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요법

비 위 -민간요법

영지니 2008. 3. 19. 21:17

 

* 술에 관한 병

* 급체 急滯, 구체 久滯, 적괴 積塊
* 중독 中毒
* 위산과다 胃酸過多
* 위궤양 胃潰瘍
* 위암 胃癌
* 위통 胃痛
* 위확장 胃擴張
* 위를 튼튼히 하는법
* 위장병(胃腸病)
* 술과 관계된 병
* 토사(吐瀉), 곽란(藿亂)
* 식중독(食中毒)
* 위 胃에 관한 병

 

 

 

◆ 술에 관한 병 ◆

(1) 청주의 숙취에 무우즙
숙취로 기분이 나쁠때나 술에 곤드레가 되었을 때 머리와 가슴을 젖은 수건으로 식혀 주면서 될 수 있는 대로 메운 무우로 즙을 내어 다량을 먹인다.
(2) 맥주의 숙취에는 대나무잎
맥주를 과음했을 때는 대나무잎 12 - 13장을 포개어 잘게 썰어서 물 3홉으로 반쯤이 되게 달인 것을 하루동안에 몇차례에 나누어 마신다.
(3) 숙취에는 검은콩
검은콩 1홉에 물 3홉을 붓고 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동안에 몇차례 마시도록 하면 속이 풀닌다. 또 수삼(水蔘)을 달인 물을 마시면 가장 속이 편해진다.
(4) 감이나 녹차
숙취에 감을 먹거나 진한 녹차를 마시면 속이 차츰 풀린다.
(5) 숙취(宿醉)에 팥물
간을 넣지 않고 푹 삶은 팥물을 많이 마시면 곧 토기(吐氣)도 멎고 숙취도 낫는다. 팥에는 해독 작용이 있는 것이다.
1.해주(解酒)에 갈화(葛花) : 칡꽃을 많이 따다 말려 두었다가 3g씩 끓는 물에 우려 마시면 이상적인 해주법이 된다. 향기롭고 맛도 좋다.
2.주독(酒毒)과 단주(斷酒)에 기구(機構) : 한약방에서 기구를 구해 10 - 15g을 2홉의 물로 달여 한 홉이 되면 두 번에 나누어 마신다. 모국(某國)에서는 거국적으로 이 기구를 채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1) 급체한 식품과 동종의 식품의 흑소분(黑燒粉)
식체(食滯)로 가슴이 답답하고 대변불통인 경우에는 그 체한 식품과 동종의 식품에 약간에 소금을 섞어 뭉쳐 밀폐된 그릇속에서 태워 그 가루를 한숟가락 술이나 귤껍질 끓인 물로 먹는다. 가장 온건하며 효과적인 방법이다.
(2) 피마자기름과 우유
어떠한 식체이든 피마자기름과 우유를 반반 섞어 펄펄 끓이고 설탕을 약간 섞어 식은 후에 마시면 쑥 내려간다.
(3) 밀가루 음식에 체하면 당근즙
오래된 것도 당근을 강판에 갈아 그 생즙을 큰주발로 하나 마시면 낫는다. 한번에 안되면 몇일 되풀이 하면 근치된다.
(4) 생선에 체하면 산사(山査)
생선고기를 먹고 체한 경우에는 산사를 밀폐된 그릇속에 넣고 불로 달구어 태워 그 가루를 몇번 먹으면 낫는다. 먹는 양은 한번에 한숟가락.
(5) 쇠고기에 체한데는 볏짚
쇠고기를 먹고 체하여 구체가 된 경우에는 마른 볏짚을 한 줌 진하게 다려 덥게 마시면 시원하게 뚫린다. 한번에 안되면 여러번 되풀이 한다.
* 임시 체한데는 배를 강판에 갈아 그 즙을 한대접 마셔도 쑥 내려간다.
(6) 양고기 체한데는 밤껍데기
양고기로 구체가 된 경우에는 밤 껍데기를 끓여 그 국물을 마시면 직효를 본다고 한다.
1. 과음 인사 불성에 양조 식초 : 양조 식초를 양주잔 하나 정도 삼키게 하면 곧 정신이 든다 (이는 옛 미국병사의 술깨는 비방이었다. 물과 꿀을 약간 섞는 것도 좋다. 반드시 양조 식초).
2. 식도(食道)에서 밥이 잘 안 내려갈 때 : 우유 한홉에 부추 생즙 한숟갈. 무우 생즙 한숟갈, 배 생즙 한 숟갈, 생강즙 한 숟갈을 섞어 끓여 마신다.
(7) 계란에 체하면 식초
좋은 양조식초를 마신다. 단번에 안되면 몇번 마시면 낫는다.
(8) 오리알에 체한데는 찹쌀뜨물
진한 찹쌀뜨물을 끓여 넙게 하여 한대접 마시면 쑥 내려간다. 한번에 안되면 몇번한다.
(9) 콩(두부)에 체한데는 무우즙
콩 또는 콩으로 만든 음식에 체하면 무우를 강판에 갈아 그즙을 한대접 마신다. 단번에 안되면 2, 3차 한다. 반드시 낫는다.
(10) 참외에 체하면 그껍질
참외뿐만 아니라 수박, 물오이등에 체했을 때는 그 식품의 껍질을 푹 끓여 국물을 마시면 쑥 내려간다.
(11) 주체(酒滯)에 닭멀떠구니
닭멀떠구니(닭의 밥통 : 溪內金이라 함)를 말린 것에 같은 양의 갈분(葛粉)을 섞어 가루로 하여 쪄서 환을 지어 술로 먹는다. 환의 크기는 오동나무씨 정도이며 50알씩 먹는다. 오래된 주체도 근치된다.
(12) 부괴(부塊)에 웅황(雄黃)과 백반
배속에 딴딴한 덩어리가 생긴 경우에는 웅황과 백반을 각각 1량(兩) 합쳐 가루로 하여 한다음 밀가루에 반죽하여 걸죽하게 고약처럼 개어 환부에 붙인다. 좀 두텁게 한다. 몇번이고 갈아붙이면 반드시 효과를 본다.
(13) 과음으로 인사불성이 된데에 두부
술을 너무 마셔 죽음 일보 직전에 있는 경우에는 먼저 머리를 풀어헤치게 한다음 냉수에 담그고 옷을 벗겨 두부를 온몸에 붙였다가 잠시후에 갈아 붙인다. 몇번 하면 반드시 깨어난다. 단 겨울철 추운곳에서는 이 방법을 쓰지 말 것.
1. 주체에 자주 쓴풀 : 제주도를 비롯하여 우리 나라들에 흔히 있는 이 풀을 진하게 달여 마시면 5분도 안되어 위의 내용물을 깨긋이 토하게 되어 거뜬해진다.
2. 급체에는 토하라 : 참외꼭지를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하고 그와 같은 분량의 팥가루를 섞어 종이통으로 목구멍에 불어 넣으면 즉시 토한다 (吐法은 한방의 3대 치료법의 하나다).
음식물에 의한 중독은 이를 중화하거나 해소하는 방법을 쓰는 것이 보통이고 중독 중세의 초기에는 토해버리는 것이 상책이다.
독물에 중독했을 때는 그릇이나 남은 것을 조사하여 독물의 종류를 알아내어 이에 대한 조치를 한다. 독물중독은 모든 것에 앞서 위속의 것을 토해 내게 하고 물을 먹여서 몇번이고 씻어내고는 의사에게 달려가도록 한다.
(1) 쥐약에는 감물
쥐약은 대부분 그 성분이 아비산(亞砒酸)이기 때문에 감물을 소주잔에 한잔 정도를 먹이고 난 다음 위속의 것을 토해 내게 한다. 감물은 먹기 힘드는 것이나 강제로라도 입을 벌리고 먹이도록 한다.
(2) 쥐약의 중독에 계란흰자
쥐약을 먹은 것이 판명되면 달걀 5-6개의 흰자만을 먹이고 난 다음 손가락으로 목구멍을 자극하여 위속의 독물을 토하게 한다. 의사가 올 때까지 몇차례고 되풀이 하도록 한다. 쥐약의 중독에는 다른 중독의 경우에 먹이는 우유와 피마자기름을 먹여서는 안된다.
(3) 석탄산의 중독
우유, 소다수, 중조수 등을 몇홉이고 먹여서 강한 산성을 중화시킨 다음 목구멍에 손가락을 넣어 토하게 한다.
1. 아편을 잘못 먹어 까무러친데 : 아직 몸이 부드러우면 빨리 오리의 생피를 많이 삼키게 하면 신효를 본다. 이때 햇빛을 보이면 안된다 (중국 단방) * 즉시 의사를 부를 것.
2. 아편독에 목화꽃 : 목화꽃을 태운 가루를 고운 소금과 3대1의 비율로 섞어 20그램을 물 반 대접에 타서 단번에 마신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마심. * 이것은 목화꽃의 성분 연구를 위해 소개했다.
(4) 가스중독
환자를 실외로 옮겨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게 하면서 인공호흡을 시키는 한편 무우를 강판에 갈아 즙을 내어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먹이고 의사에게 달려간다.
(5) 산성중독의 구별
산성이 강한 약물 중에서 일반적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은 황산, 염산, 질산 등이다. 이것들을 마시면 입, 목구멍, 밥줄, 위, 장의 내부가 헐어서 출혈을 하게 된다. 환자의 입속을 들여다 보면 황산의 경우 입속이 검게 헐고, 질산의 경우에는 노란색, 염산은 흰색으로 보인다 입가장자리에 흑갈색의 변화가 보이는 것은 황산중독이다. 석탄산의 중독은 입속의 헐은 자리가 회고 오줌이 검은 것이 특징이다.
(6) 육류의 중독
쇠고기국을 먹고 체 했을 때는 배를 깎아서 먹고 껍질과 속을 따로 2홉의 물로 달여서 반이 된 것을 복용한다.
보신탕에 체했을 때는 쌀구씨(杏仁)를 2개 2홉의 물로 달여서 반이 되면 이를 복용한다.
(7) 조개의 중독에는 참기름
질이 좋은 참기름을 소주잔 한잔정도를 마시는 것이 좋다.
(8) 생선의 중독에는 남천의 잎
남천의 새잎을 소금으로 비벼서 즙을 짠다. 남천의 잎은 수분이 적은 식물이기 때문에 좀 넉넉히 모아서 짠다. 이 즙을 조금만 먹어도 중독을 막을 수가 있다. 생선이 변하지 않았나 하고 의심스러운 때도 중독하기 전에 미리 먹어두는 것도 좋다.
