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1.중국어란?(특징.한자와차이.문법.발음표.성조.병음등)

영지니 2013. 9. 7. 12:29

Ⅰ. 중국어의 특징
(1)문법적인 특징
① 중국어는 격변화가 없다
우리는 이미 모국어로써 한국어를 배웠고 대부분 중학교 때부터 영어를 배웠기 때문에 계통이 다른 2개 국어의 언어학적 특성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중국어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중국어의 언어학적 특성을 이해하면 보다 빨리 중국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세계의 언어를 형태론적으로 크게 4가지로 분류합니다.
⑴중국어와 같은 고립어
⑵독일어,라틴어와 같은 굴절어
⑶한국어, 터키어와 같은 교착어
⑷에스키모어와 같은 포합어입니다.

중국어는 고립어이므로 교착어인 한국어와 문법 구조가 완전히 다릅니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기본적인 차이는 중국어는 어순에 의하여 문법적 관계가 나타나고 한국어는 교착어이기에 어휘 뒤에 문법적 형태를 붙임으로써 각 어휘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우리말이 속하는 교착어의 특징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 助詞, 助動詞가 붙어
단어의 뜻을 분명하게 해줍니다. 한국어 문장에서 단어 뒤에 붙는 "이,가,은,는(주격) ,의(소유격),에(처격),을,를(목적격)" 등이 모두 조사인 것입니다.

우리말은 교착어이기 때문에 조사와 어미가 수없이 덧붙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예를 들어「바쁘다/바쁘니/바쁜데/바쁘고/바쁘지/바쁠까/바쁜가…」등등 활용형이 너무 많아 같은 어원에서 나온 활용형인지,별개의 단어인지 분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반면에 고립어인 중국어는 단어에 접사가 붙지 않고, 시제나 격 표시는 독립된 단어에 의해 실현됩니다. 중국어는 같은 단어가 어순에 따라 동사가 되기도 하고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나는 당신을 사랑한다'를 3개 언어로 표현하면

한국어 나는 그를 사랑한다 (S+O+V)) 그는 나를 사랑한다 (S+O+V)
중국어 我 + 愛 + 他 (S+V+O)
他 + 愛 + 我 (S+V+O)
영 어 I love him (S+V+O) He loves me (S+V+O)

위를 보면 중국어는" 我"가 동사 앞에 나오면 주어가 되고 동사 뒤에 나오면 목적어가 됩니다.

한국어는 "나는"이 "나를"로 "그는"이 "그를"로 변화하고 영어에서는"I"가 "me"로 "him" 이"he"로 격변화를 하지만 중국어는 "我"가 목적어가 되도 "我"이고 "他"가 주어의 위치로 와도 "他"입니다.우리말이나 영어와는 달리 단어의 위치만 바뀌고 변화가 없습니다.

영어에서처럼"i -my- me", "he- his-him", "you-your-you"같은 격변화가 없습니다. 중국어는 이런 격변화가 없습니다

②중국어는 동사 변화가 없다

영어에서는 동사가 현재,과거,미래에 따라서 변화를 합니다. 정규동사는 원형사 뒤에-ed를 붙이면 되지만 불규칙동사는 과거형과 과거분사형까지 불규칙 변화를 모두 암기해야 만 합니다.
그래야 과거와 현재분사,가정법문장,미래형 문장을 정확히 해석하고 작문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여러분들도 중고등 학교 때 400개가 넘는 불규칙 동사의 과거형,과거분사형을 외우느라고 고생 깨나 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arise-arose-arisen"," give-gave-given" 과 같은 동사나 자동사와 타동사가 다르게 변화하는 "lie(눕다)-lay-lain", "lay(눕히다)-laid-laid" 어떤 동사는 형태변화를 하지 않는 원형동사 같은 것도 있습니다. "let-let-let","set-set-set"처럼 영어의 불규칙변화에 비해 불어는 정도가 훨씬 심합니다.저는 불어도 2년 정도 공부했는데 불규칙동사가 인칭과 수, 시제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여 공부하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의 "have" 동사에 해당하는 "avoir" 동사는 "j'ai - nous avons - tuas - vous avez - il a - ils ont"로 "go"에 해당하는 "aller" 동사는 "je vais - nous allons - tu vas - vous allez - il va - ils vont"로 변하는데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동사인데도 인칭과 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합니다.

