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에서 자라는 도라지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뿌리는 도라지처럼 자르면 흰색의 진(즙액)이 나온다.
줄기는 가늘고 긴 것이 30~80cm 정도로 뻗어 나간다.
잎은 4개의 잎이 서로 근접해서 마주달리기 문에 모여서 달린것 처럼 보인다.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백색이다.
1내지 2미터로 높이로 뻗으며 8,9월에 꽃이 피며,11월에 종자가 익는다.
뿌리는 직근(直根)으로 땅속 깊이 있고 비교적 비대하여 인삼이나 도라지 뿌리와 비슷하다.
뿌리를 캐어 말린 것을 양유근이라 하고 한방에서 강장제로 쓰며, 보음약(補陰藥)으로 폐열로 인한 기침, 거담(祛痰)등에 처방 배합한다.
또 천식, 보익, 경풍, 한열, 보폐, 편도선염, 인후염, 기침, 거담 등의 약재로 쓰인다.
더덕은 약용보다는 식품으로 우리에게 더욱 알려진 약초이다.
만삼과 같이 닭에 넣고 고아서 강장식으로 먹고, 오래 묵은 뿌리는 술에 담가서 건강식으로도 사용한다.
이른봄에 어린 싹이나 잎은 데쳐서 나물이나 국거리로 하고, 뿌리는 더덕구이, 더덕술, 더덕장아찌, 더덕정등의 고급요리로 사용된다.
더덕술은 더덕과 더덕의 3배 가량의 소주를 부어 항아리에 넣고 밀봉해두면 연황색을 띤 더덕술이 된다.
그윽한 향기와 맛이 나며 정장, 진해, 거담에 빠른 효과가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더덕은 위를 보하고 폐기를 보한다.
산기(疝氣)를 다스린다.
고름과 종기를 없애고 오장의 풍기(風氣)를 고르게 한다." 고 하였다.
뿌리를 사삼이라 하며 식물명으로 더덕이라 부른다.
보음, 청폐, 거담, 지해의 효능이 있고 폐열조해, 구해, 인후통, 고혈압을 치료한다.
더덕은 초롱꽃과의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우리나라와 만주, 일본, 대만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예전엔 산에서 자생하는 것을 채취, 이용해 왔으나 현재는 전국적으로 재배도 많이 하고 있다.
더덕에는 사포닌과 인, 비타민, 단백질, 칼슘, 당류 등 많은 성분들이 함유돼 옛부터 건위, 강장제, 기침, 거담 등의 약재로 이용되어 왔고 요즘은 먹거리로 수요가 늘고 있다.
더덕뿌리의 씁쓰레한 맛은 사포닌 성분으로 인삼 못지않게 많이 들어있는데 더덕에 함유된 사포닌은 물에 잘 녹고 거품이 일어나는 물질으로 종기가 심하거나 독충에 물렸을때 더덕가루를 바르면 좋다는 것은 이 사포닌의 효과때문으로 보여진다.
더덕은 양유(羊乳) 사삼(沙蔘) 구두삼(狗頭蔘) 등으로도 불리며 옛 의서에 「더덕을 비롯해 인삼, 현삼, 단삼, 고삼 등을 오삼이라고 하는데 모양과 약효가 비슷하다」고 했을 만큼 위와 허파, 비장, 신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능력이 있다.
더덕은 과거 호흡기계통 질환의 약재로 많이 이용됐으며, 핏 속의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함량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어 주는 작용이 있어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또 두드러기에도 더덕뿌리를 달여 먹으면 잘 듣고 더덕을 말린 후 가루 내 따뜻한 물에 타 마시면 위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이밖에 물에 체한 경우와 변비에도 효험이 있다고 한다.
더덕은 이른 봄에 어린 싹이나 잎은 데쳐서 나물이나 국거리로 하고 가을에 캐낸 뿌리는 더덕구이, 더덕술, 더덕장아찌 등 요리재료로도 다양하게 쓰인다.
「해동역사」에는 고려시대에 더덕을 나물로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려 이전부터 더덕을 널리 먹어 왔던 것으로 보여진다.
더덕은 도라지와 비슷하지만 도라지보다 향기롭고 살이 연해 더욱 귀한 대접을 받아 온 나물이기도 하다.
더덕은 기후조건과 재배방법 등에 따라 맛과 향에 차이가 있는데 3년근 이상이고 일교차가 심한 고랭지와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자란 것이 좋다고 한다.
더덕은 구이, 찜, 절임, 무침, 김치 등 다양한 식품으로 개발돼 활용되는 외에도 특히 꽃에 꿀 함량이 많아 밀원작물로의 재배가치가 높다.
십리 밖에서도 냄새가 느껴진다고 할 만큼 독특한 향과 각종 약효성분을 함유하고 생채나 구이 등 음식으로서의 활용가치까지 높은 더덕. 올 봄에는 정원 한켠에 직접 심어 보는 것도 좋을듯 하다.
더덕 덩굴은 2~4m정도 자라며 자르면 흰색의 진액이 나온다.
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는 3~10cm, 넓이는 1.5~4cm로 4개의 잎이 호생한다.
꽃은 8~9월에 짧은 가지끝에서 아래쪽을 향해서 작은 종이 달린 것처럼 핀다.
더덕은 번식력이 강한 편이며 오래될수록 향이 강하고 약효는 좋으나 질기고 딱딱해져 부드러운 맛은 떨어진다.
더덕 100g에는 단백질 2.3g, 지방 3.5g, 기타 칼슘과 인, 다량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100g당 53kcal로 열량은 낮은편이다.
몸이 나른하고 입맛이 없을 때 더덕 요리가 그만이다.
더덕주와 구이, 무침, 장아찌 등 다양한 더덕 요리법을 소개한다.
오래된 더덕.15년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