1. 비상 중독에 방풍(防風) : 방풍 600g을 진하게 달여 냉수에 타서 배속의 독을 다 토해 낼 때까지 자꾸 마시게 한다. 물론 병원에 빨리 연락해야 함.
2. 비상독에 오동나무 기름 : 생동유를 찻잔으로 두 잔 강제로 삼키게해서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9) 다랑어, 고등어의 중독
대왕풀(紫蘭 : 한방에서는 백급(白汲)이라 한다)의 새잎을 달여서 마신다.
(10) 생선의 중독
머위의 줄기를 찧어서 즙을 내어 1-2시간마다 조금씩 1-4회 마시면 위속의 것을 모조리 토하게 된다.
(11) 새우나 게의 중독
시우나 게가 변한 것을 먹으면 목숨을 잃는 일이 있는 무서운 중독이다. 연뿌리를 강판에 갈아서 그 즙을 짜서 컵 한잔 정도를 1-4시간마다 마시도록 한다. 중독을 일으킨 게나 새우의 껍질을 버리지 말고 이것을 검게 구어서 가루를 내어 차숟갈 하나 정도를 하루에 1번씩 먹으면 거뜬해진다.
(12) 고등어의 중독
흑설탕을 핥는 것도 효과가 있으나 벚나무 껍질을 깎아서 한줌을 1홉의 물로 달여서 반량으로 줄었을 때 2-3번에 나누어 마신다. 이것은 다른 생선의 중독에도 잘 듣는다. 벚꽃을 소금에 절여 두었던 것을 더운 물에 타서 마시면 기분이 상쾌해진다.
(13) 식중독에 매실약
매실약을 성냥개비의 머리 두개 정도, 어린이는 하나정도를 물과 함께 먹으면 대부분의 식중독은 낫는다.
매실약은 매실의 씨가 겨우 굳어졌을 무렵 아직 퍼런 것을 강판에 갈아서 질솥에 넣고 약한 불에 장시간 조린다. 검게 변하여 질척할 때까지 조려서 만들어 둔다.
또 진한 소금물이나 진한 중조수를 한컵 마셔도 대개의 식중독은 곧 토하게 되어 낫게 된다.
1. 납중독 : 연분(鉛粉)의 중독에는 꿀을 참기름에 개어 물엿처럼 만들어 마시면 해독된다. 또 무우즙을 자주 마시게 한다. * 어디까지나 구급방법이다. 그러나 꿀을 매일 먹고 있으면 무서운 납중독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유황중독 : 산등의 생피(生血)를 더울 때 한 대접 마시면 즉시 해독된다. * 즉시 의사에 가야 한다.
(14) 참외의 중독에 오징어
참외를 과하게 먹으면 소화불량으로 인해 심한 구토와 설사를 일으킨다. 이때는 오징어를 구워서 먹으면 참외의 소화를 도우게 된다.
(15) 게의 중독에 자소(紫蘇 : 자조기)의 잎
미국의 대통령 중에 게를 먹고 죽은 예가 있을 정도로 썩은 게는 맹독성을 지닌다. 자소의 잎 한줌을 한홉의 물로 반으로 달여서 먹인다. 증세가 무거운 때는 곧 의사에게 달려간다.
(16) 문어의 중독에는 청각채
청각채를 더운 물에 녹여서 조금씩 자주 먹이면 낫는다. 청각채에는 문어의 독을 둘러 싸서 배출시키는 성분이 있다.
(17) 버섯의 중독에 금
금반지를 한홉의 물로 15분간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버섯의 독이 없어진다.
또는 생강을 강판에 갈아서 즙을 짜내어 소주잔에 반 정도를 마시면 된다.
(18) 버섯의 중독에 감초
감초는 독성르 감소키는 힘이 있기 때문에 감초 5돈을 3홉의 물로 달여서 이것을 하루만에 다 마시면 위험사태에 빠지는 일은 없다.
1. 파두중독(巴豆中毒) : 잘못해서 파두를 먹어 중독되었을 때는 대황(大黃)과 황련(黃連)을 달여 마시면 직효, 또 날 파초잎을 찧어 생즙을 마셔도 직효.
2. 육류(肉類)의 중독 : 말고기 중독에는 사람의 젖, 양고기 중독에는 밤 껍질을 진하게 달여 마심. 감초도 좋음, 돼지고기 중독에는 흰설탕 40g을 끓여 마신다.
(19) 송이의 중독에는 산흙
송이의 요리를 많이 먹고 중독증을 일으켜 복통이 심한 때가 있다. 이때는 산흙을 한줌 먹으면 복통이 차츰 살아지고 이튿날에는 거뜬해진다. 산흙은 오랜 풍화 작용으로 정화(淨化)작용이 증가되어 있다고 한다.
(1) 황련(黃連)
황련(혹은 깽깽이풀이라고도 한다) 잘게 썰어서 작은 술잔에 1잔정도를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되게 하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혹은 가루를 내어 하루에 1돈을 3번에 나누어 복용하여도 효험에는 변함이 없다.
(2) 결명자(決明子)
결명자와 이질풀을 각 5돈씩 4홉의 물로 3홉이 되게 달여서 하루에 여러차례 차대신 복용한다. 상당한 중증일지라도 계속해서 복용하면 뚜렷한 효험을 본다. 증세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결명자만을 달여서 복용하여도 된다.
결명자는 소화약이 아니고 위장의 기능을 조정하는 힘이 있어 변비는 살아지고 복통이 멎는다. 결명자는 독기를 없애고 살균력이 있으며 창자내의 이상발효나 자가중독을 없애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설사가 날 때는 결명자는 중단하도록 한다.
결명자는 병세가 중증일 때는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 효과가 빠르고 평소에 차대신에 복용할 때는 약간 묽게 달이거나 재탕, 삼탕을 마셔도 좋다.
(1) 인삼과 생강
인삼 1돈에 생강을 검게 볶아서 5푼을 섞어 2홉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1. 위산과다에 쑥 계란 : 진물을 토하여 위가 아픈 증세에는 쑥잎 80g, 계란 600g을 세 사발로 반이 되게 끓인 다음, 계란 껍질을 버리고 다시 끓여 국물이 없어지면 매일 계란 1,2개를 덥게 해서 점심 때에 먹는다. 2-3근이면 근치된다고 한다. * 실로 묘방이다.
2. 명약(名藥) 오패산(烏貝散) : 어떠한 위산 과다중이든 오징어의 뼈가루 80g과 패모(貝母) 16g을 합쳐 곱게 가루로 내어, 식사후마다 4g씩 마음으로 먹는다. 계속하면 근치한다(中). * 이 오패산은 위궤양의 명약이기도 한다.
(2) 드릅나무의 뿌리
드릅나무(깊은 산의 것일수록 좋다)의 뿌리를 파내서 두꺼운 껍질을 벗겨 이 껍질만을 썰어서 2-3일동안 말린다. 하루양으로 껍질 3돈, 감초를 약간 섞어서 4홉의 물로 2.5홉이 되게 달여서 3-4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구역질을 느끼는 수도 있기 때문에 식사와 식사의 중간에 복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또 먹기에 편하도록 식혀서 복용하는 것도 좋다. 이것은 위암에도 효력이 있다.
(3) 번행초(蕃杏草)
바닷가에 자라는 번행초를 그늘에서 말려 한줌을 물로 달여 마시면 위암(胃癌)의 예방과 치료에 효력이 매우 크다.
(4) 저당환(抵當丸)
거머리, 등에(말파리), 쥐며느리(이상 말린 것), 도인(桃仁) 각 10돈, 당대황(唐大黃) 40돈, 꿀 30돈, 쌀풀 7돈을 섞어 환약을 만든다. 거머리, 등에, 쥐며느리는 아주 잘게 썰고, 도인, 당대황은 가루로 하고 꿀과 쌀풀로 반죽하여 환을 만든다 (환의 지름 3밀리) 이것은 20일 양이며 매일 식후마다 1-2돈정도를 복용한다.
1. 후추와 용뇌향 : 어떠한 방법으로도 잘낫지 않는 위궤양(통증이 심한) 에는, 후추7알과 용뇌향(龍腦香) 2g을 섞어 곱게 가루로 해서 위통(胃通)이 발작할 때 더운 물로 먹는다. 이것이 1회분이다. 수많은 사람이 이것으로 고쳤다고 한다. * 삼칠 지통산(三七止痛散)이라는 명약이다.
2. 주의 : 등나무의 흑을 잘게 썰어 그것만을 20g 가량씩 달여 마셔도 좋다. 등나무 고목(古木)의 밑동에 생기는데, 새 것이 듣는다.
(1) 번행초(蕃杏草)
바닷가에 자라는 번행초는 시금치와 같은 성분을 지니고 있다. 들나무로서도 데쳐서 반찬으로 흔히 먹는 풀이나 번행초를 그늘에서 말려 한줌을 2-3홉의 물로 달여서 마시면 위장을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위암의 예방에 효력이 매우 크다.
(2) 잉어찜
청주 한되를 철솔에 붓고 끓여 여기에 잉어(30센티정도)를 산채로 도막을 내지 말고 넣는다.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조리되 불을 약하게 하고는 뒤섞어 주면서 연한 갈색이 될 때까지 계속한다(약 6시간 걸린다) 이때 잘못하면 기름이 쓰며 나와서 떡이 되어 버리면 쓰지 못한 이것을 식전에 세손가락으로 한줌씩 하루3번 먹는다. 잉어 한 마리이면 1주일량이 되므로 1-1.5개월을 계속하여 복용하도록 한다.
(3) 등나무의 흑
등나무 줄기에 생긴 흑과 드릅나무뿌리의 껍질을 그늘에 말려서 잘게 부수어 이것을 섞어 적당한 양을 달여서 복용하면 어느덧 낫게 된다. 위궤양에도 효험이 있다.