중국어에는 이런 동사가 일체 없습니다. 예를 들어 "去"의 과거형도 "去"이고 미래형도 과거분사형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어처럼 "go-went-gone"로 변화하지 않습니다.과거,현재,미래 등 시제는 동사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단어를 문장에 넣어 표시합니다.

③ 명사,동사,단복수의 변화가 없다
영어에서 복수형은 명사의 어간에 "-s,-es"를 붙입니다. "-s"나 "-es"를 붙이는 정규변화 외에 불규칙 복수형도 아주 많습니다. 예를 들어"foot->feet","knife->knives","datum->data","ox->oxen"을 일일이 외어야 합니다. 그러나 중국어는 복수형이 아주 단순합니다. "我->我們" "他->他們" 등 몇 가지에 불과 합니다.

④명사의 남성/여성 구별이 없다
불어나 독어를 공부한 분은 잘 알겠지만 명사는 모두 심지어 형용사까지도 여성,남성의 구별이 있습니다. 제가 불어를 공부할 때 애를 먹었던 것이 명사의 성을 모조리 외어야 하는 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신체부위에서 visage(얼굴),cheveu(머리카락),front(이),nez(코), cou(목),bras(팔)는 남성명사이고 figure(얼굴),joue(빰),bouche(),dent(이),gorge(목구멍),main(손)은 여성명사입니다. 성에 따라 수식하는 형용사도 구별해야 하고 관사도 달라집니다. 소유형용사도 모두"mon-ma-mes","tong-ta-tes", "song-sa-ses" 등을 외워 구별해서 써야 하며 수식하는 형용사도 달라집니다. "blanc(하얀)"은 여성명사 앞에서 "blanche"로 변하지요 불어는 이런 것을 모두 암기해야 되지만 중국어는 명사나 형용사에 성 구별이 없어 암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⑤중국어는 관사가 없다
영어를 배울 때 초급수준에서는 잘 모르지만 중급이상의 실력이 되어 작문을 할 때 항상 고민하는 것이 관사의 용법입니다. 영어의 정관사,부정관사 용법은 쉬워 보여도 깊이 들어가보면 쉽지 않다는 알게 되죠. 단어에 "a,the" 가 붙음으로서 의미가 달라지고 뉘앙스가 달라집니다. 불어는 정관사는 "le,la,les"로 부정관사는 "un,une,des" 등으로 쓰이는데 관사도 수식하는 명사에 따라 변화하므로 작문을 할 때 관사의 용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중국어는 관사가 없습니다.

⑥중국어는 관게대명사가 없다
우리말은 언어분류상 알타이어족에 속하며 알타이 어족은 관계대명사,관사,전치사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우리말에 없는 관계대명사 용법을 배우고 관계대명사 문장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데 중국어도 우리말처럼 관계대명사가 없습니다.

