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명:감성돔 ●방언:감싱이(경남)·감숭어(전남)·가문돔(제주), 새끼(살감성돔)들을 일컬어 남정바리·비드락·비돔·비디미·배디미·똥감싱이 ●學名:Acanthopagrus schlegelii ●英名:Black porgy, Black seabream ●日名:구로다이(クロダイ) 관련 어종 1.청돔 ▶學名 : Sparus sarba ▶日名 : 헤다이(へ ダイ) ▶특징 : 체형이 참돔처럼 둥글고 황색점이 있어 체측에 황색띠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참돔·감성돔과 다른 점이다. 2.새눈치 ▶學名 : Acanthopagrus latus ▶日名 : 기치누(キチヌ) ▶특징 : 배, 꼬리, 뒷지느러미가 노랑색을 띠며, 감성돔보다 더 남방계의 어종으로 우리 나라 남해에선 찾아보기 어렵다. 푸르던 나뭇잎이 노랗고 빨갛게 물드는 가을이 오면, 뜨거운 갯바위에서 복어·쥐치·놀래기(술뱅이) 등 여름 잡어에 시달리던 꾼들은 다시 손목에 힘을 주며 긴장하게 된다. 갯바위낚시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감성돔낚시 시즌이 돌아온 때문이다. 바다에서 즐길 수 있는 낚시 중에서 가장 세련된 기술을 요하고 다이나믹한 멋을 가진 것이 감성돔낚시라 할 수 있다. 이름 감성돔은 돔 종류 중에서 붉은 빛을 띤 참돔이나 붉돔 등에 비하여 수심이 얕은 연안에 서식하는 종이며, 옛부터 바닷가의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어 왔기 때문에 지방에 따라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성어는 감정돔·감숭어·감싱이·가문돔 등의 이름이 있으며, 유어는 성어보다 더욱 다양한 이름을 가져 남정바리(강원도), 뺑철이(경북), 비돔·비드락(전남), 비디미·배디미(서해), 살감싱이·똥감생이(남해안), 뱃돔(제주) 등 전혀 어감이 틀린 이름을 많이 갖고 있다. 아무튼 감성돔은 도미류 중에서 검은 빛을 많이 띠고 있으므로 그 명칭에 '검다'는 뜻이 많이 쓰이고 있다. <자산어보>에는 흑조로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에서는 '검은돔'이란 뜻으로 구로다이로 부르는데, 구라파에서도 같은 의미로 'Black porgy', 'Black seabream'으로 부르고 있다. 학명은 Acanthopagrus schlegelii 이며 속명인 pagrus는 그리이스어로 '돔'을 뜻하는데, 따라서 Acanthopagrus는 '가시(Acanta)가 있는 도미'란 뜻이다. 또한 도미의 영명인 bream은 중세 프랑스어인 breme에서 유래하였으며, 독일이나 네델란드에선 감성돔을 '바다의 잉어'란 뜻의 Meerbrasse, Zeebrasem으로 부르고 있다. 중국에선 도미 조 자로 기재하고 있고, '작은고기(小魚)'란 뜻도 있으나 정확한 의미는 알 수 없다. 특징 감성돔의 체형은 그야말로 전형적인 '돔'의 모습을 갖추고 있고, 참돔·붉돔·청돔 등과도 유사하지만, 돔류를 체색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때 감성돔은 회색이나 흑색이 강한 무리에 속한다. 측편된 몸의 전체적 윤곽은 타원형이며 참돔에 비하여 이마선이 둥글지 않고 직선형이다. 빛깔은 회흑색으로 등쪽이 진하고 배쪽은 연하며, 옆구리에는 가늘고 세로로 그어진 불분명한 선이 있다. 감성돔은 유영 속도가 시속 5~10km로, 방추형 몸매를 갖춘 참치(40~50km/h)나 방어·부시리(30~40km/h)비하면 느린 편이지만, 흰색 살을 가진 어류들이 그러하듯이 순간적인 유영속도와 힘은 무척 빠르고 강하다. 또 몸의 방향 전환이나 균형 유지에 쓰이는 가슴지느러미가 매우 길어(몸 전체 길이의 약 25~30%) 자신의 몸을 자유자재로 앞뒤로 움직이며, 그물이나 장애물을 만나면 '뒷걸음질'을 칠 정도로 영리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물고기로 알려져 있다. 감성돔은 돔 중에서 연안성이 강하며 어린 시기에는 강 하구에 머물 정도로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어종이다. 