(4) 마름의 열매
마름의 열매 한 줌을 3홉의 물로 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에 몇차례씩 차대신에 복용하면 2주일 이후에는 고통이 휠씬 적어지고 식용이 나아지면서 2-3개월만에 정상적인 건강을 회복할수가 있다.
1. 위에 매화(梅花) 버섯 : 버섯 중에도 매화나무에 열리는 버섯이 제일 잘 듣는다. 잘게 썰어 15그램을 진하게 달여 매일 장복하면 효과를 본다고 한다. * 생나무 것이 좋으나 마른 나무의 버섯도 좋다.
2. 위암에 질경이 갯완두 : 질경이(車前이라고도 함)의 잎과 줄기 말린것 10g, 갯완두의 잎, 줄기 5g, 감초 2g을 함께 진하게 달여 마시면 좋다. 실제로 고친 사람이 있다고 한다. * 갯완두는 독하므로 양을 지나치지 말것.
(1) 위의 토혈(吐血)에 연뿌리 (蓮根)
위에서 피를 토할 겨우(선명한 피를 토한다) 지체없이 연뿌리를 강판에 갈아서 작은 술잔에 한 잔씩을 자주 먹도록 하면 신통하게 효력이 나타난다.
(2) 개자떡 찜질
급성적인 복통(위통)에는 매운 개자가루를 따뜻한 물로 흐르지 않을 정도로 질퍽하게 반죽하여 종이에 붓고 (두께 2-4밀리) 위에 종이를 덮는다. 이것을 배에 붙이고 (배꼽과 염통은 피한다) 10-15분간 두었다가 피부가 벌겋게 되면 들어낸다. 그 자리를 뜨거운 물에 수건을 짜서 덮고 뜨거운 물을 얼음주머니에 3분의 1정도 넣은 것으로 찜질한다.
(3) 복령(茯笭)과 계피(桂皮)
뚜렷한 원인도 없이 위에 고통을 느낄 경우에는 복령, 계피, 대추 각 1돈과 감초 4푼을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되게 하여 고통을 느낄 때에 마시면 진통이 되고 차츰 위통을 일으키는 회수가 적어진다. 위경련과 같은 위통에도 뚜렷한 효력을 볼수가 있다.
(4) 계피(桂皮)와 지실
계피 1.5돈, 지실(탱자를 말린 것) 5푼, 생강 약간을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되게하여 위통이 났을 때 마시면 쉽게 갈아 앉는다.
1. 위통에 자주쓴풀 : 잘게 썬풀 15g을 4홉의 소주에 넣어 10일 지난뒤에, 소주잔 박씩을 같은 양의 물에 타서 하루 한 번 마신다.
2. 생강가루 : 생강을 말려 가루로 해두고 차숟깔의 1/2정도를 물로 먹는다.
3. 숯가루 : 배의 "개스"는 목탄(木炭 : 활성탄이어야 함) 가루를 한 숟깔 풀로 삼키면 곧 없어진다(美), * 숯가루가 "개스"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 활성탄의 가루에는 독이 없다.
(5) 감초
구토증이 나면서 심한 위통을 일으켰을 때는 감초 3돈을 1홉의 물로 달여서 식기전에 30분 간격으로 두번에 나누어 복용하면 위통과 구역증이 함께 살아진다.
(6) 위경련에 센나
센나 한 줌을 2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된것을 차대신에 마시면 발작이 곧 멎게 되고 평소에 복용하면 차츰 위경련을 일으키는 회수가 적어지면서 마침내 근치를 볼 수가 있다.
(7) 위경련에 방동사니
방동사니를 그늘에 말리거나 그대로 잘게 썰어 한줌을 3홉의 물로 달여서 하루에도 몇번이고 차대신에 1-2개월 계속하여 복용하면 전연 위경련을 일으키지 않는다.
(1) 백금과 복령
백금과 복령을 각 2돈씩 2홉의 물로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2) 매실(梅實)과 감초
완숙되기 전의 매실을 강판에 갈아서 볕에 말린다. 고약처럼 되었을 때 이와 같은 양의 감초를 잘 섞어 두고는 하루에 한번 차숟갈 하나정도를 먹는다.
1. 엿기름 가루 : 배가 "개스"등으로 더부룩한 때는 엿기름(보리의 싹을 말린 것) 가루를 식사 30분 전에 차숟깔 하나씩 먹는다.
2. ?꽃 : 들에 흔히 있는 ?꽃 15g을 두 홉의 물로 반이 되게 달여 두 번에 마신다. 이렇게 계속하면 잘 듣는다.
3. 가지 꼭지 : 가지 꼭지를 밀폐된 그릇 속에서 숯처럼 태워, 그 가루를 차 숟갈 1/2씩 물로 먹는다. 특히 생선, 버섯 중독에 의한 위통에 잘 듣는다.
4. 주의 : 여기의 위통은 위궤양, 위암과 같은 것 이외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
(3) 간연어
소금에 저린 연어의 머리를 질솥에 넣고 장시간 구우면 검게 익는다. 이것을 가루로 만들고 이의 반정도의 굴껍질(해산물인 굴의 껍질)을 절구에 빨아서 가루를 내어 섞는다. 하루 3회 1회에 1돈씩을 복용한다.
(4) 만성 위장병에 생강
생강을 볶아서 다시 물로 끓인 다음 설탕을 넣어 차대신에 복용하여 1-2주일 동안 계속한다.
(5) 악화된 만성위장병에 결명자
혀에 백태(白苔)가 끼고 음식물이 목구멍을 넘어가지 못할 정도의 중태일 때는 의사의 치료를 받는 한편 결명자를 진하게 달여서 입에 먹음도록 하면 한참 동안에 저절로 물이 목구멍을 넘어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계속해서 복용하도록 하면 병의 경과가 빠르다.
(1) 사프란
사프란의 암술 몇 개를 컵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다. 이것을 계속해서 마시면 위를 튼튼하게 하므로 평소에 꽃분에 심어 놓고 감상을 겸하여 건위제로 스면 일거양득이다.
(2) 당약 (當藥)
당약은 원래 위병의 묘약으로 말려진 것이나 만큼 10-15개를 달여서 먹도록 한다.
1. 신경성 위통에 귀의 위점(胃點) : 양쪽 귀 중 눌러서 아픈 곳에, 침을 놓거나 손으로 꼭 눌러 "따끔"하게 아픈 느낌이 나게 하면 잘 듣는다. * 귀의 위점을 자극하는 것이다.
2. 좁살 끓인 물 : 위를 튼튼히 하는데 좁쌀 20g을 달여서 마신다. 또 인절미를 식사대신 한 두개씩 구워 먹으면 위가 좋아진다.
(3) 머위의 징다리
머위의 장다리를 세로로 쪼개어 숯불에 살짝 굽는다. 이것을 잘게 썰어서 된장과 양념을 하여 먹도록 한다.
(4) 민들레
꽃이 피기 전에 뿌리채 파내어 물로 깨끗이 씻어서 볕에 말린 다음 잘게 썰어서 하루에 2돈을 1.5홉의 물로 달여서 1홉이 된 것을 복용하면 건위의 뇨제로 매우 효험이 있다.
{중구단방(中國丹方)}
(1) 위가 졸지에 몹시 아플때
딴방법으로 안 들으면 아조(牙조)를 밀폐된 곳에서 태워 숫처럼되면 가루로하여 소주에 개여 1돈 가량 먹으면 잘듣는다.
(2) 위부 (胃部)에서 옆구리까지 아픈데
즉 위완협통에는 생부추의 즙을 내어 큰 맥주컵 하나 정도를 마시면 멎는다.
(3) 산양의 피
1량5돈 가량의 산양피를 끓여 그것을 항아리에 넣고 숯불위에 올려노아 쪼려 가루로 한 다음 3회에 나누어 먹는다. 먹을 때 설탕을 조금 섞어 탁수로 먹는다. 지통여신(止痛如神)이다.
(4) 반위일격(反胃壹膈)에 돼지밥통
돼지밥통 한 개에 묵은 생강6량을 쪼개서 그 속에 넣고 푹 끓여 소금기 없이 먹으면 낫는다.
1. 건위(健胃)에 자주 쓴물 : 입속에 조금식 넣어 씹어서 쓴 국물을 자주 마신다. 또 잘게 썰어 끓는 물에 넣어 식혀서 위에 뜬 맑은 물을 식사 30분 전에 마신다.
2. 트림에 삽주뿌리 : 트림이 계속나서 견딜 수 없으면 삽주뿌리(瘡朮 또는 自朮) 말린 것 10-15g을 진하게 달여 마시면 잘 낫는다.
(5) 계란껍질
노란색이 나오도록 구워 고운가루로 하여 아침 미음으로 마신다. 술 잘마시는 사람은 술로 마셔도 좋다.
(6) 속에서 신물이 토해나오는데
소위 위산과다인데 흑산치(黑山梔) 3돈을 진하게 다려 약간의 생강집을 섞어마시면 효과를 본다.
(7) 위궤양 출혈(胃潰瘍出血)에 감나무 잎
가을에 저절로 떨어진 감나무 잎을 깨끗이 씻어 �E빛에 말려 곱게 가루로 해서 5g(중한자는 10g) 하루 세 번 먹는다. 이렇게 9일 해서 4명을 모두 고친 실례가 있다. 감나무 잎 가루는 모든 출혈에 잘 듣는 명약이다. 폐결핵 출혈, 자궁 출혈, 치루 출혈(痴瘻出血)에도 잘 듣는다. 일본에서는 푸른 감나무 잎을 쪄서 비탄민C 섭취용으로 많이 쓰고 또 고혈압 치료용으로 쓰고 있다. 감나무 잎을 연구해 보자.
(8) 호도(胡桃)의 청피(靑皮)가루가 위통의 명약
6월 상순경 아직 익지 않은 푸른 호도 6근을 따서 깨끗이 씻고 짓찧어 병이나 단지에 넣은 다음 60도 소주 10근을 부어 밀봉해서 햇빛이 잘 쏘이는 곳에 20-30일 놔두어, 술빛이나 호도 빛이 흑색이 되면 걸러 설탕 1근을 섞어 보관해 두고 쓴다. 즉 매일 두 번 10g씩 마시거나 통증이 시작될 때 마시면 위, 십이지장 궤양 및 위염의 동통(疼通)된 자가 98.2%나 되고 즉시 지통된 자도 93.5%나 된다고 한다. 아마 최고의 위통 지통제(胃痛止通濟)라고 할 수 있다.