⑦중국어는 존칭어가 대단히 단순하다
우리말은 보수적인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존경어가 대단히 발달되어 언어입니다.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우리말의 다양한 존칭어 때문에 하고 실수도 많이 합니다. 그러나 중국어는 존경어가 대단히 단순합니다.영어에서 "please"나 "ask","sir"정도만 적당히 구사해도 대단히 예의있는 표현이 되는 것처럼 중국어도 "請","敬","老" 등 만 사용해도 존칭어로 충분합니다.따라서 중국어는 문법적으로 아주 간단하고 쉽습니다. 이러한 간소화 경향은 중국인의 사유를 세밀함을 배제하고 모호한 진술이나 묘사로 기울게 하였으며 미세한 부분을 크게 따지지 않는 언어문화를 형성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종합적인 사고나 처리에 있어서는 남다른 안목을 갖게 한 것도 사실입니다.'대륙적 기질'이라는 말도 이런 것에서 유래되었을 것입니다. 중국인의 언어성격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이 이름과 年月日 표시입니다. 즉 性이 먼저 나오고 이름이 나중인데 이는 '性'쪽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것이며, 일자 표시도 년,월,일,시 순서로 표시해 서양의 '적은 것에서 큰 것으로'관찰하는 사고 방식과 기본적인 차이를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중국어는 이러한 언어사용의 습관과 문화를 계승해오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든 언어변화가 이루어 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⑵음성학적인 특성
중국어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사성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사성은 음의 고저와 장단으로의미를 구별하는 것으로 중국어와 중국의 영향권에 있었던 태국,베트남에 약간 남아 있으며 사성은 중국어가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가장 특징입니다.

성조는 불어의 liason(연음)이나 영어의 silent(묵음)과는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한 것입니다. 우리말에도 음의 길이에 따라 의미를 구별하는 비슷한 것이 조금있습니다.예를어 밤(夜)과 밤(栗)은 장단으로 구별을 합니다.

그러나 중국어의 음절은 모두 성조가 있으며 성조는 뜻을 구별하는 작용을 합니다. "fei"를 1성으로 발음하면 "날다(飛)", 2성으로 발음하면 "기름지다(肥)"의 뜻이 됩니다. "東西(dongxi)"에서 "dong"과 "xi" 모두를 1성으로 발음하면 "동쪽,서쪽"이 되고 "xi"를 경성(약한 발음)으로 발음하면 "물건"의 뜻이 됩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도 성조는 완벽해야 합니다. 성조가 틀리면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외국인이 사성을 완벽하게 익히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사성은 입문단계에서 완벽하게 배워야 합니다. 사성은 음악적인 것이라 음감이 나쁜 분들은 습득 시간이 더 걸리며 처음 배울 때 사성을 잘못 익히면 습관이 되서 나중에 교정하는 것은 더욱 어렵습니다. 아무리 단어를 많이 알고 문장을 많이 외워도 사성이 불안하면 중국인과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습니다.

사실 한국 사람은 문화적 유사성으로 한자에 익숙하기 때문에 사성만 정확히 익히는 것으로 중국어의 반은 정복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사성을 정확히 배우기 위해서는 보통 하루 1시간 이상 2~3주 정도 연습을 해야 하고 문장 속에서도 정확하게 사성을 발음하기 위해서는 2달 정도는 꾸준히 연습을 해야 합니다. 사성을 배울 때 중요한 것은 사성이 틀릴 때마다 옆에서 바로 정확하게 발음할 때까지 교정해주는 선생님이나 선배 등 교정자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⑶문화적인 유사성
한국과 중국은 국경을 맞대고 있어 수 천년간 많은 문화교류가 있어왔습니다. 특히 AD4~5세기에 우리나라에 한자가 전해진 이래 한국인은 근대까지 한자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여 왔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한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인은 천 년 이상 한자를 통해 중국의 문화를 수입하여 우리 것과 융합발전시켜 우리 문화의 자양분으로 삼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어릴 적부터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 같은 인물을 통해 호연지기를 기르고 서유기의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을 통해 모험심을 키웠습니다. 이태백과 두보의 시를 암송하고 공자,맹자,노자의 가르침을 모범으로 삼아 예를 익히고 인격을 도야했습니다.
지금도 젊은이들은 사오정을 주인공으로 유머시리즈를 만들어 내고 텔리비젼에서는 노자와 공자를 강의하며 많은 사람들이 한문 고전의 가르침을 따릅니다. 종종 친구나 동료의 집을 방문하면 "家和萬事成" 같은 가훈이나 거실이나 방에 "上善若水"같은 노자의 말씀이나 ,"學而時習之不亦悅呼" 논어의 구절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글말(文語)으로써의 한자의 비중은 우리의 언어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여 우리나라 사람은 한자에 익숙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의식을 하든 못하든 한자를 상당히 많이 쓰고 있는 셈입니다. 사실 우리말 어휘의 85%는 한자에 기원을 두고있으며 지금도 우리말과 중국어는 어휘의 70%가 동일합니다. 다만 발음만 다를 뿐입니다. 발음조차도 우리나라 한자음과 유사한 것이 많습니다. 따라서 한국사람은 중국어를 배우는데 그만큼 유리합니다. 특히 독해나 작문은 조금만 노력하면 능숙하게 할 수 있습니다.

