새창으로 띄워 한/영 전환을 시킨다. ⑤‘Tab’키를 여러차레 눌러본다
|
119.윈도우 XP - XP 특정 사이트 안 보일 때 -
가. 문제 발생 시 시스템 복원 기능 사용 Windows XP Home Edition은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하면 마지막으로 컴퓨터가 올바르게 작동한 이후에 시스템에 변경된 내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복원 기능은 Microsoft Word 문서, 찾아보기 기록, 그리기, 즐겨찾기, 전자 메일 등과 같은 개인 데이터 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파일의 변경 내용이 손실되지 않습니다. Windows XP는 “복원 지점”을 매일 만들며, 응용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가 설치된 경우와 같이 중요한 시스템 이벤트가 발생할 때도 복원 지점을 만듭니다. 또한 언제든지 자체 복원 지점을 만들어 이름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했을 때 복원 지점을 선택하면 Windows XP가 그 시간 이후의 시스템 변경을 취소합니다. 시스템 복원 기능을 실행하면 복원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달력이 표시됩니다. 컴퓨터를 매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일부 날짜에 대해서는 복원 지점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의 매일 복원 지점이 만들어지므로 나중에는 복원 지점이 여러 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나. 복원 지점을 만들려면 도움말 및 지원 센터를 통해 시스템 복원 기능 마법사에 액세스합니다. 복원 지점 만들기를 클릭한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복원 지점 설명 상자에 복원 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이름을 입력합니다. 시스템 복원 기능은 이 복원 지점을 만든 날짜와 시간을 자동으로 이 이름에 추가합니다. 복원 지점 만들기를 완료하려면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복원 지점 만들기를 취소하고 시스템 복원 시작 화면으로 돌아가려면 뒤로를 클릭합니다. 복원 지점 만들기를 취소하고 시스템 복원 마법사를 종료하려면 취소를 클릭합니다. 참고: 시스템 복원 마법사에 액세스하려면 시작을 클릭한 다음, 도움말 및 지원을 클릭합니다. 성능 및 유지 관리를 클릭하고 변경 취소에 시스템 복원 사용을 클릭한 다음, 시스템 복원 마법사 실행을 클릭합니다. 복원 지점을 만들어 두면 컴퓨터의 구성이 변경되어 컴퓨터가 위험하거나 불안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복원 지점을 보거나 돌아가려면 시스템 복원 마법사의 시스템 복원 시작 화면에서 이전 시점으로 내 컴퓨터 복원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복원 지점 선택 화면의 달력에서 복원 지점을 만든 날짜를 선택합니다. 선택한 날짜에 만든 모든 복원 지점이 달력 오른쪽의 목록 상자에 이름순으로 나열됩니다.
다. 고급 복원 옵션을 설정하려면 백업을 엽니다. 비활성화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백업 유틸리티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백업 유틸리티 마법사에서 고급 모드 단추를 클릭합니다. 미디어 복원 및 관리 메뉴를 클릭하고 복원할 파일을 선택합니다. 복원 시작 단추를 클릭합니다. 복원 확인 대화 상자에서 고급을 클릭합니다. 원하는 고급 복원 옵션을 설정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각 옵션에 대한 설명을 보려면 참고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참고: 백업을 시작하려면 시작을 클릭하고 모든 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 시스템 도구를 차례로 선택한 후 백업을 클릭하십시오.
|
118.윈도우 ME - kernel32.dll 오류 해결방법 -
가. 비아보드를 쓰는경우. 현재 윈도우 xp를 쓸때 비아보드를 사용한 컴퓨터를 쓰면 가끔 이런 현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수시로 재부팅 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비아 통합패치를 최신으로 해주면 해결이 됩니다. 현재 비아1433v버전패치가 최신이고, 이 패치를 하면 부가적으로 윈도우 xp의 부팅속도가 개선되는 효과도 볼수 있다고 합니다.
나. EASY-CD CREATOR 5.0를 풀버전 설치한 경우. 이 경우에는 정상종료를 하면 리부팅이 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direct-cd에의 문제로, EASY-CD CREATOR에서 direct-cd를 언인스톨 해 주거나, 이렇게 안될 경우에는 전체를 언인스톨후 설치시 Direct CD 와 Take two 를 선택하지 말고 설치합니다.
