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삼지구엽초-암 성장억제

영지니 2008. 7. 6. 15:58

 

삼지구엽초

 

 

 

정력제로 만 알고 있는 삼지구엽초에 놀라운 여러가지 효능을 보시고,특히 암 성장저지율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삼지구엽초 는 초보자님들 이렇게 한줄기에 잎이 세개씩 있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원줄기에서 줄기가 세개로 나온 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속 개울가에 이렇게 무리를 지어 군락지를 이루고 있네요.

 

가을에 줄기와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음양곽(淫:음란할음.羊:양양,藿:콩잎곽)이라고 하는데 이는 예로부터 널리 알려진 간장제,간정제로 차를 끓여 마시거나 술을 빚어 마셨고,발기부전이나 만성관절염,월경불순의 치료제로도 쓰였다.

 

배수가 잘되는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노루오줌이나 꿩의다리도 잔잎 3장이 모여 달리기 때문에 삼지구엽초라고 불리기도 한다.

< 다음 브리테니커 백과사전 >

 

음 양 곽

다른이름

강전,건계근,기장초,방장초,삼지구엽초,선령비,천량금,황련조.


약용부위 

풀전체.


지대명

장부의 양기가 끓어져 자식이 없는 것,

여자가 음기가 끓어져 자식이 없는 것,

노인이 정신이 혼미해지는 것

중년의 건망증,모든 냉풍과 피로,근육경련,사지의 감각이상을 치료하고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며 자신감을 갖게 한다.

여러가지 이름이 있는 것은 그 효과에 따라 다르며,

계근,황련조는 그 뿌리의 모양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류자후문에는 선령비라고 되어 있다. 


금기

음허로 상화역동(서로상,물화,바꿀역,움직일동)하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

음허

음액이 부족한 증상,손,발 가슴에 열이 나는데 특히 오후에만 열이 오르고 대변이 굳으며 입 안이 건조하다. 

< 문화원형 백과사전 >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동의보감)

이가 아플 때 음양곽을 가루 내어 물에 달여 자주 양치하면 크게 효과가 나타나며 기침이 나고 입맛이 없을 때에도 음양곽과 복분자,오미자를 가루 내 꿀에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현대 의학이 밝힌 음양곽의 약리 작용은 다양한데 성 신경을 자극,성 기능을 높인다는 것이 임상적으로 증명된 바 있다.

또한 소화기계통에도 영향을 미쳐 고혈압을 일으킨 생쥐에게 성분을 주사하자 혈압이 내려갔고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작용도 확인됐다.

신경쇠약,히스테리,건망증과 무력증,월경장애,이명,현기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 대전일보 2005년 3월 9일 기사 내용에서 발췌 >

 

신양을 보하고 정기를 도우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풍습을 없앤다.

강정작용,이뇨작용,혈압을 낮추는 작용 등이 실험으로 밝혀졌다.

음위증,성신경쇠약증,성호르몬 장애등에 쓰며 소변불통,귀울음,건망증,마비,생리불순 등에 쓴다.

하루 6-10g을 달임약으로 먹는다.

< 북한 동의학사전 >

 

삼지구엽초는 성질이 더우므로 열이 많은 사람이나 소양체질인 사람이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소양체질의 사람이 삼지구엽초를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어지름증,구토,갈증이 생기고 코피가 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한글 동의보감 >

 

삼지구엽초애서 58.2%의 고형암 성장저지율을 보였다.

< 제주대학교 오명철 서술 "제주도산 산초,해조 및 버섯류 수용성 추출물의 항암효과" 에서 발췌 >

 

간암,폐암,유방암 세포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89%,91%,86%로 나타났다.

고혈압 관련인자의 작용에서 활성억제율이 높았다.

혈당 상승 관련효소 에 대한 활성억제율은 87%였다.

이러한 결과로 국내산 삼지구엽초는 중국산에 비해 항산화,항암,간기능증진,고혈압 억제효과 등의 생리활성이 높아 생약으로서의 활용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한국약용작물학회 학술지 논문 .노준현,김영진,김세원,이진하,이현용 서술"국내산과 중국산 삼지구엽초 생리활성 비교" 에서 발췌 >

 

채취시기에 따라서는 여름보다는 가을(9월 중순)에 채취한 것이 icariin 성분이 월등히 높았다.

재배산과 자연산간에는 자연산이 약간 높은 경향이였다.

철원지역에서 채취한 삼지구엽초(0.94%)에 비해 중국산(0.4%)의 icariin함량은 절반 수준에 불과하여 채취시기 및 장소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지논문 "삼지구엽초의 채취시기 및 산지별 성분 차이"에서 발췌 >

 

유사종 

꿩의다리 : 전남 완도군 약산도,대관령 및 설악산 주변.

꿩의다리아재비 : 태백산 주변.

연잎꿩의다리 : 설악산 주변.

 

 

그러나  산야초의 효능에 과신 하시지 말고,이러한 것은 참고로 하시옵고 항상 전문의와 협의 하셔서 올바른 섭취를 하시기 바랍니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초와 독초 혼동 하지 마세요  (0) 2008.07.06
엉겅퀴  (0) 2008.07.06
육종용  (0) 2008.07.06
도꼬로마(비해)  (0) 2008.07.06
광대나물   (0) 2008.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