쉬운 예를 들면 영어는 1월부터 12월까지january,februrary,march,april,may,june,july... 이고 불어는 영어와 비슷하여 janvier,fevrier,mars,avril,mai,juin... 등인데 중국어는 우리말과 똑같이 1月,2月,3月,4月... 처럼 수자로써 월을 표시합니다.
요일도 영어는sunday,monday,thurday..등이고 불어dimanche,lundi,mardi,mercredi... 인데 중국어는 月,火,水 .이나 星期1,星期2.. 같은 숫자로 표현합니다. 1터 10까지도 영어는 one,two,three...등이고 불어는 une,deux,trois,quatre,cinq...인데 중국어는 우리말과 같이
一,二,三,四...입니다.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울 때 유리한 점은 어휘적 유사성보다 언어적 사고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영어를 공부할 때 어휘나 문법을 정확히 암기해도 간단한 회화 표현도 미국식으로 바꾸어서 표현하지 않으면 콩글리쉬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핸드폰( ==> cellular phone,mobile phone)이나 노트북(==>laptop) 같은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영어권 국가는 한국,중국과 같은 한자문화권 국가들과 문화적,정서적으로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언어형성기부터 영어권 국가에서 생활하면서 영어를 배우지 않는 한 한국 사람이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할 때에만 가능한 고급영어를 구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합니다.

그렇지만 중국어는 우리가 이미 중국과 문화를 공유해 왔고 중국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고급 중국어도 구사할 수 있습니다.

⑷맺는말
중국어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문법적으로 단순하고 우리말과의 문화적 유사성으로 한국사람은 매우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문제는 성조입니다. 성조를 정확하게 익히는 것이 중국어를 정복하는 요체입니다. 중국어를 배우는 분들의 상당수가 처음에 발음,성조만 정확히 익히면 영어보다 훨씬 빨리 실력이 향상된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영어 공부의 1/3 정도 만 투자해도 일상적인 중국어는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완전 기초에서부터 시작한 학생이 1년 정도 공부하여 중국대학으로 입학하는 경우를 주위에서 많이 보았습니다. 영어권 국가의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정도의 영어실력을 갖추려면 최소한 3~4년은 공부해야 하는 것과 좋은 비교가 됩니다.

평소 어학에 소질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수년간 영어를 배우다가 지쳐 외국어는 어렵다고 생각하는 분 모두 중국어에 자신감을 갖고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중국어는 조금만 노력하면 정복할 수 있는 한국인에게 가장 쉬운 외국어입니다.

Ⅱ. 중국어와 한자
중국어와 한자는 다른 언어입니다. 우리가 접하는 한자는 중국어가 우리 언어 특성에 맞게 변형된 체계입니다. 중국어 어휘를 한자 외우듯 하나하나 끊어서 익히는 습관을 지금 당장 버리시고 통문장으로 외우는 습관을 기르십시요. 중국어는 소리 글자가 아닌 뜻글자라 수없이 많은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같은 단어도 때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됩니다.
원어민과의 대화 연습을 통하여 쉽게 기억하고 응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존에 알고 있던 한자의 지식을 중국어화 시키는 과정이 바로 각 한자의 실제적인 중국어 문장에서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어법적인 구성 요소로써 한자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한자 능력을 중국어로 변환시키는 중국어 학습 비법을 만나보세요.

