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도암, 전염성 간염, 몸이 퉁퉁 부을때, 학질, 골수염, 대장염, 숨이 찰때 약용한다.
일부지방에서는 봄철에 연한 잎을 따서 나물을 해먹기도 한다.
푹데쳐 하루이상 물에 우린다음 식용해야 한다.
회충, 촌충들 벌레를 죽이고 몸속의 독성을 풀어준다.
피부질환에는 달인물로 자주 씻어내며, 피부가 쓰리다 싶으면 사용을 중단 해야한다.
이용방안
全草(전초)를 澤漆(택칠)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 4-5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Quercetin, quercetin-3-galactoside, quercetin-3-galacto-galactoside, 沒食子酸(몰식자산)이 함유되어 있다. 乳汁(유즙)은 m-hydroxy-phenylglycin, 3,5-dilhydroxy 安息香酸(안식향산)이 함유되어 있고 건조된 유즙에는 caoutchouc(ployterpene) 13%, 樹脂(수지) 62%, 水溶性物(수용성물) 25%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수분 7.74%, 脂肪油(지방유) 32.61%, 단백질 17.43%, cellulose 33.82%, 糖分(당분) 및 glycoside 2.18%가 함유되어 있고 씨방유는 乾性油(건성유)로 峻下作用(준하작용)이 있다.
③ 약효: 行水(행수), 消痰(소담), 살충, 消毒(소독)의 효능이 있다.
水氣腫滿(수기종만), 痰飮喘咳(담음천해), 말라리아, 細菌性下痢(세균성하리), 나력, 癬瘡(선창), 結核性痔漏(결핵성치루), 骨髓炎(골수염)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3-9g을 달여 마시거나 또는 膏劑(고제),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膏劑(고제)를 붙이거나 분말을 만들어 조합하여 붙인다.
유사종
• 흰대극 :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 두메대극 :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 암대극 :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