다. 자동으로 꺼지지 않고 "꺼도 안전합니다" 라는 메세지만 뜰경우. 이 경우에는 apm을 체크하지 않아서입니다. 시작 -> 설정 -> 제어판 -> 성능및유지관리 -> 전원옵션 -> APM -> 전원고급관리사용에 체크 해제하면 전원이 자동으로 꺼집니다. 98계열에서 xp로 업그레이드 할경우에 많이 일어나는 증상이죠. 리부팅을 하여야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도 안되시면, cmos에서 apm이 disable된 상태인지 확인 하시고, enable로 바꿔 주세요. 그후 새하드웨어 추가를 하셔서 nt apm/레거시 를 선택하여 설치하여 주시고요.
라. acpi가 설치 되어있을 경우. acpi를 지원하는 보드를 사용하는 유저들은 대부분 apci가 설치 되었을 겁니다. acpi를 쓰는 경우는 acpi규격을 지원하는 하드웨어와 파워를 반드시 사용한다는 보장이 있어야 하고, acpi가 올바르게 작동된다해도 노트북이 아닌 일반 PC에서의 효용성은 떨어집니다. 시스템 리소스만 더 잡아먹고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를 쓴다면 골치아픈 충돌과 시스템 불안정에 시달릴 수도 있지요. acpi 가 설치 되어 있는 경우 대부분 irq가 몰려서 설치되어 오류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irq를 강제 할당하여 설치하시거나, acpi를 disable 해 놓으시면 되는데, acpi를 disable 하는 방법을 권유합 니다.CMOS 셋업에서 전원 관련 설정을 보고 acpi 로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고 disable 해 주세요. 참고로 사용자의 컴퓨터가 apm으로 설치 되었는지, apci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 하시려면, 장치관리자에서 보기, 숨김창치 표시에 체크 하시고요. 아래 장치중에 system devices 안에 들어가시면 시스템 장치가 나오는데, 여기서 apci 라는 단어가 들어간 장치가 있다면 그것은 apci 컴퓨터 이고, 없으면 apm 입니다. apci 지원 보드를 쓰시는 유저중 이 apci 기능을 쓰지 않을계획이라면, xp설치시 표준 컴퓨터로 설치 하시면 apci가 설치 되지 않습니다.
|
117.윈도우 XP오류 - 파일 또는 폴더 삭제 오류 - "이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연산을 수행하여 종료됩니다" 라는 메시지는 윈도우의 확실하지 않은 에러 중의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 경우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살펴 보아야 합니다.
가. 프로그램 버그 특정 프로그램에서 일어난다면 해당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을 구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윈도우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윈도우 98인 경우는 [시작]->Windows Update를 이용하시고, 윈도우 95인 경우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패치나 업그레이드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나. 프로그램들 간의 충돌 그리고 두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프로그램간의 충돌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동시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램상주 프로그램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능하면 필요없는 프로그램은 삭제해 주세요.
다. 하드웨어 문제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을 때에 발생합니다. (1) CPU 오버클럭킹이나 과도한 열: CPU가 오버클럭킹되어 있거나 CPU 쿨러의 이상으로 CPU 에 무리가 있는 경우입니다. 본체를 열고 확인해 보세요. (2) 램 문제: 램 체크를 해 보세요. 다른 종류의 램들이 섞인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동일한 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하드디스크: 하드디스크에 물리적/논리적 손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시작]->프로그램->시스템 도구->디스크 검사를 해 보세요. 특히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입출력이 발생할 때 문제가 있다면, 이 부분을 의심 해 보아야 합니다.
라. 시스템 리소스 부족: 작업하는 내용이 시스템의 사양을 초과하거나 리소스 반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입니다. 리소스가 부족한 상태에서 멀티태스킹을 시도한다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정 프로그램들은 리소스를 정상적으로 반환하지 못하는 버그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 후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 경우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마. 비디오 드라이버: 비디오 드라이버와 다이렉트X가 호환성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님의 비디오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세요. . 다이렉트X를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 보세요. 윈도우 98인 경우는 [시작]->Windows Update에서 하면 됩니다.
바.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 부족: 하드디스크의 여유 공간이 부족한 경우, 작업 공간이 부족해 발생합니다.[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도구->디스크 정리를 이용해서 하드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해 보세요.