Ⅲ. 중국어 문법
⑴양사: 양사는 사물 혹은 동작의 단위를 나타낸 단어이다.
중국어의 양사는 명양사와 동량사로 나뉜다. 명양사는 사물의 수량을 나타낸다,
명양사는 또 단위 양사와 도량 양사로 나뉠 수 있다고 말한다.

-.단위 양사는 사물의 단위를 나타낸다. 예: 개(개)、張(장)、本(권)
-.도량 양사는 사물의 도량을 나타낸다. 예: 寸(촌)、斤(근)、旽(톤)、立方米(㎥)
-.동량사: 동량사는 동작의 수량을 표시한다, 동사 전후에서 동작의 단위를 나타낸다 .
예: 次(차)、回(번)

⑵형용사: 사물의 형상, 양식, 성질 등 나타내는 실사를 "형용사"로 부른다
예:多(많다)、少(적다)、高(높다)、奢侈(사치하다)、단小(겁이 많다)、 丑 惡(추악하다)
⑶수사: 수사는 사물 숫자를 나타낸 단어이다. 예: 、二(둘)、百(백)、千(천)、半(반)
⑷동사: 동사는 사람 혹은 사물의 동작, 행위, 발전, 변화를 나타낸다.
예: 來(오다)、去(가다)、說(말하다).
-.어떤 동사는 심리 활동을 나타낸다.
예: 想(생각하다)、重?(중시하다)、尊敬(존경하다)、了解(이해하다).
-.능원동사: 어떤 동사는 …할 수 있다, …하기를 바라다는 뜻을 표시한다, 이런 동사는
"능원동사"라고 부른다. 예: 愿意(하기를 바라다)、可能(가능하다)
-.경향동사: 일부의 경향을 나타내는 동사는 "경향동사"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동사 뒤에
사용하여 경향을 나타낸다
예: 上來(올라오다)、上去(올라가다)、下來(내려오다)
⑸명사: 인화 사물의 이름 나타내는 실사. 예: 黃瓜(오이)、白菜(배추)、計算机(컴푸터)
-.전용 명사: 전용 이름을 나타내는 것은 "전용 명사"라고 부른다.
예: 云南(윈난성)、上海(상하이)、李白(사람이름)
-.추상 명사: 추상적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은 "추상 명사"라고 부른다.
예: 思想(사상)、質量(질량)、友誼(우정;우의)、方法(방법)
-.방위 명사: 방위를 나타내는 것은 "방위 명사"라고 부른다.
예: 上(위)、下(아래)、前面(앞면)、后변(뒤쪽)

Ⅳ. 중국 병음 자모 및 복운모 발음 표
⑴ 병음자모

a[아] b[뻐] c[츠] d[떠] e[어] f[fe] g[꺼]
h[허] i[이] j[지] k[커] l[러] m[머] n[너]
o[우어] p[퍼] q[치] r[르] s[쓰] t[터] u[우]
u[위] w[우] x[씨] y[이] z[쯔]

-. 한글 자음은 실제 중국어 발음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주의를 요합니다

⑵복운모

ai 아이 ie(ye) 이에(예) uei(wei) 우에이(웨이)
ei 에이 iao(yao) 이아오(야오) uan(wan) 우안(완)
ao 아오 iou(you) 이오우(요우) uen(wen) 우에이(웨이)
ou 오우 ian(yan) 이에(옌) uang(wang) 우앙
an 안 in(yin) 인 ueng(weng) 우엉
en 언 iang(yang) 이앙(양) ong 웡
ang 앙 ing(ying) 잉 ue(yue) 옹
eng 엉 ua(wa) 우아(와) uan(yuan) 위엔
er 얼 uo(wo) 우어(워) un(yun) 윈
ia(ya) 이아(야) uai(wai) 우아이(와이) iong(yong) 이옹(용)

Ⅴ. 성조
⑴성조(중국어의 발음에는 기본적으로 4가지의 성조가 있습니다)

중국어는 성조가 있는 언어이다. 중국어의 발음에는 기본적으로 4가지의 성조가 있습니다.
제1성: 높은 음에서 평탄하게 흐른다.
제2성: 중간 음에서 위로 짧게 올라간다.
제3성: 중간 아래 음에서 가장 낮은 음을 내다가 위로 살짝 올라간다.
제4성: 가장 높은 음에서 강하게 내려온다.