더욱 간단한 방법은 푸른 호도와 소주를 3대10의 비율로 섞어 하루 또는 이틀 후에 술빛이 황색으로 변하면 걸러서 써도 좋다. 이것은 급할 때 쓰는 편법이다. * 이상의 비방은 이미 민간요법의 단계를 넘어서 병원에서도 쓰는 특효방이다.
1. 배의 "가스"에 생강 가루 : 배가 "가스"로 더부룩하고 거북할 때는, 생강 가루 한숟갈과 빵굽는 소다 차숟갈 반응한 컵의 뜨거운 물에 섞어 마시면 된다(美)
2. 위한통에 돼지의 위와 생강 : 생강 160g 을 돼지의 위 한개와 함께 푹 끓여 국과 위를 먹는다. 자주 먹을수록 좋다. 특히 위가 냉한데 잘 듣느다.(中)
(1) 산나리
산나리의 구근을 한 개정도 강판에 갈아서 소금과 설탕을 적당히 섞어서 맛을 맞춘 다음, 우유에 타서 빵에 바르는 쨈 대용으로 바라서 먹으면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2) 율무
율무를 절구에 빠아서 차숟갈에 고봉으로 6-10 숟가락과 물 1되의 비율로 섞어서 감초를 약간 넣고, 한번 끓인 다음 불을 약하게 하여 20-30분간 끓이면 율무차가 된다. 이 율무차를 평소에 차 대신에 복용한다. 폐병이나 늑막염에 또 강장제 및 영양식으로도 애용되는 만큼 그 효험이 뚜렷하다.
(3) 감제풀(虎杖)
그늘에서 말린 감제풀 한줌에 물을 적당히 붓고 달여 차빛갈이 나면 평소에 차대에 복용한다. 1개월째는 증세가 매우 가벼워지고 3개월이면 완쾌된다.
(4) 이질풀
이질풀은 정장제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니 만큼 설사, 복통, 변비에 잘 듣는다. 이질 풀 한줌을 5-6홉의 물로 20-30분간 달여서 차대신에 복용한다.
1. 만성 위장염에 계란, 후추 : 계란 1개에 조그만 구멍을 뚫고, 후추 7알의 가루를 그 속에 넣어 종이로 꼭 봉한 다음, 불에 구워 익혀서 막걸리로 먹는다. 하루 한번, 7일이면 어떤 만성위장염도 근치된다고 한다.
2. 장결핵에 고약 : 복령(僕笭)을 껍질 채 600g , 창출(蒼朮) 600g, 버드나무의 수염뿌리 600g 을 함께, 진하게 달인 물을 다시 졸여 찐덕하게 만든 고약을 세 숟갈씩 하루 세 번 물로 먹는다. * 장결핵에 잘 듣는다.
(5) 매실
매실 1되를 껍질을 벗기고 흰설탕 200돈을 섞어서 입이 넓은 병에 넣고는 뚜껑을 봉한다. 1개월정도 그대로 두면 매실이 위에 뜨게 되므로 이것은 건져버리고 액체만을 복용하여 하루에 술잔으로 한잔 정도가 알맞다. 이것도 만성위장병에 효과가 클 뿐 아니라 변질한 음식에 체했을 때 복용하여도 곧 치료가 된다.
(6) 반하
반하 1돈을 1홉의 물로 반이 되게 달여서 복용한다. (이것은 하루의 양이다)
(7) 한약
복령 4돈, 반하 1.5돈, 생강 1돈을 섞어서 3홉의 물로 반이 되게 달여서 복용한다.
(8) 마늘의 환약
마늘 5톨을 까서 청주를 붓고 술이 없어질 때까지 조린다. 따로 검은 깨 1홉을 볶아 절구에 빠아서 마늘조린 것과 산약(자연산의 마)의 가루 3홉을 섞어서 지름이 3밀리정도의 환약을 만들어 둔다. 어른은 한번에 4-5알씩 하루3번, 어린이는 반량을 복용하면 만성위장병에도 매우 효험이 있고 자양 강장제로서도 권장할 만한 것이다.
술에 강해지려면 효소(酵素): 부득이 술을 많이 마셔야 할 경우에는 미리 약국에서 효소원액을 사서 60-100cc 마셔 두면 주량의 2-3배를 마셔야 취하게 된다. 원액이 없으면 가루 효소를 3숟갈 정도 먹어 둔다. 실로 묘방이다. 좋은 모자석(毛磁石)가루도 주량을 강하게 한다.
단주하려면 돼지의 젖, 흰개의 젖: 매일 아침 저녁 식간(食間)에 돼지 젖을 한컵씩 3일 동안 계속해 마시면 술을 끊을 수 있게 된다고 한다. 또 흰 개의 젖을 마셔도 되는데 이것은 마시는 사람이 모르도록 해야 효과가 더욱 크다.
술에 취해 깨지 못할 때에 배추씨: 배추씨를 찧어 가루로 하여 한 숟가락을 마시게 하면 곧 깨어난다.
술마신 후 열이 날 때 미나리 즙: 미나리를 깨끗이 씻어 즙을 낸 것 반 컵에 홍당무의 즙 반 컵을 섞어 마시면 술도 깨고 열이 곧 내린다.
술에 취해서 깨지 못할 때 시금치: 시금치를 뿌리채 찧어 즙을 내어 여러번 먹이면 깨어난다. 위장이 냉한 사람은 더운 물로 마셔야 한다.
술 중독에 까만 콩: 술에 중독된 사람은 콩을 삶아 그 물을 수시로 마시면 곧 낫는다.
술로 위를 상했을 때 산약: 연한 사약(山藥) 즉 마 큰것 1개의 껍질을 벗겨 깐 뒤 술 1잔과 물 2잔(작은 잔)을 부어 삶아 익힌 후 식기 전에 매일 아침에 먹는다. 만약 술먹기 직전에 산약을 갈아 1컵 먹으면 술에 위장이 상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 약(弱) "알칼로즈"④: 이상의 방법으로도 안 듣는 질병에 탄소광선이 잘 듣는데, 이 광선을 토끼에 쐬어 실험한 결과 현저하게 혈액을 "알칼로즈"로 한다는 것이다(柳澤文正醫學博士).
2. 약(弱) "알칼로즈"⑤: 비파(枇杷)잎의 증기(蒸氣)가 피부를 통해 몸에 스며들어도 혈액을 약(弱) "알칼로즈"로 기울게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마 항암(抗癌)의 효과가 있는 것 같다.
숙취에 [알로에] 생즙이 잘 듣는다: 술마시기 전에 화분(花盆)의 [알로에]를 깨끗이 씻어 가시는 버리고 강판에 갈아 배갈잔 한잔만 마셔두면 다음날 숙취 때문에 고생하는 일은 없다. 술이 센 사람은 좀 많이 마셔둔다.
이 처방은 전날의 과음으로 골이 아플 때에 써도 잘 듣는다.
숙취를 풀고 위를 보하는데 자두: 자두 큰 것을 골라 소금에 1주간 절여 햇볕에 말려 두었다가 매일 식사 때 하나씩 먹으면 주독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크다. 또 술에 취했을 때에는 마른 자두를 찧어 탕수(湯水)로 따끈하게 복용하면 된다. 신선한 자두를 그대로 먹어도 좋다.
주체(酒滯)로 인한 위장 기능 약화와 적체(積滯)에 계내금: 마른 계내금(鷄內金:닭 똥집의 노란 껍질)과 마른 산약(山藥)을 같은 양으로 함께 빻아 가루로 하여 찹쌀물로 오동나무 열매만한 환약을 빚어 매일 체 차례 식후 또는 식간에 술 반 물 반을 섞은 술물이나 온수로 60알씩 장복하면 주독이 풀리고 간이 튼튼하게 되며 위를 보하고 또는 식욕과 소화를 돕는다.
술을 끊으려 할 때 도꾸마리 씨: 도꾸마리의 씨(蒼耳子)를 까맣게 태워 술에 투입하여 마시면 차차 주량이 줄어 술을 들 밝히게 된다. 여러번 계속하면 아주 술을 끊을 수도 있다.
1. 숙취의 명급소(名急所): 무엇보다도 뒷골밑과 낙각(絡却) 및 발목 복사뼈 밑을 손가락끝 또는 귀위게 등으로 꼭꼭 10여번씩 아프게 자극해 주면 곧 숙취 증세가 풀린다. 어떤 약을 먹든 이 방법과 아울러 하면 효과는 몇 배 빠르다.
2. 술에 안 취하는 비법: 몸을 외(左)로 비트는 자세로 술을 마시면 아무리 마셔도 안 취하고, 오른쪽으로 비트는 자세로 마시면 빨리 술이 취한다. 간과 비(脾)의 상관 관계인 것 같다. 일본의 정체수기 이론(整體手技理論) 및 역학 요법에서 나온 것임.
비방(秘方)뜸: 다음 흑점에 쌀알 반반한 크기의 쑥으로 뜸을 3-5번 뜨면 잘 듣는다. 뜸의 효과는 놀라운 것이다.
토사가 멎지 안을 때에 쑥잎: 쑥잎 한묶음에 물 두사발을 부어 한사발이 될 때까지 삶은 다음 한 번에 마시면 곧 멎는다. 멎지 않을 때에는 다시 마신다.
속이 뒤집히거나 토사 또는 입이 마를때 밤 껍질: 밤 껍질 3-6g을 삶아서 물을 매일 3-5차례 마시면 된다.
구토할 때에는 오수유(吳茱萸)와 산초(山椒): 오수유와 산초를 3.1의 비율로 달여 마시면 효력이 있다.
곽란에 소 침: 소 침 한홉에 약간의 소금을 넣어 매일 세차례 식간마다 3분의 1홉씩 마시면 매우 효혐이 있다. 완치될 때까지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다.
토사.곽란에 토끼 뼈: 토끼 뼈를 으깨어 다량의 물로 삶아 따끈하게 해 자주 마시면 된다.
1. 구토에 삼시(大床仁): 삼씨는 새 키우는 상점에 가면 쉽게 구한다고 함. 이것을 물에 섞어 짓찧어 즙을 내서 약간의 소금을 넣어 마시면 잘 멎는다(百病驗方大全).
2. 위열 구토(胃熱嘔吐)에 소엽(蘇葉).황련: 소엽과 황련을 1대 2의 비율로 섞어 진하게 달여 조금씩 삼키면 잘 듣는다.
속이 뒤집혀 먹은 것을 받지 않을 때에 소의 침: 소의 침을 물에 타서 한 사발 마시면 일평생이 병에 걸리지 않는다. 소의 침을 받는 법은 먼저 큰 소의 입을 물로 씻고 소금을 발라 놓으면 곧 침이 나오니 이것을 받으면 된다.
