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영지니 2008. 7. 17. 17:32

1.는잎쑥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는잎쑥(국화과): 8~9월에 연한 황갈색꽃이 핀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좁은 피침형으로 잎자루가 없다.

1m 정도 높이로 곧게 자라는데  줄기에 털이 있다가 차츰 없어진다.

 

 

 2.개똥쑥(청호. 잔잎쑥)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Artemisia alcohol, Artemisinic Acid, Arteannuin, Artemisinol --- 등 비교적 쌍환(雙環) 화합물들이 많이 있다.

지용성부에서는 4종의 sesquiterpene, flavonol 화합물과 coumarin 화합물이 입증되고 있다.

발성 물질로는 camphene, isoartemisia-kotone, 1-camphor, β-caryophyllene, β-pinene 등이 분리되어 있다.

 

 

개똥쑥 (Artemisia annua)


개똥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이다.

잘 자라면 그 키는 1m 내외에 이르고 크게 자라기 때문에 다른 쑥류와는 초형이 다르다.

줄기는 둥글고 줄기의 밑부분은 목질화(木質化) 한다.

잎은 어긋나고 삼회우상복엽(三回羽狀複葉)인데 가늘게 갈라져 있으며 잎의 끝부분은 뾰족하다.

꽃은 6-8월에 피고 두상화서(頭狀花序)로 곡식의 이삭과 같은 모양으로 달려있다.

전체의 모양새는 원추화서로 두화는 지름 1.5mm 내외이고 황색을 띠기 때문에 이 식물의 중국명은 황화호(黃豪)라 한다.

이 식물은 대체로 불모의 땅에서도 잘 자란다.

생약

이 식물의 전초(全草)를 개화전성기에 채집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황화호(黃花豪), Artemisiae annuae Herba 라 한다.

과실은 9-10월에 수집한 것을 항화호자(黃花豪子)라 하며 역시 약용한다.

분 : 성분이 매우 다양하다.

Artemisia ketone, schizontal effect를 지니는 신물질을 이 생약에서 발굴해 내었다.

즉 aretemisinine이 발견되었으나 용해도가 낮아 의약으로 실용할 때에 약물유용성이 문제가 되므로 화학적인 수정을 실시하여 그 단점을 보완한 것이 0-methyldihydro-artemisine(artemether)인데 이것이 실용되고 있다.와 같은 성분들은 쑥류의 공통된 성분에 지나지 않는다.




    3.개사철쑥(갯사철쑥)

 

 

 

 

 

 

갯사철쑥이라고도 한다.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높이 40∼15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냄새가 있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고 가늘게 갈라지며 조각은 줄 모양으로서 고르지 못하고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위쪽 잎은 다시 갈라지며 그 조각은 실 모양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길이 9∼15cm, 나비 3.5∼5.5cm이며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잎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7∼9월에 초록빛을 띤 노란색으로 피는데 길이 3.5∼4cm, 지름 5∼6mm로서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대의 길이는 2∼6mm이다.

총포조각은 끝이 둥글고 3줄로 늘어선다.

바깥조각은 길이가 약간 짧고 가운데와 안조각은 같은 길이이다.

암꽃은 화관의 길이 약 1.5mm이고, 양성화는 약 1.8mm로 각각 모양이 다르다.

열매는 수과이며 털이 없고 길이 약 1mm이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포기째 감기·결핵성염·학질·간염·담낭염·담도염·황달 등에 약재로 쓴다.

한국(제주·강원·경기·황해)·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백과사전 중에서)

 

4.구와쑥(은쑥) 

 

학 명:

Artemisia laciniata Willd.

과 명:국화과 Compositae
목 명:식물관
분 포:

 

함경 북도 백두산, 제주도 한라산, 만주, 중국, 시베리아, 일본북부, 사하린 및 유럽

 

 

 

 

 

 

 

 

 

 

【형태】

높이 : 25-40cm

잎특성 : 근생엽은 방석처럼 퍼지고 긴 타원형으로 생겼다.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2-18cm 폭 5.5-6cm정도이다.

뒷면에 복모가 있다.

제 1차 열편은 8쌍으로 타원형으로 생겼으며 제 2차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 중앙까지 갈라졌다.

소열편은 예두로 밑부분의 폭이 0.5-0.7mm정도이고 중축은 밑부분이 과출되며, 윗부분이 빗살같다.

줄기의 잎은 근생엽과 같지만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되었다.

꽃특성 : 개화기 10월. 황색의 두화는 둥글고 길이 2.5-4mm 지름 4-6mm정도이다.

총포편은 털이 없고, 4줄로 배열되어 있다.

외포편은 넓은 선형으로 길이 2.5mm, 중포편과 내포편은 넓은 타원형이다.

줄기특성 :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열매특성 : 열매는 수과, 길이 1.2mm.염색체수2n=18.

용도 : 식용, 약용(전초-해열,풍습,이뇨,황달,창종)



5.그늘쑥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1.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깊이 갈라진다.

 

 6.금쑥

 

 

7 ,넓은잎 외잎쑥

국화과 다년초인 넓은잎외잎쑥은 산지에섭 볼 수 있는데, 줄기는 곧게 서고, 상부에서 짧은 가지로 갈라지며 높이는 50~100cm 이다.

잎은 뿌리잎과 줄기잎으로 구분되는데, 뿌리잎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사라지고, 줄기잎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으로 어긋나며 가탁엽이 있으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윗부분에 많은 두상화가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수과로서 타원형이며 10월경에 성숙한다.

넓은잎외잎쑥의 어린 순을 나물로 식용하고, 쑥떡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민간에서 전초를 이뇨제, 안질, 해열 등에 약으로 쓴다

 

 

 
     8,더위지기 (생당쑥)


더위지기
학명:Artemisia iwayomogi
분류:초롱꽃목 국화과
다른이름:생당쑥,
특징:  높이는 1m 정도이고 줄기는 뭉쳐나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깃꼴로 두 번 갈라지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줄기잎은 바소꼴로 톱니가 있으며,
꽃은 7∼8월에 황색의 두화가 잎겨드랑이에 총상으로 달린다.

열매는 11월에 익는다.
유사종으로 잎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는 흰더위지기(for. discolor)가 있다.
용도: 약용 (잎은 이뇨·이담·간염·황달에 효능).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마중의 효능  (0) 2008.07.17
줄풀  (0) 2008.07.17
사철쑥(인진호) / 비쑥 / 인진쑥  (0) 2008.07.17
꿩고비  (0) 2008.07.16
인동초  (0) 2008.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