⑵성조의 위치
성조부호는 주모음(a,e,i,o,u,u)위에 표시한다.
▶a가 있으면 a에 표시
▶a가 없으면 e와 o에 표시
▶i과 u가 함께 있으면, 뒤에 오는 모음에표시
▶i 위에 성조무호를 표시할 경우는 i 위의 점은 생략

⑶성조의 변화(3성음절이 2개 연속될때는, 앞에 3성을 2성으로 읽는다)
①3성 음절이 두 개 연속될 때는, 앞에 3성을 2성으로 읽는다.
②제3성자는 제1,2,4성과 대부분의 경성 앞에 놓이면 '반3성'으로 바뀐다.
-.반3성'이 란 제3성의 절반, 즉 제3성 앞부분의 내려가는 부분까지만 발음하는 것을 의미
⑷경성
표준어에서 일부 음절은 약하고 짧게 발음되는데 이를 경성이라 한다. 문자로 표시할 때에는 성조부호를 표기하지 않는다

Ⅵ. 병음

⑴병음자모의 표기법

●i나 u로 시작되는 운모 앞에 자음이 오지 않는 경우,i는 반드시 y로, u는 w 로 바꿔 적어
야 한다. 예: ie-ye uo-wo
●운모 i나 u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때예는 앞에 각각y와 w를 붙여줘야 한 다.
예: i-yi u-wu
●iou, uei, uen이 성모와 결합할 때 e와 o를 생락한다. 예: jiu hui dun
●u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거나 한 음절의 맨 앞에 놓이면 yu라고 써야 한다. 예: yu yuan
●j, q, x가 u나 u로 시작한는 운모와 함께 쓰이면 위의 두 점은 생략된다.
예: ju xue que

⑵병음과 성저는 무엇인가?
중국어를 어떻게 읽을까? 어쨌든.. 중국어 처음이시죠. 다들. 그런데 중국어로 인사말 쯤은 할 수 있을 겁니다. 모르신다구요? 그럴리가요..“안녕하십니까”를 중국말로 뭐라 그래요?
네. “니하오”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니하오라고 적지는 않겠죠? "니하오”라고 적혀있는 것은 오직 한국과 북한사람 그리고 일부 한국동포들만 - 세계 약 9천만명 정도가 해독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미국인에게 물어보죠. 아니 미국인이 아니래도 영어의 알파벳정도는 알만한 사람에게 중국 인사말을 물어보면 ni hao라고 대답합니다.
(물론 모르면 고개만 갸우뚱거릴테고... 옛날에 그랬었어요. 잘 모른다는 표현을 중국어로는 “갸우뚱”, 일본어로는 “아리까리”. 아. 이 썰렁해지는 분위기)
자. ni hao라고 적어놨더니 중국어 초짜인 여러분도 읽을 수 있잖아요.
사실 중국에서도 ni hao라고 적어놔도 아무런 거리낌없이 아하 이거 인사말이잖아. 라고 의미전달이 되는 것입니다. xia tian wo yao qu zhong guo. 이렇게 한자 하나 없이도 중국사람들은 의사가 통합니다. (여름에 난 중국 갈거야.)라는 의미이네요. 그런데 무작정 영문으로 글자를 만든 건 아니고요. 원래 있던 한자의 소리에 발음기호를 붙인다는 형식입니다.
기존에 영문알파벳 발음을 참조하긴 하는데 알파벳과는 다른 중국식 소리로 읽게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중국어를 할려고 폼잡고 있는데 그전에 영문으로 되어 있는 중국어 발음기호 - 한어병음자모를 익혀야 합니다. 그럼 처음부터그러니까 청나라 명나라 당나라 등등 그때부터 영문으로 표기했을까요? 옛날에는 나름대로의 발음기호가 있었는데 개혁에 변혁을 더해 1950년대에 영문으로 발음을 표기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중국어를 읽을려면 영문을 사용하게 되고 그 영문을 중국식으로 읽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영문으로 읽기만 하면 끝나는가....그러면 누구나 중국어 하게요?

