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상에서 운행 소요시간 계산하기
등산의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산행하고자 하는 대상산과 루트 그리고 기간이 결정되면, 루트의 구간별 운행 소요시간을 계산해야 한다. 구간별 소요시간을 계산해 놓지 않은 운행계획은 계획이라고 할 수 없으며, 실제 산행에서 많은 시행착오, 조난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구간별 운행 소요시간의 계산을 하게 되면, 취사를 해야할 곳, 야영을 해야할 곳들을 착오없이 정할 수 있으며, 귀가해야 할 시간을 맞출 수 있다.
이미 산행을 해 본 루트라면 소요시간은 경험으로 부터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 생각없이 무작정 다녀 왔다면 이미 가 본 루트의 소요시간도 계산할 수 없다. 처음 가는 루트라도 경험이 풍부한 사람은 지도만 보고 대강의 소요시간을 계산한다. 이러한 경력을 쌓기까지의 과정은 2가지가 있다. 무작정 다니며 오랫동안 많은 시행착오와 고생을 겪으며 얻은 노-하우(know-how), 효과적인 소요시간 계산법을 익히고 몇번의 실습을 통하여 얻은 노-하우(know-how), 여기서는 2번째 방법인 효과적인 소요시간 계산법을 익히도록 한다.
1. 간편한 소요시간 계산
주어진 전체 산행시간이나 기간에 알맞는 루트를 선정할 때, 뒤에서 설명할 조금 복잡한 방법은 불편할 수도 있다. 또 미리 계산해 놓지 않은 루트의 소요시간도 빨리 계산해야 할 때가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고도차로 부터 간단하게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특별히 험하지 않은 보통 경사의 우리나라 산에서는 1시간에 300m에서 400m정도의 고도를 높힐 수 있다. 소요시간을 계산하고자 하는 구간의 고도차는 등고선을 세어 계산한다. 이것은 크게 휘어지지 않은 산길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보통 우리나라의 산길은 계곡이나 능선을 따라 오르기 때문에 산마다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게 소요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주 사용한다.
물론 이것은 자신의 보행속도와 배낭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1시간에 300m-400m 고도 상승'이라는 기준은 대강 보통의 체력을 가진 20대의 젊은 남자가 약 15kg-20kg의 배낭(약60-70리터)을 매고 오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 방법으로 미리 구간별 소요시간을 계산해 놓고 실제산행의 소요시간과 비교하는 경험을 몇번 쌓다보면 자신만의 기준을 계산해 놓을 수 있다.
2. 계수법에 의한 소요시간 계산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기본식은 '거리/속도', 즉 '거리÷속도'이다. 예를 들어 '1시간에 4km를 가는 사람이 10km를 갈때는 몇시간이 소요되나?' 라는 문제에서 거리는 10km, 속도는 1시간에 4km이다. 따라서 소요시간은 '10km÷4km=2.5시간'이 된다. 여기서 0.5시간을 분으로 환산하기 위해 '0.5×60=30'을 하면 30분, 즉 2시간 30분이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산행루트의 소요시간을 계산하는데, 산길에서 거리와 속도를 측정하는 것은 평지와는 달리 쉽지 않다. 왜냐하면, 산길은 경사가 있고 꼬불꼬불하며, 배낭의 무게와 경사도에 따라 보행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도상에서 측정한 거리를 실제거리와 비슷하게 환산해 주는 거리계수, 평지에서의 보행속도로 부터 산길에서의 보행속도를 감안해 주는 속도계수를 이용한 계수법에 의한 소요시간 계산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정확한 소요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표) 소요시간 계수표
|
(실제거리 환산계수) |
(시간당 운행거리 감소계수) |
시간당 운행속도(km/hr) | |||
|
|
보통사람 |
빠른사람 | |||
구 간 경 사 도 |
|
|
|
|
3.09 |
3.09 |
|
|
|
|
2.67 |
2.67 | |
|
|
|
|
2.15 |
2.31 | |
|
|
|
|
1.71 |
2.00 | |
|
|
|
|
1.33 |
1.73 | |
|
|
|
|
1.00 |
1.50 |
거리계수(실제거리 환산계수)는 지도상에서 측정한 거리를 실제거리와 비슷하게 환산해 주는 계수이다.