사. 바이러스: 최신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해 보세요.
|
116.윈도우 xp 오류코드 표 - 아마 오류가 나면 갑자기 컴터가 자기 멋대로 꺼지거나 할 겁니다. 만약 게임을 하고 있다가 꺼져 버리면 환장하죠.... 그래서 오류보고서 보냄기능이랑 자동종료 끄는 방법은 제어판 들어가서 시스템에 들어간다음 고급탭으로 가서 시작 및 복구라는 곳의 설정을 누릅니다. 그러면 그곳에 시스템 오류나는 게 나오는데 관리 경고 보내기랑 자동으로 다시 시작이라는 체크되어j 있는걸 없에주면 컴터가 갑자기 오류땜에 꺼지는 일은 없을 겁니다. |
115.윈도우 XP 사용중- NTLDR is missing 에러 메시지 - 윈도우 XP의 익스의 사용하다보면 특정사이트에서 페이지를 나타낼 수 없다는 오류나 쿠키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면서 로그인이 않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곳이 있다. 이것은 개인 보완설정을 너무 높게 설정했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이 설정을 낮추어보자 그러면 보이지 않던 페이지가 나타날 것이다. 인터넷 옵션→개인정보→설정→슬라이드를 [낮음]으로 설정한다 |
114.윈도우 xp 블루스크린 에러처리 -
- .dll 파일관련 윈도우는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스 운영환경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멀티 프로세스의 구성은 많은 능력과 복잡한 절차들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그에 따른 장점도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개의 프로그램이 같은 기능의 프로그램 코드를 필요로 한다면 그 코드 부분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처리하면 결국 공유된 횟수만큼의 메모리를 아낄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개의 프로그램들이 자료도 서로 교환하면서 동작하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능을 윈도우에서는 DLL(Dynamic Link Library,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 DDE(Dynamic Data Exchange, 동적 자료 교환)라고 부릅니다. 또한 윈도우에서는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접근 가능한 여러 가지 종류의 자료를 처리할 때 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른 작업이 필요한데 이 모든 처리를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와 같은 자료에 대한 처리를 구분하는 방법 내지는 능력을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라고 부릅니다. 그러면 DLL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스용 언어에서 프로그램들을 컴파일하여 실행하려면 우선 소스프로그램을 컴파일에서 Object 파일을 만들고 다시 생성된 목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연결시켜 링크해서 EXE파일 등을 만든 후에 실행시키는 것이 정석입니다. 그러나 윈도우에서는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실행 시간(run time)에 메모리에서 링크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 또는 그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DLL 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윈도우에서 이러한 종류의 파일들은 DLL이라는 확장자를 가지는데 윈도우의 시스템 디렉토리에 있는 KERNEL.EXE, GDI.EXE, USER.EXE도 실제로는 DLL이며 각각 프로세스 관리, 그래픽처리 명령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 글씨에 모양만 저장되는 확장자로 FNT를 가지는 파일과는 달리 FON이라는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도 일종의 글씨체 전용 DLL로 그 글씨체가 필요할 때 링크되는 DLL파일입니다. DLL의 응용 용도에 대해 생각해 보면, 윈도우내에서 같은 DLL을 여러개의 프로그램이 사용하고자 하면 윈도우에서는 한 개의 DLL만 메모리에 올려 놓고 여럿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메모리를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kernel32.dll오류해결 윈도우즈를 사용하다 보면 가끔 사용자로 하여금 어찌할 수 없는 에러 메시지(잘못된연산오류메세지)가 뜬다. 이번에는 그 중에서 Kernel32.dll 에러에 대해서 알아보자. Kernel32 에러라는 것은 사용자의 환경에 약간의 이상이 생길때 나타나는 고질적 오류로서, 이를 해결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Kernel32 에러가 일어나는 환경이 어떤것인지, 이를 어떻게 고쳐야 수정할 수있는지 미리 아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다. Kernel32 에러가 나타나는 환경은 다음과같이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잘못된 메모리 관리자 로딩 명령 C:의 config.sys라는 파일에 메모리 관리자를 로딩할 수 있는 명령어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삽입된 메모리 관리자 로딩 명령어 때문에 Kernel32.dll 오류가 발생할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DEVICE=C:WINDOWSHIMEM.SYS /TESTMEM:ON'이다. 