분포·분류 감성돔은 농어목(目, Percida), 도미과(科, Sparidae), 감성돔 속(屬, Acanthopagrus)에 속하며, 우리 나라에 기재되어 있는 감성돔 속 어류로는 감성돔 외에 새눈치(A.latus)가 있다(정, 1977). 한편 우리 나라 도미과에는 모두 6속 8종이 기재되어 있으며 체형은 모두 측편된 타원형으로 비슷하지만 참돔·황돔·붉돔·실붉돔 등 체색이 붉고 비교적 깊은 바다에 서식하는 무리와, 감성돔·새눈치·청돔과 같이 체색이 은빛을 띤 흑회색으로 비교적 얕은 연안에 서식하는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감성돔과 형태나 색체가 유사한 새눈치는 지느러미 색과 측선 위의 비늘 수로 감성돔과 구별되며, 감성돔보다 더 따뜻한 바다를 좋아하는 남방계 돔으로, 우리 나라 남해안에서는 흔치 않은 종이다. 또한 새눈치는 최대 크기가 30cm로 감성돔처럼 40~60cm급의 대형은 없으며, 감성돔에 비해 눈이 크고 배, 뒷지느러미가 황색을 띠는데, 측선 위 비늘수가 4장(감성돔 6~7장), 뒷지느러미 가시가 3개(감성돔 2개)인 점이 감성돔과 구별된다. 일본에서는 큐슈 남부 지방과 유구열도·오끼나와 부근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감성돔속 어류를 포함하여 모두 5종을 기재해 두고 있다. 즉, 감성돔·새눈치 외에 미나미구로다이(ミナミクロダイ, A.sivicolus), 난요우치(ナンヨウチヌ, A.berda), 오스트라리아키치누(オ一ストラリアキチヌ, A.australis)가 있다. 감성돔에 비하여 이들 3종은 모두 남방종으로서 그 북쪽 분포 한계가 오끼나와섬을 포함하여 유구열도(琉球列島)로, 북위 30도 이남에 분포하고 있어 우리 나라에선 볼 수가 없다. 또 이들은 형태적으로 감성돔과 언뜻 보기에 비슷하지만 측선 위의 비늘 수가 모두 4~5장으로, 감성돔의 6~7장에 비하여 그 수가 적으며, 지느러미 색이 황색을 많이 띠는 특징을 갖고 있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한편 청돔속(屬, Sparus)에 속하는 청돔(Sparus sarba)은 <표1> 및 <그림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기가 40cm급으로 대형이지만 머리 생김새가 참돔 비슷하게 둥근 감을 띠며, 체측의 비늘 중앙에 옅은 황색점이 하나씩 있어 마치 체측에 많은 황색 줄무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외 뒷지느러미 가시 수가 3개(감성돔 2개)이고 줄기 수가 10~12개로 감성돔(8~9개)보다 많은 특징 등으로, 감성돔과 육안으로 쉽게 구별된다. 우리 나라의 감성돔은 전 연안에서 볼 수 있는 내만성 물고기로서, 일본 훗카이도 이남, 큐우슈우, 동남 중국해, 대만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생태 감성돔의 생태적 특징 중 가장 특이한 것은 성전환(性轉換)을 한다는 것이다. 어류 중에서 성전환을 하는 종으로는 감성돔 외에도 까지양태·놀래기·황돔·우레기·드렁허리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어릴 적에 암컷이 먼저 되었다가 차츰 성장하면서 수컷으로 바뀌는 종(자성선숙, 雌性先熟)으로는 용치놀래기(술뱅이·술미·놀래기 등으로 불림)·황돔·우레기·드렁허리류이다. 이 때문에 여름철 남해안에서 흔히 낚이는 용치놀래기는 작은 개체에서 수컷(초록색을 띠며 가슴지느러미 뒤에 큰 흑점이 있음)을 볼 수 없다. 한편 어릴 적에 먼저 수컷이 되었다가 성장함에 따라 암컷이 되는 종(웅성선숙, 雄性先熟)으로는 감성돔과 까지양태가 있다. 즉 감성돔은 어릴 때 난소와 정소를 같이 가지고 있으나 20cm급으로 자라면 성이 분화되기 시작해 25~30cm(2~3살)가 되면 모두 수컷이거나 수컷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4살이 되면 최초로 암컷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그 후 점차 암컷의 비율이 높아진다. 드물게는 2살 된 암컷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그 수는 극히 적다. 