음식을 토하는 증세에 무궁화 꽃: 무궁화 꽃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하여 묵은 찹쌀 미음으로 한 숟갈씩 하루 세 번 먹으면 좋다.
구토증에는 표고버섯: 식중독 같은 것으로 토하거나 설사를 하게 되면 표고버섯을 뜨거운 물에 담가서 노랗게 물이 우려지면 한 컵 마신다. 잘 듣는다(침나무,상수리나무,밤나무의 줄기에 생긴 버섯도 좋다).
구토에는 매실: 큰 매실 한개(작은 것은 두개)를 삶아서 으깨어 흐믈흐믈한 것을 조금씩 먹으면 낫는다.
토하는 증세에 염소의 간(肝): 염소 간 날 것을 썬 조각을 억지로라도 10여 조각씩 먹으면 된다. 3-5회 거듭하면 효력이 있다.
구토.설사에 미나리: 미나리 삶은 물을 수시로 마신다.
구토.설사.이질.복통에 모과나무: 모과나무의 가지 또는 잎을 삶아 자주 마시면 효력이 있다.
1. 위한구토(胃寒嘔吐)에 대추: 대추 7알(씨 밴 것)에 정향(丁香) 약간을 섞어 푹 끓여 정향은 버리고 대추와 국물만 빈 속에 먹는다. 7번이면 어떤 중한 증세도 완치된다고 한다.
2. 상기(上氣)하는 구토에 겨자: 겨자씨 가루를 꿀에 개어 팥알만 하게 하여 새벽 3,4시에 7알을 냉수로 먹는다. 묘한 방법이 다 잘 듣는다.
콜레라로 인한 구토.설사에 배나무 잎: 배나무 잎을 찧어 삶아 자주 복용하면 효과를 본다고 한다.
반위(反胃). 구토 및 열구증: 늙은 소의 침을 찹쌀 가루에 개어 반죽한 뒤 쪄서 녹두알 크기의 환을 지어 50알씩 식후에 하루 세번 먹으면 반드시 듣는다.
토사곽란에는 곽향(藿香),계피,생강,모과: 곽향,계피를 각각 15g, 생강10g, 모과 5-8g을 합하여 달여 마시면 신효를 본다.
곽란토사에 녹두.후추: 녹두 149알과 후추 49알을 섞어 곱게 가루로 하여 5-10g씩을 모과 다린 물로 먹으면 매우 효험이 크다.
위가 뒤집히고 음식을 토할 때에 겨자씨: 겨자씨를 갈아 뜨거운 물로 3-4g씩 매일 식간에 3회 먹으면 효과를 본다.
속이 뒤집히고 구역질이 날 때에 감 꼭지: 감 꼭지를 새까맣게 태워 가루로 하여 4g씩 술에 풀어 마신다. 매일 세차례 식후 1시간 후에 먹는다.
속이 뒤집힐 때에 귤껍질.대추.생강: 귤껍질을 노랗게 볶아 만든 가루 10g과 생강 3조각, 대추 1개를 찧어 합한 것을 탕수로 먹는다. 만약 냉해서 속이 뒤집힐 때는 술과 물을 반반 섞어 먹으면 된다.
1. 곽란의 단방: 곽란의 경우 토사만 잘 되면 문제가 없는데, 그 어느 하나가 잘 안 되어도 위험하다. 미음도 먹여서는 안 되며 특히 생강은 엄금해야 한다. 이때는 고반(枯攀:백반을 태운 것)가루 4g을 끓는 맹물로 먹이면 잘 낫는다.
2. 헛 구역질에 생강: 실제로 토하지는 않으나 토할 것처럼 속이 뒤집히는데 생강을 껌처럼 씹어 그 물을 자주 삼키면 아주 잘 듣는다. 생강이야말로 만성 토기의 성약(聖藥)이다.
구토증에 생강: 생강 70g과 식초 두 홉을 사기 그릇에 넣어 끓인 다음 수시로 복용한다.
크게 토하고 설사를 심하게 할 때나 다리에 쥐가 났을 때에 모과: 모과 3.5g을 술과 같이 삶아 그 물을 자주 마시면 된다.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은 물로만 삶아 마셔도 된다. 나머지 찌꺼기는 헝겊으로 싸 반복해 발에 매면된다.
구토로 모든 약이 듣지 않을때 토끼: 산토끼 가죽과 털을 태워 가루를 만들어 매일 3차례 식간마다 밥물로 3-6g씩 며칠만 복용하면 효험을 볼 수 있다.
일혈 침법(一穴針法): 다음 그림의 흑점 부위에 아주 작은 침이나 바늘을 2-3mm 꽂아(바늘은 머리카락에 비벼 소독할 것) 30-60분 놔두면 잘 듣는다. 5분마다 침을 몇바퀴 돌려 주는 것이 좋다. 이혈비방(耳穴秘方)은 프랑스.중공.일본 등에서 크게 중요시되고 있다. 손톱끝으로 5분 정도 눌러 주어도 잘 듣는다.
1. 건곽란(乾藿亂)에 소금과 오줌: 토(吐)나 사(瀉)가 따르지 않아 복통이 심해 죽게 된 경우, 소금을 큰숟깔 하나 노랗게 볶아 12세 이하의 소년의 오줌에 섞어 덥게 마시면 곧 토하고 사하여 증세가 가라앉는다. 실로 묘한 벙법이다. 잘 듣는다.
2. 곽란 위급에 소금: 소금 한 근 가량을 "프라이팬"에서 뜨겁게 볶아(연기가 좀 날 정도) 두 개의 풀주머니에 담아 교대로 배에 찜질을 계속하면 곧 가라앉는다. 가장 간단하며 잘 듣는 기방이다(百病驗方大全).
마늘 흑소분(黑燒粉): 마늘의 껍질을 벗겨 질그릇에 담고 밀폐한 다음 뭉긋한 불로 질그릇을 달구면 마늘이 숯처럼 되는데 이것을 곱게 가루로 해서 귀위개로 세 개씩을 [오므라아트](약 싸 먹는 종이)에 싸서 물로 하루 세번 식전에 마시면 잘 듣는다. 실로 잘 듣는 묘방이다.
산사(山査)와 탱자: 먹은 것을 토해내고 산사를 10g 달여 따끈한 물에 설탕을 가하여 마신다. 산사로 효과가 없으면 작은 탱자 30g을 물에 달여 가려운 피부를 씻어도 좋고 10g 정도의 달인 물을 마시면 1일간이면 치유된다.
생강.탱장.청피: 여름철 과실에 체하여 두드러기가 생겼을 때에는 생강과 탱자와 청피를 같은 분량인 5g씩을 달여 계피가루 효험이 있다.
생선에 체한데는 산사: 생선에 체했을 때는 산사 10g을 태워 하루 2차례씩 먹으면 효과가 있다.
게 식중독에 밀싹: 밀삭 1줌을 삶아 물을 자주 마시면 곧 풀린다.
제어류(諸魚類) 중독에 녹두가루: 당감초 1냥을 삶아 그 물을 많이 마시거나 녹두가루 반잔을 물로 복용해도 된다.
양고기 중독에 감초: 당감초 4g 삶아 마시면 된다.
어류 식중독에 날 가지: 날 가지로 즙을 짜서 마시면 곧 풀어진다.
1. 살구씨 중독에 살구나무 껍질: 살구씨는 생으로 먹든 익혀서 먹든 해가 안되지만, 불에 구워 반은 익고 반은 안 익은 것 말하자면 반숙된 것은 몇 십 알 먹으면 죽음에 이르게 중독된다. 이때는 즉시 살구나무의 껍질을 벗겨 진하게 달여 마시게 하면 되살아 난다.
2. 복어 중독에 참기름: 중독되자마자 될수록 빨리 참기름을 많이 마시게 한다. 그러면 독을 토하게 되어 생명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中).
짐승의 고기에 중독됐을 때 팥: 간을 넣지 않고 삶은 팥의 국물을 많이 마시고 팥도 먹으면 잘 낫는다고 한다.
식중독에 매실: 큰 매실 한걔(작은 것은 두개)를 삶아서 열매를 으깨어 흐믈흐믈한 것을 조금씩 먹으면 낫는다.
식중독에 부추국: 식중독 등으로 설사가 그치지 않을 때에는 부추 된장국을 한 두번 먹으면 곧 낫는다.
생선이나 버섯에 중독 되었을 때 오징어: 말린 오징어를 삶아서 그 국물을 많이 먹으면 생선이나 버섯 중독으로 생긴 두드러기도 가라앉는다.
오리고기 중독에 쌀뜨물: 첫번 씻어 낸 쌀뜨물을 1사발씩 매일 3-5사발 마시면 풀어진다.
쇠고기 중독에 당감초: 당감초 4g을 삶아 그 물을 많이 마시거나 돼지 이빨 7개를 태워 가루를 만들어 온수로 복용하면 된다.
게 식중독에 마늘: 큰 마늘을 껍질을 벗겨 삶아 마시면 곧 해독 된다.
어패류의 식중독에 호박: 호박으로 만든 탕을 자주 먹으면 풀린다.
1. 모든 중독에 듣는 둘째발가락: 버섯 중독이든 복어 중독이든 이상하게 둘째 발가락과 세째 발가락 사이에 그 반응이 나타난다. 즉 발가락이 갈라진 곳을 아래 위에서 세게 눌러 주고 있으면 해독이 되니 신기하다.
2. 게 먹고 중독된데 자소엽(紫蘇葉): 즉 차조기의 잎을 12g을 진하게 달여 마시면 해독된다. 게는 상한 것을 먹거나 또 너무 많이 먹어도 중독될 우려가 있다.
돼지고기 중독에 은행알: 껍질 있는 은행 알을 1줌 찧어 냉수로 복용하거나 부추 1묶음을 찧어 즙을 내어 냉수로 마시거나 돼지 뼈를 태운 잿가루 반잔을 온수로 복용하면 된다. 또 대황(大黃) 20g을 가루로 만들어 냉수로 마시면 된다.
모든 중도기증에 탄소광: 의사가 포기한 중증에도 이 탄소광을 쐼으로써 기적적으로 치료된 예가 많다.
수박 중독이 됐을 때 고추: 빨간 고추 2-3개를 잘게 썰어 끓는 물 1그릇에 담근 다음 식혀서 천천히 마시면 곧 낫는다.
여러가지 식중독에 부추 즙: 빨리 부추를 찧어 즙을 만들어 마시면 곧 풀린다.
개고기를 먹고 식상(食傷)했을 때에 살구씨: 껍질 벗긴 살구씨 약간에 그 배량(倍量)의 물을 부어 물이 반으로 줄었을 때 세번으로 나눠 마신다. 한번에 낫지 않으면 다시 만들어 마신다.
어떤 식중독에도 특효가 있는 비구(秘灸): 둘째 발가락을 발바닥쪽으로 구부려 끝이 닿는 점에 표지를 해놓고 그곳에 쌀알 반크기의 뜸을 10-50장 뜨면 거의 모든 식중독에 듣는다. 양쪽 발을 교대로 뜨되 뜨겁지 않은 곳에 더많이 떠서 뜨거워지면 백발백중 낫는다. 이 급소는 이내정(裏內庭)이라 하며 버섯 중독,고기중독,부패 음식중독 등 모든 중독에 듣는다. 두드러기도 잘 낫는다. 아마 어떤 치료법보다 효과가 클 것이다.