만약 자신의 config.sys 파일에 이러한 종류의 명령어가삽입되어 있다면 모두 지우기 바란다. 윈도 98의 시동에는 이러한 메모리 관리자 로딩 명령을 따로 줄 필요가 전혀 없다. ② 무리한 오버클로킹 CPU가 견디지 못할 정도의 오버클로킹을 강행했다면 당연히 쉴새없이 kernel32.dll 에러가 뜰 것이다. 대부분의 Kernel32.dll 에러가 이 때문에발생하므로, 오버클로킹을 했다면 반드시 원래의 위치로 환원시켜야 한다. 무리한 오버클로킹은 심한 경우 데이터를 모두 잃어버리는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다. ③ 그래픽 가속 기능이 최고로 되어 있을 경우 요즘 출시되는 그래픽 카드들은 별 문제가 없지만, 과거의 모델 중에는 그래픽 가속 기능을 최대로 했을 때 시스템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는 것들이 있다. 이 때는 그래픽 카드의 가속 기능을 한 단계 낮춰서 사용할 것을 권한다. 그래픽 카드의 가속 기능을 낮춰주려면, '시스템 등록 정보'를연 다음 '성능' 탭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다. 그런 다음 고급 설정에 있는 '그래픽' 버튼을 누르면 그래픽 보드의 가속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④ 손상되거나 유효 기간이 지난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가 일부 손상되었거나 드라이버 파일의 유효 날짜가 지난 경우에도 Kernel32.dll 에러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항상 최신의 드라이버로 그래픽 카드를 구동시킬 수밖에 없다. 이에 해당하는 비디오 카드는 극히 일부이지만, 여러 사용자에게 인증된 확실한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만이 문제를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⑤ CPU나 전원 장치의 효율이 떨어질 경우 펜티엄급 이상의 CPU를 사용하는 사람은 대부분 쿨러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에도 바람을 밖이나안으로 배출하기 위한 팬이 있다. 문제는사용 기간이 오래되면 쿨링 팬이나 파워의팬에 먼지가 끼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팬의 무게가 무거워져 회전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결국 냉각 기능도 떨어진다. 열이 배출되지 않으면 CPU의 온도는 올라갈 것이 분명하고, 전원 공급 장치 역시 제대로 전원을 공급해 주지 못한다. 이는 무리한 오버클로킹 때문에 CPU의 온도가높아지는 현상과 동일하다. 당연히 윈도는Kernel32.dll 에러를 표시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가끔 팬에 붙은 먼지를 제거해주는 것도 시스템을 건강하게 사용하는 한 방법이 된다. |
6.XP에서 파일,폴더 보안설정 - 윈2000 프로 사용자님들은 다 아시겠지만,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키 클릭해보면 공유-보안 메뉴가 있죠. 들어가 보면 관리자가 각 계정마다 다르게 액세스권한을 줄 수 있어서 개인적인 내용의 파일을 관리하기가 쉬웠죠. 관리자로 들어가서 이렇게 설정을 해주면 다른 계정으로 들어온 사람은 관리자가 보안설정한 폴더를 아예 액세스할 수 없거나 혹은 파일은 볼 수 있되 실행 할 수는 없도록하는게 가능했죠. 개인 사용자에게 크게 요긴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한 컴터를 여러명이 사용할때 특히 요긴하죠. 관리자로서 막강한 권한을 가지게 되니까요. 아시다시피 이런 기능은 ntfs덕분에 가능한 것이구요. XP에두 버전이 여러가지 있죠. 홈에디션이니, 프로페셔널이니... 전 프로페셔널을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홈에디션은 프로페셔널에서 몇가 지 기능을 제거하고 호환성을 극대화 시킨 버전이라고 하는데요, 홈에디션 버전에서는 위와같은 기능이 없다고 하는군요. 제가 홈에디션을 써보진 않 았습니다
하여튼, xp 프로에서도 위와같은 보안 설정이 가능한데요, xp에서도 윈2000 과 같이 공유-보안 메뉴에 들어가 봤지만 제 컴만 그런건지 해당폴더와 하위 폴더를 private시키는 체크박스에 체크가 안되더군요. 왜 그럴까...(한글화 패치 안함) 머리를 쥐어뜯다가, 결국 다른 방법을 찾았습니다. 역시 마우스 오른쪽 키 누르면 나오는 메뉴중에 등록정보를 누르시면 파일 속성 메뉴가 있죠? 그걸 클릭하시면 암호화 버튼이 있습니다.(제 컴에선 encrypt) 그걸 클릭하시고 암호화 설정을 하시면 하위폴더까지 암호화할꺼냐 고 물어봅니다. `당삼`이라고 대답해주면 암호화 성공. 그 폴더는 이제 빨갛 게 표시될 겁니다. 지금 로그인한 관리자 계정에서는 그 폴더의 모든 파일을 액세스할 수 있지 만, 다른 계정, 예컨데 게스트계정이나, 제한된 액세스를 설정한 계정으로들 어와서는 그 폴더에 대한 접근이 제한됩니다. 그럼, 시험해 볼까...로그오프하고 guest계정으로 들어왔습니다.. 아까 암호 화한 폴더가 빨갛게 보이고 안에 들어있는 파일이 보이긴 하지만 실행시킬 수는 없습니다. 음...성공이군..