따라서 감성돔은 나이 어린 신랑(수컷)과 나이 많은 신부(암컷)가 어울려 알을 낳게 되는 것이다.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알 수는 크기나 나이에 따라서 다르나 대개 10~20만 개 범위이다. 감성돔의 산란장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육지로 깊숙이 들어간 연안의 조용한 내만이 되며, 봄철 '오름 감성돔'의 귀착지가 대부분 산란장이다. 예를 들면 남해안의 득량만·강진만·순천만·여자만·고성만 등지가 그 대표적인 곳이며, 이 시기의 배낚시 또한 대개 이들 산란장으로 향하는, 알배기 암컷을 겨냥하게 되므로, 감성돔 자원 보호 측면에서 삼가해야 할 낚시로 생각된다. 특히 암컷이 되려면 적어도 4년이 걸려야 하는 감성돔의 경우, 산란장으로 향하는 암컷일수록 그 보호가 절실하다. 감성돔의 알은 둥글고 분리되어 수면에 뜨는 분리부성란(分離浮性卵)이며, 지름이 0.75~0.95mm로 작고 속에는 0.2mm 정도 크기의 유구(油球)가 1개 있다. 수정란은 수온 19℃ 전후에서 약 40~45 시간만에 부화한다. 갓 부화한 새끼(仔魚)는 몸 길이가 2mm 전후이며, 황색소포가 몸과 유구 위에 산재하고 있다. 부화 후 3~4일이 지나면 먹이를 먹기 시작하는데, 이 시기의 새끼는 참돔의 자어와 비슷하지만 체형과 흑색소포의 분포 차이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즉 이 시기의 감성돔 새끼는 참돔 새끼보다 몸이 가늘고 긴 편이며, 배쪽에 뚜렷한 흑색소포 덩이가 있어 구분 가능하다. 이같은 감성돔 새끼들은 5~7월에 연안의 해초가 무성한 얕은 곳에 많이 나타나며, 떼를 지어다니다 가을이 되면 서서히 깊은 곳으로 이동해 간다. 물고기들은 계절 또는 시간에 따라 외?내적 요구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해 가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회유(?游, migration)라 한다. 감성돔의 회유에 대해서는 자세한 조사가 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두 가지 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일년 내내 연안 암초지대에 머물며 살아가는형(’붙박이‘로 불린다)과, 만(?) 내외의 비교적 깊은 곳을 주 서식장으로 하고 산란기에 암초나 연안의 얕은 곳으로 이동하는 형(일반적인 감성돔 이동 무리)이 그것이다. 아무튼 감성돔은 봄철과 가을철에 이동을 크게 하며, 낚시 시즌 또한 대개 이 시기가 된다. 봄철에는 먼 바다 섬 주위에서 월동을 마친 어미와 어린것들이 상승하는 수온에 따라 연안으로 이동해 오며(오름감성돔), 산란을 마치고 가을이 되면 서서히 따뜻한 먼 바다로 내려간다(내림감성돔). 참고로 우리 나라 연안의 겨울 수온 분포를 보면 추자도·거문도·백도·소리도(연도)·욕지도·매물도·거제도 남단을 잇는 선은 수온 10℃ 이상 유지되는데, 결국 이 선은 겨울철 감성돔 월동장과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감성돔이 수온 7~30℃ 범위에서 주로 서식하며, 4~5℃의 저수온에서도 생존은 가능하지만, 자연 상태에서의 월동장은 대개 표층 수온이 10℃ 이상으로 유지되는 곳이라고 볼 수 있다. 성장·식성 우리들이 대형급으로 부르는 감성돔은 과연 몇 살쯤 되는 놈일까? 감성돔은 성장 속도가 참돔보다는 느린 편이며, 낚시 최대어 기록에 있어서도 참돔이 106.0cm인데 비하여 감성돔이 71.5cm(낚시춘추 1992년 1월호)로 작다. 감성돔의 성장은 어미로부터 받은 유전적 형질 이외 수온, 먹이환경 등 외부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개 1년에 12~13cm, 2년에 19~22cm(약 220g 전후), 3년에 23~26cm(약 400g)로 성장하며 4년 후에는 30cm 전후로 성장한다. 대개 40cm급이면 6~7세로 추정되는데, 결국 갯바위낚시에 흔히 낚이는 30~40cm급은 3~5세로 볼 수 있겠다. 감성돔의 식성은 한 마디로 잡식성이다. 