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호장근(범싱아)

영지니 2008. 6. 7. 23:09

 

호장근(범싱아)

 

 

높이 1~2m 되는 여뀌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이다.
넓은 난형의 잎이 어긋나게 붙고, 줄기는 굵고 속이 비었고, 자주색 무늬가 있습니다.
각지의 산과 들에 자생하며 재배도 합니다.
뿌리(호장근) - 가을에 캐어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립니다.

뿌리에 배당체인 폴리고닌이 있습니다. 폴리고닌은 물분해하면 에모딘과 당으로 됩니다.

그리고 에모딘, 에모딘모노메틸에테르, 크리소파놀 등이 있습니다.
잎에는 에모딘, 레우노우트린, 이소쿠에르씨트린, 쿠에르씨트린이 있습니다.
줄기와 잎에는 뿌리에서와 같은 옥시안트라키논유도체, 비타민 C, 혈당저하작용이 있는 활성싱아산,

탄닌 6~9%, 클로르겐산, 카페산, 몰식자산이 있습니다.

뿌리달임액은 약한 설사작용이 있습니다. 폴리고닌과 에모딘을 비롯한 안트라키논유도체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방광염에 범싱아 10 ∼ 15g을 끓여 하루 3번 먹는다.

 

파상풍에는 범싱아, 감초를 각각 같은 양을 섞어서 물에 달여 그 물을 여러 번 나누어 마신다.
발에 못이 찔린 다음 갑자기 열이 나고 손발에 경련이 와서 파상풍에도 효과가 좋다.

 

기관지폐염은 상기도의 염증에 뒤이어오는 폐의 급성염증성질병이다.

이 병은 돌림감기, 기관지염, 상기도의 염증을 오래 앓았을 때 염증이 심해져 생기는 경우가 많다.
범싱아 - 30~50g을 물에 달여 하루 3~4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먹는다.

달임약은 균억누름작용, 소염작용이 있을 뿐아니라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한다.

 

위암에는 다래나무뿌리 1kg, 범싱아뿌리 500g을 잘게 썰어 물이 절반되게 달여서 한번에 20-30ml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다래나무뿌리와 균억누름작용과 항바이러스작용, 소염작용을 하는 범싱아뿌리를 함께 쓰면 항암작용이 더 세진다.

 

        약성가 및 고서   
虎杖根溫平治煩渴 諸淋可利通經血 : 호장은 약성이 온평하다.

       번갈을 주치하며 제림을 다스릴 수 있고, 경혈을 통리하게한다. 감제풀 뿌리이다.

         

        
높이 1~2m 되는 여뀌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입니다.

       넓은 난형의 잎이 어긋나게 붙고, 줄기는 굵고 속이 비었고,

       자주색 무늬가 있습니다.
각지의 산과 들에 자생하며 재배도 합니다.

       뿌리(호장근) - 가을에 캐어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립니다.

           


 

          뿌리에 배당체인 폴리고닌이 있습니다.

        폴리고닌은 물분해하면 에모딘과 당으로 됩니다.

        그리고 에모딘, 에모딘모노메틸에테르, 크리소파놀 등이 있습니다.
 잎에는 에모딘, 레우노우트린, 이소쿠에르씨트린, 쿠에르씨트린이 있습니다.
  줄기와 잎에는 뿌리에서와 같은 옥시안트라키논유도체, 비타민 C, 혈당저하작용이 있는 활성싱아산, 탄닌 6~9%, 클로    르    겐산, 카페산, 몰식자산이 있습니다.

        

                     약                                                                                                                                                                                                              

 

       뿌리달임액은 약한 설사작용이 있습니다.

        풀리고닌과 에모딘을 비롯한 안트라키논유도체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응용 

         한의에서는 통경약, 이뇨약, 완하약으로써 월경과다, 방광염, 황달 등에 씁니다.
 민간에서는 감초와 함께 달여 달고 신맛이 있는 청량음료로 또는 기침약으로 씁니다.
  

        적응 : 완하, 이뇨, 통경, 진해진정약, 祛風利濕(거풍이습), 破瘀(파어), 류마티즘에 의한 근골동통, 습열황달, 淋濁(임  탁),    帶下(대하), 월경폐지, 산후의 악로체류, 복부의 결괴, 치루출혈, 타박상, 화상, 惡瘡癬疾(악창선질).

         

       사용예  

       호장근 달임 : 5~10g을 물로 달여서 월경과다, 방광염, 황달, 늑막염에 하루3번 나누어 마심.

       술에 담갔다가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도 복용. 
 

      외용 : 분말 또는 태워 가루로 만들어 환부에 살포. 바짝 졸여서 膏(고)를 만들어 붙이거나 바름.
 

      생용 : 호장근을 뱀물린데에 또는 류머티즘에 찧어서 塗布(도포)합니다. 
 

      차용 : 연한 싹을 따서 건조한 후에 달여서 복용하면 해열제가 됩니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대나물   (0) 2008.06.08
누로(뻐꾹채)  (0) 2008.06.08
위령선  (0) 2008.06.07
구룡초  (0) 2008.06.07
참나물  (0) 2008.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