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 - 호유 (미나리과) |
|
|
|
|
|
속명 : 호유실. 천초. 향유. 향채. 고식풀. 빈대풀
분포지 : 대개 사찰 등에서 재배. 지중해 원산
개화기 : 6 - 7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8월
높이 : 30 - 60cm
특징 : 원줄기는 곧게 서고 속이 비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식물 전체에서 독특한 향이 나서 향료재로 쓴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한해살이 풀
효능 : 씨를 진정. 치풍. 고혈압. 건위. 구풍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대변하혈에는 고수의 열매를 뜨거운 떡 속에 넣어 먹으면 효과가 있다.<보제방>
학질(말라리아)에는 고수의 풀 전체를 짓 찧어 즙을 내어 술 반 잔에 타서 마시면 매우 효과가 있다.(집간방)
건위. 구풍. 발한. 거담등에 고수의 열매를 1일 2 - 6g을 달여서 마신다.<약용식물사전>
고수의 풀은 음식물을 소화시키고소장의 기를 통하게 하며 창(부스럼)을 다스린다.
씨는 어린아이의 독창과 치질. 육류중독. 하혈을 다스린다.<본초강목>
▶ 전립선염에 좋은 고수풀
고수풀은 중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향신료의 하나이다.
중국에서는 향채(香菜)라 하여 거의 모든 음식에 넣어 먹는다.
중국을 여행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 고수풀의 냄새 때문에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수가 많다.
고수풀은 빈대 냄새가 심하게 나서 처음 먹는 사람은 역겨움을 느낀다.
그러나 습관이 되면 오히려 이것 없이는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인도, 태국 같은 데서도 카레나 수프에 향신료로 널리 쓰고 있다.
잎이 푸를 때는 빈대 냄새가 나지만, 황갈색으로 익은 열매에서는 달콤하고 매혹적인 향기가 난다.
중국에서는 이 씨를 먹으면 불로불사한다는 말이 있다.
한방에서는‘호유실’이라고 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잘되게 하며, 기침을 멎게 하고, 입 냄새를 없애며 상처를 치료하는 데 등에 쓴다.
고수를 서양에서는 코리안더(Coriander)라고 부른다.
이 이름은 빈대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코리스(Koris)와 좋은 향기가 나는 식물 이름인 아니스(anise)를 합친 것으로
잎이나 열매가 어릴 때에는 빈대 냄새가 나지만 익으면 아니스 같은 좋은 향기가 난다는 뜻이다.
고수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에서도 가장 널리 쓰인 약초의 하나였다.
히포크라테스도 고수의 씨가 복통이나 현기증 등을 치료하는 데 좋다고 했다.
고수씨는 탄수화물을 소화하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고대 로마 때부터 빵이나 과자를 구울 때 함께 넣었다.
또 빻아서 가루를 만들고 그 향기를 마시면 현기증을 치료한다고 하였고 유럽에서는 강장 효과가 뛰어나다 하여 차나 수프로 만들어 환자에게 먹게 하였다.
이집트에서는 3천년 전부터 고수풀을 시체와 함께 묻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고수풀의 강한 냄새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보호하는 부적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고수는 세계에서 가장 흔히 쓰는 향신료의 하나이다.
16 세기에 스페인 정복자들이 고수풀을 남미로 가져갔고, 미국에는 영국 이주민들이 가져갔으며, 오늘날에는 남미, 북미, 동남아, 유럽, 아랍 등의 많은 나라에서 귀중한 향신료로 쓴다.
일본에서도 ‘고엔도로’라 하여 생선이나 고기를 요리할 때 흔히 쓰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빈대 냄새를 싫어하여 먹는 사람이 드물다.
고수풀의 약효에 대해서는 옛 책에 대략 다음과 같이 적혔다.
“고수풀 뿌리와 잎은 기미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생채로 먹거나 김치를 담가 먹는다.
소화를 잘되게 하고 오장을 편하게 한다. 빈혈을 고치고 대·소장을 이롭게 한다.
배의 기를 통하게 하고 사지의 열을 없애며 두통을 치료한다.
씨는 벌레 독, 치질, 고기 중독, 토혈, 하혈 등에 즙을 끓여 차게 먹는다.
또 기름을 짜서 달여 어린이의 두창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많이 먹으면 건망증이 생긴다.”
고수풀은 전립선염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곧 고수풀과 더덕을 1:1의 비율로 하여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여간해서는 잘 낫지 않는 전립선염이 완화 내지는 낫는다.
3개월 넘게 꾸준히 복용하면 대부분 효과를 본다.
고수풀은 미나리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이다.
키는 40∼60센티미터쯤 자라며 생김새는 미나리를 닮았으나, 미나리보다는 잎이 더 잘고 가느다랗게 찢어져 있다.
여름철에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이 피고 진 뒤에 쌀알보다 큰 지름 3∼5밀리미터쯤의 열매가 달린다.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차츰 황갈색으로 익는다.
열매 속에 씨가 2개 맞붙어 있는데 단단하여 잘 깨어지지 않는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 음식 재료로 드물게 가꾼다.
(글/ 한국토종약초연구소 회장 최진규)
고수풀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호유 즉 고수풀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고수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늦여름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 하고 발진이 잘 돋게 하며 소화를 돕는다.
식욕부진, 소화장애, 식중독 등에 쓴다.
홍역내공, 두창, 치질 등에도 쓴다.
하루 3~6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안덕균씨가 쓴 <원색한국본초도감>에서는 고수풀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산형과의 한해살이풀인 고수의 뿌리와 지상부이다.
종자를 호유자라고 한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호유자는 맵고 시며 평하다.
효능은 호유는 발한투진, 소식하기 하며 호유자는 해표, 건비, 지통, 행기지사한다.
호유는 방향성이 높아서 땀을 내는 작용이 있고, 발진이 생겼을 때 사용하므로 홍역 초기에 발진이 생기지 않을 때에 형개와 배합해서 쓴다.
외용으로는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한다.
또한 방향성은 건위 및 소화작용을 일으킨다.
호유자는 표증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어서 홍역 초기에 발진이 생기지 않고 발열, 땀이 나지 않을 때 사용하고 정신 장애로 인한 식욕 감퇴, 설사에 효력을 발휘하며 두통, 치통에 통증을 그치게하는 효과가 있다.
호유자의 방향성은 건위, 소화 작용을 나타내고, 담즙 분비 작용, 항진균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에서 담도회충병에 호유자 50그램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중국에서는 고수풀을 팔꽃나무원자에 향초이름수 또는 고수풀유자를 쓰는데 이 한자가 컴퓨터에 없어서 그냥 한글로 '원수'로 기록한다.
중국에서 펴낸 <본초도감>에서는 고수풀에 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봄,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고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여름철에 열매를 채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열매에 volatile oils, D-mannitol, fatty oils, protein, flavonoid 이 들어있으며 전초에는 caprinaldehyde 이 들어 잇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은 발표투진(發表透疹), 건위(健胃)하며 치료는 열매는 소화불량, 식욕부진에 좋으며 전초는 마진부투(麻疹不透), 감모무환(感冒無汗)한다.
사용량은 5~1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는 전초를 적당한 양을 사용한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