지도는 평면이고 실제 산길은 오르막 또는 내리막의 산길이다. 따라서 경사가 심한 만큼 실제거리는 지도상의 거리보다 길어지게 된다. 또한 꼬불 꼬불한 산길, 등고선상에 나타나지 않는 오르막 내리막등을 감안한다면더 길어지게 된다. 경사도가 급해지면 이 차이는 더 심해 진다. 지도상의 곡선거리에 축척을 곱하고 다시 구간의 경사도에 따른 거리계수를 곱하여 실제거리를 계산한다.
속도계수(시간당 운행거리 감소계수)는 평지에서 걷는 속도를 산길을 걸을때 적용하기 위해 만든 계수이다.
보통 성인은 평지를 1시간에 4km를 걷는다. 그러나 산길에서는 경사도와 험한 정도에 따라 1시간당 걸을 수 있는 거리는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1시간당 4km를 걷는 사람이 1km내의 표고차가 120m인 경사도를 가진 산길에서 속도가 약 20% 줄어든다고 보면, 1시간당 운행거리는 4km x 0.8 = 3.2km가 된다.
속도계수는 사람마다의 체력과 배낭의 무게에 따라 그리고 계절, 등산로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다. 위에서 제시한 속도계수는 배낭무게 약 20kg - 25kg (약60-70리터)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만약 이 속도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소요시간이 실제 소요시간과 차이를 보일때, 그 차이만큼 속도계수를 조정하여 자신만의 속도계수를 산정해 낼 수 있다.
시간당 운행속도는 위 표의 구간경사도별로 1시간당 평지 보행속도가 4km인 사람의 시간당 운행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계산해 놓은 것이다. 즉 거리계수와 속도계수를 함께 감안하여 게산해 놓은 수치이므로 이 수치를 직접 활용하면 된다. 다시말해 지도상의 거리*축척을 하여 환산한 실제거리에 바로 이 시간당 운행속도를 나누면 그 구간의 소요시간이 계산된다. 주의할 점은 거리계수를 적용하여 환산한 실제거리를 사용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이 수치는 다음와 같은 식으로 계산해 놓았다. 4km * (속도계수/거리계수)
3. 소요시간 계산
위에서 설명한 계수에 의한 소요시간 계산법으로
북한산 도선사주차장에서 용암문까지의 소요시간을 계산해 보기로 한다.
이곳의 1:25,000 지형도의 지도명은 "고양"이다.
① 구간 설정 : 등산루트 전체를 한꺼번 소요시간을 계산하면 매우 복잡하므로 오르막, 내리막, 계곡, 능선등을 구분하여 적당히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로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설악동-비선대-양폭-희운각 대피소-소청봉-대청봉과 같이 1시간-2시간 내외의 구간으로 끊어야 편리하다.
② 지도상의 실제거리 계산 : 지도상에서 도선사아래 불상이 있는 주차장에서 용암문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곡선이기 때문에 커비미터(curvi meter)나 맵미터(map meter)와 같은 곡선자를 이용하면 편리하고, 곡선자가 없으면 실로 재야 하는데 조금 불편하다. 곡선자는 측량.제도용품을 판매하는 대형 문구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도선사에서 용암문까지의 지도상 거리는 4.5cm, 여기에 축척 25,000을 곱하면 지도상의 실제거리는 1.125km가 된다.
지도상의 실제거리 = 지도상의 거리 × 축척
③ 1km내의 표고차 계산 : 계수표를 보기 위해서는 거리 1km내의 표고차를 계산해야 한다. 1km내의 표고차 계산은 해당구간의 평균경사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구간의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의 해발고도를 지도상에서 등고선을 보고 찾아내어 빼주면 된다. 그러나 계산하고자 하는 구간의 거리는 1km가 아닐 때가 대부분이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환산해 주면 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단위를 아래 식과 같이 맞추는 것이다.
1km일때의 표고차 = 해당구간의 표고차(m) ÷ 지도상의 실제 거리(km)
도선사의 해발고도는 290m, 용암문의 해발고도는 570m, 표고차는 570m - 290m = 280m 이다. 따라서 280m ÷ 1.125km는 248m. 그러므로 도선사에서 용암문까지의 표고차를 거리 1km일때의 표고차로 환산한 값이 248m이다.