東 무슨 글자죠? 몰라요? 나무木’에 ‘날日’이 붙어 ‘해뜨는 쪽’ - ‘동쪽’을 가리키고, 읽을 때는 ‘동’이라고 읽습니다. 한자는요. 뜻은 아는데 그 소리를 내는 것이 문제예요. 그래서 그 소리를 알기위해 사전을 찾아보겠습니다. 중국사전에서 東을 찾으면 이렇게 되어 있어요. < 동 dong >
* ?은 東 글자의 중국식 간체자 표기입니다. 중국에서는 한자의 번잡스러움을 피하기 위해 걸쳐서 범국가적으로 글자를 간략화 하는 법안을 만들어 시행했는데 그런 글자를 간체자라고 합니다. 간단한 모양의 글자라는 말이죠. 이에 반해 이전부터 쓰던 글자를 번거로운 모양의 글자 그래서 번체자라고 합니다.
? dong 앞의 한자는 글자이고 뒷부분은 발음기호입니다. dong 어떻게 읽어요? 동이라고 읽습니다. 물론 중국식으로 읽어야죠.그래서 좀더 된 발음으로 똥. 이라는 소리를 내게 됩니다.
중국어에는 소리에 높낮이가 있다 -------- 아! 그런데 그냥 똥이라고만 읽기엔 너무나 큰 아픔이 도사리고 있으니.... 중국어는 소리의 높낮이가 있는 언어입니다.
이것을 소리 聲(성), 곡조 調(조)해서 성조라고 하는데요. 소리의 곡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소리에 음을 실어준다는 것입니다. dong 여기 보시면 발음기호 위에 - 표시가 바로 성조표시입니다. - / ∨\ 네 종류가 있습니다. 이 네 가지 부호가 발음기호의 모음위에 붙어 있어서 음의 높낮이를 조정하게 됩니다. 이것을 바로 성조라고 부른답니다. 그래서 'dong 똥'이라는 소리를 중국인들의 언어습관에서 나오는 네 개의 스타일중의 한 스타일로 발음해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림으로 그 높이를 그리며 이 정도 되겠죠.
각각의 화살표로 말하는 것을 1 2 3 4 성이라고 이름 짓습니다.
연습에 임하면서 똥이라고 발음하면 어감상 문제가 있어 다른 무난한 글자를 택해보겠습니다.

ma로 연습해 보죠. ma를 어떻게 읽어요? 그렇죠. “마”라고 읽습니다.
ma를 어떠한 높이에서 읽느냐에 따라 뜻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1성 마 : 엄마 2성 마 : 대마(옷감 만드는 식물) 3성 마 : 말(동물) 4성 마 : 욕하다
이 엄청난 차이를 보셨죠? 높이에 따라 달리 읽는 것을 뭐라 한다구요? 그렇죠. 성조라고 합니다. 발음은 같지만 성조가 다르면 뜻도 달라집니다.
그렇게 다르게 발음하는 것을 구분해서 1성 2성 3성 4성 이라고 명명합니다.

 

'외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중국어발음기호  (0) 2013.09.07
2.중국어 발음편 정리  (0) 2013.09.07
일본어 생활 회화  (0) 2012.01.21
생활영어 관용표현 150 개 정리자료  (0) 2010.11.20
한글 영문표기 |  (0) 2010.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