1. 삼백초(三白草): 삼백초는 멸채라고도 하며 한약에서는 ( )약이라고 하는데, 공해가 심하지 않던 옛날에는 많이 안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실로 명약이 되고 말았다. 재배하여 "엑기스"를 만들어 시판할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2. 식중독에 "아킬레스"힘줄: 식중독이 되면 이상하게도 발뒤꿈치 뒤의 "아킬레스"힘줄이 차고 굳어져 있는데, 이것을 잘 풀어 주면 해독에 큰 도움이 된다. 약과 함께 꼭 써보기 바란다.
위궤양에 백합(白合) : 여러 방법이 있으나 배합을 물에 달여 수시로 마시는 것도 한 방법이다.
위궤양에 양배추 (감낭) : 즉 양배추의 즙을 내서 마시거나 양배추를 그대로 먹거나 데쳐서 먹어도 좋다. 어떻든 양배추를 주식처럼 많이 먹은 사람이 악성 위궤양을 고쳤다는 보고가 있다.
심한 위궤양에 찹쌀 떡 : 위궤양으로 가망이 없다고의사가 손을 뗀 중환자도 떡(찹쌀떡)을 흐물흐물 하게 될 정도로 끓여서 먹으면 조금씩 회복되기 시작하여 10일 정도면 기거(起居)하게 되고 2-34?월이면 완치된다고 한다(일본의 묘방). 단 떡을 구워 먹으면 안됨.
위궤양, 위암에 순나물 : 순채라고도 하는데 이 순나물을 약 2배의 물로 달여서 절반 정도가 되면 조용히 놔둔다. 위에 뜬 투명한 액체만을 반 컵 정도 미지근하게해서 두 시간 간격으로 마시면 특효가 있다는 것이다.
일체의 궤양에 감자 숯가루 : 위궤양이나 십이지장 궤양에는 감자 태운 가루가 최상의 묘약이라고 한다. 감자를 20-30개 정도 껍질채 잘 씻어서 감자 눈만 도려 내어 갈아서 천으로 짜면 감자 즙이 나오는데 이것을 질솥에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약한 불로 끓이면 끝에 가서 까맣게 탄 것이 남게 된다. 이것이 감자 태운 가루이다. 이것을 하루에 한 번 찻숟가락 하나 정도만 물로 먹으면 중증인 궤양도 30-40일이면 낫는다.
1. 감초와 오징어 : 통증이 심한 위궤양에, 감초 가루 250g과 오징어 뼈가루 150g을 합쳐, 다시 고운 가루로 하여 식사전마다 차(茶) 숟깔 하나씩을 풀처럼 먹는 물에 개어 먹는다.
2. 복숭아씨 : 복숭아씨를 곱게 가루로 해서 같은 분량의 백아(白아)가루를 섞어, 식후 마다 밥숟깔 하나씩 더운 물로 장복하면 잘 낫는다.
단방 특효 침법(單方特效鍼法) : 다음 그림의 흑점에 침(또는 바늘)을 2-3mm 꽂아 30-60분 놔두면 신통하게 잘 듣는다. 손톱끝으로 따끔 하게 자극해도 잘 듣는다. (여러번 한다) 한번에 안되면 계속하라, 반드시 효과를 본다.
위궤양에 민들레 잎 : 위궤양으로 고생하는 분은 형태로는 민들레 잎을 많이 사식하면 반드시 효과를 본다. 말려서 가루로 해 먹든 생즙을 내서 먹든 상관없다. 민들레는 한방약으로 포공영(蒲公英)이라 한다.
위 카다르, 위경련에 매실, 대추, 살구씨 : 매실, 대추(씨 뺀것), 껍질 벗긴 살구씨를 1:2:7의 비율로 섞어 보드랍게 찧어 남성은 온수로 여성은 약간의 식초를 넣어 먹으면 효과를 본다. 한 번에 효력이 없을 때에는 다시 먹는다.
격심한 위경련에 마늘 : 마늘을 껍질 채 뜨거운 재 속에 묻어 구으면 말랑말랑하게 익는데 이것을 3-4개 먹으면 격심한 위경련이 즉시 낫는다.
1. 돼지 밥통 : 통증이 심한 위궤양에는, 돼지 밥통(돼지의 胃)을 씻지 말고 그대로 햇빛에 바싹 말려 썰어서, 물로 달여 먹으면 잘 듣는다.(中). * 간단하나 잘 듣는다.
2. 순채(蓴菜) : 순채를 물로 진하게 달여서 소주 잔에 하나씩을 2시간마다 마시면, 위의 헌데에 잘 듣는다. 그런 증상이 없어지면 중지해야 한다. * 순채는 연못에 난다.
위경련에 돼지 염통 : 돼지 염통 한 개를 썰어 (항간에는 남자는 암돼지 여자는 수돼지 염통이 좋다고 하나 그 근거는 모른다.) 그 속에 자기 나이 수 (數) 대로 후추 알을 넣는다. 이렇게 해 적당량의 소금을 쳐 소주 한 컵에 물 한 컵을 부어 삶아 돼지 염통과 국물을 한꺼번에 먹는다. 장복하면 반드시 효과를 본다.
위경련에 복숭아씨 : 복숭아씨 한 홉을 껍질을 벗겨 찧은 뒤 물에 삶아서 마시면 된다.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먹으면 토(吐) 하는데 청개구리 가루 : 청개구리를 통채로 진흙에 뚜껍게 싸서 불 속에 넣어 숯처럼 태워 그 가루를 술 또는 술물로 5g씩을 하루 세끼 공복에 먹으면 큰 효과를 본다.
위산과다증(胃酸過多症)과 딸꾹질에 무우,생강 즙 : 날 무우 즙과 생강 즙을 반반 섞어서 매일 식후 3차례 한 컵씩 마시면 효력이 크다.
식욕 부진(食欲不振)에 삽주 뿌리 : 굵직한 삽주 뿌리를 물에 푹 끓여 차(茶)처럼 자주 마시면 차차 위가 튼튼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위(反胃), 토식(吐食)에 닭통집의 껍질 : 닭통집의 노란 껍질을 계내금(鷄內金)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태워 가루로 하여 온주나 술과 물을 반반씩 푼 술물로 한 번에 1개분을 먹는다. 매일 세 차례 식후마다 한 번씩 먹으면 된다.
1. 생강과 소금 : 위(胃)가 뒤틀려 음식을 안 받는 증세에, 큰 생강에 얇게 썰어 소금을 뿌려 다시 꼭 매서 한지(韓紙)로 일곱뻔 싸서 물에 적신 다음, 뭉근한 불에 구워 익혀서 익으면 찧어 마음으로 먹는다 (中國妙方). 한번에 생강 하나 정도.
2. 대왕풀 : 대왕풀의 뿌리는 한방(漢方)에서 백급(白及)이라 하는데, 이것을 말려 가루로 해서 1g씩 식사 30분전에 온수(溫水)로 마신다. 하루 세 번
위장병, 심장열병, 고혈압으로 위급(危急)할 때에 미나리 즙 : 미나리의 날 즙을 내어 매일 1회에 한 컵씩 3-5회 마시면 효과가 있다.
위(胃)의 허약 무력증, 식욕 부진, 소화 불량에 대추 가루 : 씨를 빼낸 대추를 약간 불에 구워 말려(태워서는 안된다) 가루로 하여 매일 식후마다 큰 숟가락으로 하나씩 끓인 물로 장복하면 위를 맑게 하고 식욕을 증진케 한다. 병에 관계 없이 복용해도 혈기가 좋아진다.
위장무력(胃腸無力), 소화불량에 콩 계내금 : 콩을 노랗게 볶아 그 반량(半量)인 계내금(鷄內金 : 닭통집의 껍질)을 노랗게 볶은 것과 함께 가루로 만들어 매일 식후에 온수로 한 숟가락씩 먹는다.
위냉무력(胃冷無力)과 식욕 부진, 소화 불량에 닭 마늘 : 닭(남자는 암탉, 여자는 수탉)의 털을 뽑고 내장을 꺼낸 후 깨끗이 씻어 껍질 벗긴 마늘 쪽을 속에 가득 채워 실로 꿰맨 다음 질그릇에 넣어 고기가 풀어지지 않도록 은근한 불로 오래 끓여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하루 3차례 고기와 국물을 함께 먹는다. 이것은 누구에게나 보신이 된다. 또 풍습(風濕), 신경통(神經痛), 기부족, 도한(盜汗) 등에도 대단히 좋다.
1. 위화(胃火)로 음식이 안 내리는데 : 연뿌리의 생즙과 배의 생즙을 반반 섞어 뭉근히 달여 꿀을 섞어 고약을 만들어 두고 무시로 조금씩 입에서 녹여 삼키면 잘 듣는다.
2. 위열(胃熱)로 음식을 안 받는데 지렁이 똥 : 지렁이 똥 40g, 목향(木香) 12g, 대황(大黃) 28g을 가루로 해서 물로 조금씩 먹으면 신통하게 잘 듣는다고 한다.
위장허약, 식욕부진에 산약 ( 山藥 : 마 ) : 말린 산약 (山藥 )을 2등분하려 반은 노랗게 볶아 함께 가루로 하여 매일 세번 식전에 밥풀이나 온수에 술을 타 10g씩 복용하면 앞의 여러 증세에 좋으며 늙지 않는다.
소화불량, 식욕부진에 황계(黃鷄) : 황계 1마리를 털과 내장을 제거하고 뱃속에 껍질 벗긴 마늘을 가득 채워 꿰맨 뒤 닭의 배량(倍量)이 되는 물에 소주 1컵을 붓고 삶아 반이 되면 짜서 찌꺼기는 버리고 반 사발씩 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장복(長腹)하면 효력이 매우 크다.
위장병, 고혈압에 [알로에]: 화분의 [알로에]를 물로 깨끗이 씻어 가시는 버리고 아주 곱게 쓸어 물로 하루 4회 마시면 2,3일 안에 효과를 본다.
밥맛을 나게 하며 건비(健脾). 보부족(補不足)하는 데 돼지 혀(舌): 사경을 헤메던 위궤양 환자가 [알로에] 술로 거뜬히 나은 예가 있다. [알로에] 잎을 곱게 짓찧어 그 배가량의 소주에 넣고 꿀을 술의 1/3 가량 섞어 20일을 놔둔다. 이것을 걸러서 하루 세번 배갈잔 한잔씩을 마신다. 장복하면 반드시 낫는다고 한다.
혈맥(血脈)이 안 통하고 배 속이 단단하게 뭉친 데에 돼지 위: 돼지 위를 깨끗이 씩어 물로 푹 끓여 자주 먹으면 효과적이다. 단 방사(房事)를 금할 것.