④ 계수 찾기 : 위 표에서 표고차 248m는 '1km내의 표고차 200m-250m'에 해당된다.
그래서 거리계수는 1.4, 속도계수는 보통사람 0.60이다. 그리고 시간당 운행속도는 보통사람기준 1.71km이다.
즉 도선사에서 용암문까지 정도의 가파른 등산로에서는 1시간당 1.71km정도 운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소요시간의 계산>
지도상의 실제거리가 1.125km이고, 1시간당 운행속도가 1.71km이고, 소요시간은 거리를 속도로 나눈 값이므로1.125km/1.71km=0.658
0.658 * 60분 = 약 39분
지금까지의 과정을 간단히 요악하면
(1) 지도상의 거리 : 4.5cm
(2) 실제거리 : 4.5cm * 25,000 = 1.125km
(3) 주차장의 해발고도 : 290m
(4) 용암문의 해발고도 : 570m
(5) 구간고도차 : 280m
(6) 1km 고도차 : 280/1.125 = 248m
(7) 시간당 운행속도 : 1.71km
(8) 소요시간 : 1.125km / 1.71km = 0.658시간, 분으로 환산하기 위해 60을 곱하면 약 39분
구간 소요시간 = (지도상의 거리 × 축척) / 계수표의 시간당 운행속도 |
<잘못된 계산 사례>
다음은 위의 계수표를 잘못 적용하여 계산한 것을 보여주다.
(1) 지도상의 거리 : 4.5cm
(2) 실제거리 : 4.5cm * 25,000 = 1.125km
(3) 주차장의 해발고도 : 290m
(4) 용암문의 해발고도 : 570m
(5) 구간고도차 : 280m
(6) 1km 고도차 : 280/1.125 = 248m
(7) 거리계수 : 1.4
(8) 실제거리 환산 : 1.125km * 거리계수 1.4 = 1.58km
(9) 시간당 운행속도 : 1.71km
(0) 소요시간 : 1.58km / 1.71km = 0.92시간 => 약 55분
위에서 잘못 적용한 부분은 (7)번과 (8)번에서 거리계수를 적용하여 실제거리를 환산한 것이다.
계수표에서 시간당 운행속도는 거리계수와 속도계수를 적용하여 계산한 값이므로 거리계수를 적용한 환산거리를
계산하고 이 거리에 시간당 운행속도를 나누는 것은 2번 적용하는 것이 된다.
4. 내리막 소요시간 계산
내리막 산길에서 소요시간은 사람에 따라 산길의 상태에 따라 20% - 40% 정도 단축된다. 보통사람은 30% 정도, 내리막에 익숙한 사람은 40% 까지, 초보자는 20% 정도 소요시간이 단축된다. 내리막에서 소요시간계산은 위의 방법과 같이 계산하고 마지막으로 계산된 소요시간에 내림길 조정계수(0.8 - 0.6)를 곱한다. 만약 구간중에 내림길이 1/3, 오름길이 2/3이라면 조정계수는 (0.33 × 내림길단축0.8) + 0.67 = 0.934가 된다. 여기서 0.33과 0.67은 내림길이 없을 때의 조정계수 1에 대한 1/3과 2/3의 비율이다.
지금가지의 방법이 조금 복잡하고 번거롭게 생각되겠지만, 몇번 실습을 해 보면 숙달되어 쉽게 계산해 낼 수 있다. 이렇게 운행 소요시간을 계산하고 실제 산행시간을 기록하며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면서 산행을 하다 보면 거리와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감각이 발달되어 비교적 정확하게 운행계획을 세울 수 있고, 눈 대중으로 지도만 살펴 보아도 거리와 소요시간을 어림잡아 계산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산행,등산,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고선 보기 (0) | 2008.03.10 |
---|---|
나침반이란? (0) | 2008.03.10 |
자연현상으로 방향 찾기 (0) | 2008.03.10 |
전남북 아름다운 도로 (0) | 2008.03.05 |
지리산등산-17가지코스 (0) | 200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