홈에디션이 아닌 프로페셔널 사용자님들이라면 이런 기능들 썩히지 말고 적 극적으로 이용해보시길..관리자가 되어 내 컴을 누가 사용하도록 할 건지 정 할 수 있고 계정마다 다른 권한을 줄 수 있으니까...예를들어 길동이는 내 말 을 잘들으니까 관리자에 버금가는 권한을, 길순이는 어리니까 어른자료가 있는 폴더에는 들어가지 못하게
|
4.메모리 관리로 컴속도를 빠르게!(Re Up)
- 첫째, 소프트웨어 자체 오류다. 윈도우즈는 물론 그 어떤 프로그램도 완벽하지 않다. 비록 눈에 보이는 에러는 없어도 메모리 오류는 늘 안고 있다. 다만 언제 말썽이 생길지 모를 뿐이다. 일을 마치면 관련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깨끗하게 빠져 나온다는 것은 이론 에 불과하다.
둘째, 쓰지 않는 시스템 파일이다. 모든 소프트웨어가 그렇지는 않지만 적잖은 것이 윈도우즈에서 몇 가지 파 일을 빌려 와서 작동한다. 이것을 시스템 파일이라고 한다. 드라이브, 비주얼베이직 런타임,dll,ole 파일이 대표적이다. 이들 중에는 파일 크기가 아주 큰 것이 꽤 된다. 윈도우즈는 소프트웨어가 이들 파일을 쓰지 않아도 메모리에 올려놓아 쓸데 없이 공간을 낭비 한다.
셋째, 멀티태스킹 오류다. 윈도우즈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수행시킨다. 이를 멀티태스킹이라고 한다. 문제는 여기서 비롯된다. 필요하지 않는 프로그램도 실제로 작동하는 것처럼 메모리를 차지하기 때문 이다. 이제 고민할 것은 메모리를 헛되게 쓰지 않는 방법이다. 답은 간단하다.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의 도움을 구하면 된다. 메모리에 쓸데없는 파일이 올라오지 않도록 막는 유틸리티는 많지만, "램아이들 스탠다드"가 가장 돋보인다. 확보할 크기를 정해놓으면 공간이 모자랄 때 메모리를 알아서 청소하는 이 것은 메모리 여기저기 흩어진 데어터를 한데 모아 작업 속도를 높인다.
"램아이들 스탠다드(NT/2000용)" 플그램은 자료창고에 올렸습니다!
1>>프로그램을 깔면 트레이에 아이콘이 생긴다. 아이콘 위에 찍힌 숫자는 메모리의 남은 공간이다.
2>>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Cinfiguration을 고르면 옵션 창이 뜬다.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눌러도 된다.
3>> target free RAM 바와 minimum free RAM바를 움직여 적당한 값을 정한다. 이제 메모리의 남은 공간이 minimum free RAM값에 이르면 target free RAM을 알아서 확보한다. 두 값을 얼마로 해야 할 지 모르면 automatic을 눌러 최적 값을 정한다.
4>>free up칸에 2를, every칸에 3을 넣으면 메모리 용량이 50%이하로 떨어졌을 때 3분마다 메모리를 2MB씩 늘린다.
5>>메뉴에 있는 apply->최소화 버튼을 차례로 눌러 방금 손본 값을 저장하고 창을 닫는다.
가상메모리 휘어잡기!!!
메모리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면 가상 메모리를 빼놓을 수 없다. 보통 메인보드에 꽂힌 램을 `기본 메모리`라고 한다. `물리적 메모리`라고도 부른다.
반면에 가상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일부를 메모리처럼 쓰는 것이다. 모든 데이터를 기본 메모리에서 처리하면 가상 메모리가 필요 없지만 실제 로는 그렇지 않다. 기본 메모리가 미처 소화하지 못하는 부분을 가상 메모리가 맡아 처리함으 로써 작업 속도는 떨어지지 않는다. 가상 메모리 크기는 윈도우즈가 알아서 정하지만 기본 값일 뿐 최적 값은 아 니다.
가장 적당한 크기는 기본 메모리의 2.5배다.
예를 들어, 메모리가 128MB이면 최소 320MB를 가상 메모리로 잡는다. 또 하드디스크가 여러 개일 때는 갖아 빠른 곳에 가상 메모리를 둔다. `디스크 조각모음`을 해서 하드디스크를 정리한 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 상메모리를 정한다.