 

 

1.위출혈 구급법①: 서둘지 말고 거친 소금 한 줌을 냉수에 넣어 녹혀 천천히
삼키게 하는 것이 제일 좋다. 피가 그칠 때까지 계속 먹인다. 이것으로 지혈도 잘 되고 빈혈도 막는다.
2. 위출혈 구급법②: 연근의 생즙을 천천히 계속 피가 그칠 때가지 삼키게 하면 지혈, 보혈에 아주 좋다. 토혈 후 즉시 대량을 마시게 해도 좋다. 연근의 생즙에는 지혈.양혈(養血)의 뛰어난 성분이 많다.
위통. 치질. 변비가 겸한 증세에 [알로에]: 화분의 [알로에]의 잎을 따다가 깨끗이 씻어 곱게 쓸어 짓찧어 [오므라이트]에 싸서 15g씩 하루 3번 식전에 물로 먹는다. 다음날 뿌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장복하면 근치시킬 수 있다.
배 속이 딱딱하게 뭉쳐서 풀리지 않는데 청개구리 가루: 살아 있는 청개구리를 짓찧어 환부위에 첩부(貼附)하여 하루 두번씩 갈아붙이면 잘 낫는다. 이것은 청개구리의 살이 헌데의 독을 잘 빨아 들이기 대문이다. 이를 하모발독법(蝦모拔毒法)이라 한다.
속이 뒤집혀 밥을 먹을 수 없을 때 누에고치: 누에고치를 삶은 물을 차처럼 자주 마시면 이 증세가 없어진다.
위가 메시껍고 쓰린데 알로에(한방에서는 蘆회): 술.담배를 많이 하여 속이 메시껍고 쓰린 분은 식사 전에 화분의 [알로에]의 잎을 5cm 가량 뜯어 가시를 버린 다음 씹어서 먹으면 좋다. 1주일 이내에 그 증상이 말끔이 가실 뿐만 아니라 술을 약간 과음해도 숙취에 걸리지않게 된다.
십이지장궤양에 [알로에]술: 의사도 체념한 십이지장궤양에 [알로에]술로 거뜬히 건강을 되찾은 예가 있다. 즉 [알로에]의 잎을 가시를 제거한 다음 곱게 짓찧어 그 배 가량의 소주에 담그고 꿀을 술의 1/4정도 섞어 20일 가량 두면 먹을만한 [알로에]술이 된다. 이 술은 묵을수록 좋다. 이것을 배갈잔으로 반잔씩 하루 3번 마신다. 장복하면 근치 된다고 한다.

 

1. 위통에 태운 소금물: 소금을 큰 칼위에 한줌 놓아 불 위에서 달구면 벌겋게 되는데, 이것을 반 컵의 물에 던져 뜨거운 때 마시면 즉시 통증이 멎는다(中國妙方).

