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릉의 숲속에서 자라며 산지나 인가 부근에서 재배한다.
높이 4∼7m이다.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벗겨지며 연한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4∼12cm, 나비 2.5∼6cm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다.
뒷면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나고 곁맥은 4∼7쌍이며 잎자루는 길이 5∼15mm이다.
꽃은 양성화로서 3∼4월에 잎보다 먼저 노란색으로 핀다.
20∼30개의 꽃이 산형꽃차례에 달리며 꽃 지름 4∼7mm이다.
총포조각은 4개이고 길이 6∼8mm이며 노란색이다.
꽃잎은 4개이고 긴 타원 모양 바소꼴이다.
수술 4개, 암술 1개이고 씨방은 털이 나며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서 타원형이며 윤이 나고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약료작물로 심었으나 점차 관상용으로 가꾸기 시작하였다.
한국·중국 원산이며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심는다.
익은 산수유 열매를 끊여서 먹는다.
맛은 시고 깔깔하며 독을 가지고 있지 않다.
만드는 방법 : 산수유 30 ~ 60g을 물 600ml에 넣고 은근한 불에 30분 정도 달인 후 건더기는 걸러 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 마신다.
배합 가능 약초 : 대추, 곶감, 계피, 감초, 오미자, 구기자, 인삼
깊은 산지 계곡에서 자란다.
높이는 2∼3 m이다.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빽빽이 나며 특히 잎자루 밑에 가시가 많다.
잎은 손바닥 모양 겹잎으로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의 작은잎이 3∼5개 나오며 톱니가 있다.
6~7월에 산형꽃차례로 자황색 꽃이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암술대는 길이 1cm 정도로 완전히 합쳐지고 암술머리가 5개로 약간 갈라진다.
열매는 장과로 타원형이며 지름 7~8mm로 10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한국·일본·사할린섬·중국 동북부·우수리강 유역에 분포한다.
잔가지에 가시가 거의 없고 잎과 꽃차례가 큰 것을 민가시오갈피(for. inermis)라고 한다.
1. 가시오갈피 란?
가시오갈피의 학명은 아칸토파낙스 세시리프로루스이며 오갈피나무를 통칭하는 속명 Acanthopanax는 "가시"라는 뜻을 지닌 아칸토스(Acanthos)와 인삼이라는 뜻의 파낙스(panax)의 합성어임.
더덕의 고장 횡성에서 '게르마늄 더덕'을 개발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특허를 획득,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97년부터 시험포를 마련, 3년간의 연구끝에 유기게르마늄을 함유한 더덕생산에 성공, 지난 2000년 특허를 출원해 지난달초 특허권을 획득했다.
횡성 더덕이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으나 청정더덕이라는 것 이외에는 타지역산 더덕과 차별화되지 못했으나 이번 게르마늄더덕이 특허를 획득, 고품질 더덕브랜드화와 차별화로 농가소득증대는 물론 횡성의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농산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를 획득한 게르마늄 더덕은 더덕내에 게르마늄이 함유된 기능성 더덕으로기존 더덕에 비해 게르마늄성분이 함유되어있다.
지구자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10~17 m이고 수피(樹皮)는 흑회색이며 작은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피목(皮目)이 있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芽鱗]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잎은 길이 8~15 cm이며 어긋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에 3개의 굵은 잎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자웅이주로 6~7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양성화(兩性花)이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 모양이다.
열매의 3실에 각각 1개씩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다갈색이고 윤기가 있다.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과경(果莖)이 굵어져서 울퉁불퉁하게 된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맛을 한결 돋운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악기재 등으로 사용한다.
한국(강원과 황해 이남)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에 딸린 낙엽큰키나무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키는 15m, 지름 1m까지 자라는데 잎은 산뽕나무와 닮았다.
꽃은 6~7월에 피어 10~11월에 열매가 익는다.
열매의 모양이 특이하여 마치 닭의 발가락이나 산호처럼 생겼다.
열매는 단맛이 나고 씨앗은 멧대추 씨와 비슷하다.
백석목, 헛개나무, 목산호, 현포리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산록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3m 정도이고 끝이 휘어져서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줄기는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이며 새로 나는 가지에는 흰가루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5∼7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솜털로 덮였으나 뒷면 맥 위에만 약간 남는다.
잎자루는 줄기와 더불어 굽은 가시가 있다.
5∼6월에 연한 홍색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털이 있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인데 길이 6mm로 꽃이 지면 뒤로 말린다.
자방은 털이 있으며 열매는 장과로 7∼8월에 붉게 익으나 점차 검게 된다.
중국에서는 딸기속(屬)의 열매를 모두 같이 사용한다.
열매는 딸기와 같이 생으로 먹는다.
한국 ·중국에 분포하고 일본에서는 재배한다.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는 것을 청복분자딸기(for. concolor)라고 한다.
유래
복분자(覆盆子)의 한자풀이 : 覆:깨트릴 복, 盆:요강 분, 子:아들자 가.
복분자의 유래- 옛날에 한 부부가 대를 이을 자식이 없어 고민하던 중 늘그막에 아들을 하나 얻었는데 너무 병약하였다. 좋다는 약은 죄다 구하여 먹여 보았으나 별로 효과가 없었다.
그러던 중 지나가던 스님이 산딸기를 먹이라고 권하여 날마다 복분자를 부지런히 먹였더니 정말 놀랍게도 아들은 매우 튼튼해졌다.
그 아들이 얼마나 건강하고 힘이 좋은지 소변을 보면 소변 줄기가 요강을 뒤엎어 버릴 만큼 세었다.
그래서 하도 신기한 나머지 이 약재의 이름을 복분자(覆盆子), 즉 요강을 뒤엎는 과실이라고 지었다 한다.
나.
복분자의 유효 성분 - 탄수화물로 포도당(43%), 과당(8%), 서당(6.5%), 펙틴 등 함유 - 유기산으로 레몬산, 사과산, 살리실산, 카프론산, 개미산 함유 - 비타민으로 비타민 B, C 함유 - 색소성분으로 카로틴, 폴리페놀, 안토시안, 염화시아닌배당체 함유 - 씨에는 기름(11.6%), 피토스테린(0.7%) 함유 다.
'증상별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호리/명아주/백양선/파고지 (0) | 2008.01.30 |
---|---|
산야초와질병관계 (0) | 2008.01.30 |
증상별산야초100가지 (0) | 2008.01.28 |
건강먹거리 (0) | 2008.01.28 |
꽃으로 체크하는 건강 (0) | 2008.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