윈도우 98이나 ME의 스왑화일로 윈도우2000/XP부터는 페이징 화일로 화일 이 변경되었습니다..
1>>내컴퓨터->속성에 들어간다..
2>>자신의 램을 체크한다.
3>>"고급"탭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첫번째 "성능"->"설정"을 클릭!!
4>>성능 옵션의 고급탭으로 들어간다..
마지막의 "가상메모리"->"변경"을 클릭!!
5>> 페이징 파일이 저장될 곳은 속도가 가장 빠른 하드디스크를 고른다. "선택한 드라이브의 페이징 파일 크기"->"사용자 지정 크기"를 선택하고 "처음 크기"와 "최대 크기"는 자신의 램용량*2.5배 정도로 잡아준다. ("처음 크기"와 "최대 크기"는 같게 설정해줍니다.)
6>>시스템을 재부팅 하고 나면 가상 메모리 크기가 바뀐다.
cf>>가상메모리에 관해서.. 물리적 메모리가 모자라서 가상 메모리를 쓰는 것은 아니구요, 물론 그럴 때도 있지만, 윈도우즈의 알고리즘이 그렇게 되어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만 띄워도 가상 메모리를 씁니다. 운영체제 크기가 20~30MB이거든요. 물리적 메모리가 64MB여도 30MB이상이 남지만, 지금 당장 쓰지 않는 데이터를 가상 메모리로 옮겨놓습니다. 다음에 불러올 자료를 위해 자리를 비워놓기 위함이죠. 가상 메모리를 줄이느냐, 늘리느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가상 메모리를 줄인다고 작업 데이터를 물리적 메모리에 모두 놓는 것은 아니니까요. 하지만 물리적 메모리가 작을 때는 가상 메모리를 늘려야 효과가 큽니다. 정리하면 메모리가 넉넉할 때는 신경쓰지 마시구요, 반대로 메모리가 적을 때는 가상 메모리를 적극 활용하세요. 256RAM이하는 강추입니다!
|
1.XP 메모리 사용량 왕창 줄이기
- 글영문휘슬러를 까신분들중에 이러시는 분들이 자주 잇으셔서 아예.. 여기다 써놓습니다. 앞으론 이런 질문하시는 분들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간혹..휘슬러 까신분들중에…한글이 안쳐진다. 인코딩을 바꿔도 안된다...하시는데... 전 지금 영문을 쓰고 있는데...전에 쓰던 한글판과 전혀다르지 않게 잘 쓰고 있습니다. 물론 기본적인 매뉴는 영문에 좀 익숙하셔야하지만요.. 먼저 인터넷하실때 한글이 깨지는건...인코딩하면...된다고들 많이 말씀하시 는데...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아직 휘슬러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인코딩을 바꿔놓아도...다시 깨지는 경우 가 종종있습니다. 또한 한글을 아예 칠수가 없는데...이런 경우...(특히 검색창에 한글쓰실려고 애태우시는분들..)또한 해결방법이 있습니다. 위의 두가지 경우와...또 바탕화면..그리고 시작매뉴에 한글이 깨지는경우... 전부 해결가능합니다. 먼저... 제어판으로 가십시오..영문에는 control panel이 제어판입니다. 그리고 date,time,language and regional options 라고 있습니다. 언어나 시간설정을 하는곳이지요.. 들어가면.. regional options 라고 있습니다.클릭하면... 창이하나 뜨는데.. general 에 보면 standards and formats에 언어 포맷을 korean으로 바꾸시고 밑에 location도 한국으로 바꾸십시오. 그리고 다음.. 아주 중요한 것이지요.. 한글을 칠수있게 한글키보드라는걸 인식시켜야하니까요.. languages 에 보면.. 언어 입력과 방법이라고 있습니다.
changes를 눌러서 setting 가시면.. 디폴트입력언어라고 있습니다. 그언어를 한국어로 바꾸시고.. 밑에 installed services를 디폴트를 korean으로 하세요,.. 처음에는 영문으로 되있습니다. 한국어를 추가하시고...영어를 지우세요.. 그럼 디폴트가 한국어로 됩니다.
마지막으로 advanced에 언어를 korean으로 바꾸시고.. apply(적용)을 누르시고 재부팅하세요.. 그럼 모든 한글이 깨지지 않고..잘보이실겁니다. 시작매뉴,익스플로러,그리고 오른쪽아래 시간창두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