 

2. 위통에 굴: 굴 껍질을 벌겋게 구워 가루로 해서 아플 때마다 몇 숟깔씩 먹으면 잘 듣는다(中國妙方).
배가 차고 속이 뭉칠 때에 귤 껍질과 살구씨: 귤 껍질을 깨끗이 씻어 말리고 그 30분의 1에 해당하는 살구씨(껍질 벗긴 것)와 함께 노랗게 구워 가루로 하여 꿀에 개 녹두알 크기로 빚어 매일 식전마다 35알씩 밥물로 먹는다.
헛배가 부르며 위장허약, 식용부진에 보릿가루: 보릿가루를 볶아 탕수로 8g씩 매일 세차례 식간에 먹는다. 장복하면 효과가 매우 크다.

 

위부(胃部)의 무거운 증세에 "알로에" : 위궤양의 시초 등으로 위(胃)가 무지륵 하고 기분이 좋지 않은 증세에 흔히 구할수 있는 "알로에"의 잎을 찧어 그 생즙을 식전에 두 숟깔 정도를 매일 마시면 1주일 이내에 호전된다.
마늘, 계란 환약이 만성위염(慢性胃炎) 극복 : 알마늘 4백g에 3홉의 물을 부어 뭉긋한 불로 두 시간을 끓여 푹 익혀 풀처럼 개서 시킨다음 계란 노른자 5개를 넣어 다시 약한 불로 고루 저어 가면서 두시간 가량 끓이면 찐덕한 엿처럼 되는데 이것으로 콩알만하게 환을 지어 보관해 두고 식사전에 두개씩 하루 세번 먹으면 특효를 본다. 장복하면 이 병뿐만 아니라 몸을 근본적으로 건강케 한다(일본의 저명 인사가 많이 사용).

 

1. 위통(胃痛)에 뜸 : 소상혈(小商穴 ; 엄지 안쪽 손톱 가장자리 위로 3mm되는 곳에 쌀알만한 뜸을 세번 뜨면 이상하게도 위의 통증이 멎는다. * 胃土가 肺金으로 다스려지는 모양이다.

 

2. 위통(胃痛)에 생지황 : 생지황(生地黃)을 찧어 짠 생즙을 한 컵 마시면 낫는 수가 많다.
위장 쇠약, 식욕 부진에 당근 : 당근을 불에 구워서 식사 전에 반 뿌리씩 장복하면 위를 튼튼하게 하고 허파를 강하게 해준다.
위복냉통(胃腹冷痛)에 마늘, 식초, 술 : 끓는 물에 껍질 벗긴 마늘 세 쪽을 찧어 넣고 약간의 식초 또는 술을 타서 마시면 좋다(끓여서 먹는 것이 아니다.)
식체(食滯), 소화불량으로 인한 답답증에 무우씨 : 무우씨를 노랗게 볶아 찧어 가루로 하여 식후마다 차 숟가락으로 하나씩 끓인 물로 먹는다.
갑자기 가슴이 아프거나 위경련 또는 위 속이 뭉치거나 아플 때 복숭아씨 : 복숭아씨 40g을 껍질을 벗겨 찧어서 한 홉의 쌀과 섞어 묽은 죽을 쑤어 먹는다.
비위(脾胃)의 허한(虛寒) 이나 통증에 쑥가루 : 쑥잎을 가루로 만들어 차 숟가락으로 두 숟가락을 온수로 먹으면 효과가 있다.
단방 특효 침법 (單方特效鍼法) : 다음 그림의 흑점에 침(또는 바늘)을 2-3mm 꽂아 30-60분 놔두면 신통하게 잘 듣는다. 손톱끝으로 "따끔"하게 자극해도 잘 듣는다.
위가 뒤집혀 식사를 하지 못할 때 곶감 : 곶감 3개를 찧어 뜨거운 술과 함께 복용하면 효과를 본다고 한다.
육류나 생선류를 먹고 체했을 때에 : 생강잎을 삶아 설탕을 넣고 차 마시듯 자주 마시면 좋아진다.

 

 

1. 위통(胃痛)에 후추찜질 : 후추 80g을 곱게 가루로 해서 헝겊주머니에 넣어 아픈 부위에 대고 그 위를 "아이론" 같은 것으로 뜨겁게 하여 땀이 나오게 하면 잘 낫는다(中). *배가 냉하며 아픈 경우에 잘 듣는다.

 

 

2. 급성위통(急性胃痛)에 도인(桃仁) : 명치끝에서 위의 중심까지 아픈 증세에 복숭아씨의 살 12g을 빻아 물로 마시면 즉시 멎는다(中).
모든 위장병(胃腸病)에 탄소광 요법(炭素光療法) : 의사가 포기한 중증(重症)을 쐼으로써 기적적으로 치료된 예가 많다.

 

밥을 먹으면 곧 땀이 나는 증세에 돼지간 : 돼지 간을 잘게 썰어 기와장 위에 놓아 불로 구워 말린 다음 가루로 하여 흰죽 물에 개어 오동나무 열매만한 환약을 만들어 공복에 50알씩 먹으면 반드시 효과를 본다.
위장 냉증(胃腸冷症), 대장쇠약에 고추술 : 커다란 빨간 고추 3근을 잘라 헝겊을 잘 짠 후 좋은 배갈이나 소주에 담가 밀봉(密封)하여 1개월 동안 두었다가 식전 식후에 한 잔씩 오래 마시면 효과가 있다.
만성위염(慢性胃炎)에 마늘태운 가루 : 마늘의 껍질을 벗겨 질그릇에 담고 밀폐(密閉)한 다음 뭉근한 불로 질그릇을 달구면 마늘이 숯처럼 되는데 이것을 곱게 가루로

 

 

 

해서 귀위개로 세 개씩을 [오브라아트](약싸먹는종이)에 싸서 물로 하루 세번 식전에 마시면 잘 듣는다. 1개월 이내에 효과가 나타난다. 실로 잘 듣는 묘방(妙方)이다.

 

위장병 숙취 등에 표고버섯 : 표고버섯을 한 웅큼 한 사발의 물에 달려서 반 사람 정도가 되면 국물을 짜서 거기에 설탕을 넣어 마신다. 매일 수시로 마시면 마침내 위장병을 고친다고 한다.

 

위장이 약하고 때때로 마치 찌르는 것처럼 아픈 증세에 파씨 오수유 : 파씨와 오수유(吳茱萸)를 3:1의 비율로 섞어 15g을 끓인 물로 먹는다. 단번에 안 들으면 다시 먹는다.

 

1. 위궤양(胃潰瘍)의 출혈(出血)에 돼지 허파 : 모든 동물의 허파는 지혈(止血)의 명약이다. 미국의 AGIFTOL 과 FIBGCGEN, 일본의 CLAUDEN과 같은 뛰어난 지혈제는 모든 동물의 허파로 만든 것이다. 게다가 돼지의 허파는 위궤양(胃潰瘍) 자체를 아물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어떤 형태이든 돼지의 허파를 많이 자주 먹으면 위궤양 및 그 출혈에 특효가 있다.

 

2. 위궤양(胃潰瘍)에 살구씨, 오징어뼈 : 오징어뼈 가루 120g 과 살구씨 가루 40g 을 잘 섞어 찻숟갈 두 개씩을 물에 풀처럼 개어 식전 빈 속에 먹으면 특효를 본다. 배 속의 모든 헌데를 아물게 하고 출혈(出血)을 막는다(中國妙方).

 

중(重)한 위궤양에 결명자 : 위궤양이 악화되어 아무것도 목구멍으로 생킬 수 없었던 환자에게 초결명(草決明)의 진한 물을 조금씩 목구멍으로 넘겼더니 점차 회복되어 완쾌된 예가 있다고 한다.

 

위궤양에 감자 생즙 : 날 감자의 껍질과 눈을 버리고 강판에 갈아 헝겊으로 짜서 이 즙을 하루 두번 공복에 마시면 매우 효과가 크다. 한 번에 보통 감자 한 개 정도.

 

위궤양에 사과 겉껍질 : 사과의 껍질겉을 잘 씻어 1/4개를 껍질 채 믹서로 갈아서 짠 즙을 한 컵씩 하루 3-4회 마신다.

 

위 속이 딴딴하고 갑자기 아플 때 복숭아 씨 : 복숭아씨를 껍질을 벗겨 찧은 다음 온수로 복용하거나 동으로 향한 복숭아 나무 가지를 꺽어 술과 물을 반반씩 섞어 삶아 먹는다.

 

비방뜸 : 다음 흑점에 쌀알 반만한 크기의 쑥으로 뜸을 3-5장 뜬다. 하루에 안들어도 계속하면 특효를 본다.

 

1. 백급, 오징어뼈 가루 : 이 두가지를 반반 섞어 한 번에 찻숟깔 3개씩을 물에 풀처럼 개어 빈 속에 하루 두 번 먹으면, 위, 십이지장의 궤양을 틀림없이 고친다고 한다. * 개의 위에 구멍을 뚫어 놓고 9g의 백급 가루를 먹였더니 몇 시간 후에 아물었다는 외국의 보도가 있다.

 

2. 대왕풀 뿌리 : 우리 나라에 자연생으로 많으며, 토혈, 궤양, 각혈, 폐결핵, 외상 등에 널리 쓴다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요법  (0) 2008.06.04
자연식품의 효능과효과  (0) 2008.06.01
외상 -민간요법  (0) 2008.03.19
민간요법 다이어트-10계명  (0) 2008.03.19
여러가지 민간요법  (0) 200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