수면에 떠서 살아가는 자어기(仔魚期)에는 요각류(copepoda)의 유생 등 소형 플랑크톤을 주로 먹으며, 1~3cm 크기로 자라면 요각류와 소형 단각류(Amphipoda) 등 조금 큰 플랑크톤을 먹다가 3~4cm로 자라면 새우류 유생 및 단각류 외에 해조류도 먹기 시작한다. 그 후 성장함에 따라 새우,게류, 갯지렁이, 조개류, 소형 갑각류, 어류 등 다양한 식성을 보이게 되며 해조류도 약 10종 정도의 위 내용물에 나타난다. 낚시 예부터 낚시는 ‘민물’에서 시작하여 바다로 나간 후 다시 민물로 돌아간다‘고들 했다. 이것은 사람이 일생을 거치면서 체력적인 면에 맞추어 낚시를 즐긴다는 것을 뜻하는 한편, 민물과 바다낚시의 특징 또한 잘 나타내주는 말이라 생각된다. 민물에서 붕어낚시를 시작한 사람은 낚싯대를 부러뜨릴 정도의 억센 힘을 가진 고기를 꿈꾸게 되며, 그러다 어느 기회에 갯바위에서 목줄 3호가 터져나가고 낚싯대가 두 동강 나는 감성돔, 돌돔낚시를 접한 후에는 한참 동안 바다낚시 열병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그야말로 ‘병’이 생기면 가끔 오른손 손바닥이 주기적으로 근질거리게 되고 ‘찡’하는 낚싯대 울음소리가 툇마루를 스치는 가을 바람에도 섞여 들리게 되는 것이다. 낚시 대상어로서의 감성돔은 갯바위의 총아답게 낚는 맛이 기가 믹히지만 실제 낚으려면 상황에 따라 까다롭기 그지없다. 눈 밝고 성질마저 까다로워 한번 다문 입을 열게 하기 어려운 반면, 상대적으로 한번 몰려들기 시작하면 어떤 고기보다 화끈하고 강하게 달려들기도 한다. 크게 배낚시와 갯바위낚시로 나눌 수 있는 감성돔은 역시 갯바위에서의 낚시가 주률르 이루고 멋도 있다. 겨울철 추자도에 모이는 꾼들의 숫자를 보더라도 감성돔의 매력은 갯바위낚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같은 감성돔낚시의 장비와 채비, 포인트, 미끼, 기법 등은 여러 조사님들에 의해 이론이 잘 정립되어 있는 관계로 여기선 생략하기로 하고, 감성돔의 예민한 신경과 관련된 시력에 대해 간단히 언급코자 한다. 문어나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頭足類)의 눈은 인간과 비교될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져 있고, 사진기의 플래시처럼 2천분의 1초의 짧은 광도도 감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반 물고기들의 눈은 그렇게 발달되어 있지 않다. 즉, 물고기들은 사진기 플래시와 같은 짧은 시간의 광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반면 물고기의 눈 속에 빛의 강약을 감지하는 간세포(桿細胞)는 1평방제곱미리미터당 10~20만 개가 분포하고 있어 척추동물의 눈 중에서 가장 빛의 강약에 민감한 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물이 맑은 곳에서는 사람의 눈으로 느끼지 못할 만큼의 빛에도 물고기는 예민하게 반응하며, 특히 눈이 밝고 예민한 감성돔의 경우 약한 불빛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이 맑은 곳에서는 사람의 눈으로 느끼지 못할 만큼의 빛에도 물고기는 예민하게 반응하며, 특히 눈이 밝고 예민한 감성돔의 경우 약한 불빛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섬의 깎아지른 바위에 자리잡고 밤낚시를 할 경우에는 가능한한 ‘불빛을 자제하는 것이 대물과의 만남에 필수적 유의사항임을 알아야겠다. 요즈음은 조그맣고 불빛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는 성능 좋은 플래시가 많이 나와 있어 밤낚시에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끝으로 감성돔은 연안에서 낚시로 쉽게 만날 수 있는 어종인 만큼 오랫동안 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자원보호가 요구되는 어종이기도 하다. <표1> 감성돔·새눈치·청돔의 비교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