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제주고사리 삼속

영지니 2008. 7. 10. 16:58

 

제주고사리삼속 Mankyua

 

관속식물문(Tracheophyta)

양치식물아문(Pteropsida)

고사리강(Filicineae)

고사리목(Ophioglossales)

나도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제주고사리삼속(Mankyua)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양치식물인 나도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인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한종을 포함하고 있는 속이다.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에서 채집되어 2001년 신속으로 설정되었다(B. Sun et al. 2001 ).

본 속은 상록성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10㎝이며 잎은 줄기 끝에 3개로 갈라지고 각각은 다시 1~2장으로 갈라져 5~6장이 윤생(돌려나기)하는 것처럼 보인다.

포자낭수는 2㎝로 줄기 끝에 달린다. 현재 제주도에 분포한다. 


 

 

a. 포자낭은 육질의 포자낭수에 잠겨있다. 관생근이 있다.


b. 영양엽은 장상으로 째진다. 차상분지맥. 포자낭수는 자루가 없다. 지하경은 포복한다.



제주고사리삼속 Mankyua

b. 영양엽은 드물게 째진다.

장상맥. 포자낭수는 자루가 있다. 지하경은 직립한다.


나도고사리삼속 Ophioglossum

a. 포자낭은 포자낭수에서 노출되어있다. 관생근이 없다.


c. 영양엽은 우상으로 째진다. 포자낭수는 우상으로 분지한다. 지하경은 직립한다.

고사리삼속 Botrychium

b. 영양엽은 장상으로 째진다. 포자낭수는 분지하지 않는다. 지하경은 포복한다.

Helminthostachys

 

I 참고문헌 I

Sun, Byung-Yun, Moon-Hong Kim, Chul-Hwan Kim & Chong-Wook, Park. 2001 Mankyua (Ophioglossaceae) : a new fern genus from Cheju Island, Korea. Taxon 50: 1019-1024.

 

사진제공(제주대학교 김문홍교수)

 

진화의 미스터리 '제주고사리삼'

 

 

전북대 선병윤 교수가 식물 진화상의 미스터리를 간직하고 있다며 제주지역 자생지를 반드시 원형대로 보존돼야 한다고 주장한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et al)'.(제주=연합뉴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초,약초 감별 상식  (0) 2008.07.11
가는 가래  (0) 2008.07.11
도깨비 고비 / 쇠고비  (0) 2008.07.10
고비고사리  (0) 2008.07.10
야산고비  (0) 2008.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