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선.식이요법

보리, 콩

영지니 2007. 3. 12. 18:51
 
보리=식욕부진엔 가루 볶아 매일 식간(食間)에.
콩=비듬제거… 머리 잘 감은 뒤 기름 발라
 
 
 
보리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짭짭하며 독이 없다. 소변불통=묵은 보리 짚을 진하게 삶아 자주 마시면 곧 통한다.
 
겨울에 피부가 마르고 손발과 얼굴의 피부가 틀 때=대맥묘(大麥苗)를 삶은물로 매일 세차례 씻으면 된다. 오래 씻으면 더욱 좋다.
 
황병(黃病=전신과 얼굴이 노란 것)=대맥묘(大麥苗)를 많이 찧어 즙을 짜 한컵씩 매일 세차례씩 식간에 복용하면 된다.
 
모든 임병(淋病)=보리 3돈쭝에 물 두사발을 붓고 끓여 한사발이 되면 생강즙 한잔과 꿀 한숟가락을 타서 한꺼번에 복용한다. 매일 세차례씩 식전에 복용하면 된다.
 
위장허약 식욕부진 헛배가 부를 때=보릿가루를 볶아 끓인 물로 2돈쭝씩 매일 세차례 식간에 복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효과가 매우 좋다.
 
소변하혈, 대변하혈, 자궁하혈=보리짚을 태워 재 1냥쭝과 마른 오매(烏梅) 3개에 물 2사발을 부어 물이 1사발이 될 때까지 삶아 이것을 식전에 복용한다. 매일 세차례 이와 같이 만들어 복용하면 매우 좋다.
 
신염수종증(腎炎水腫症)=보리나 밀, 이삭(바늘이 달린 것) 3돈쭝과 호박씨 5돈쭝을 찧어 물 한그릇 반으로 줄인 후 한 그릇이 되면 이것을 아침, 저녁 공복시 한번씩 복용하면 보조 치료가 된다.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열절독창(熱癤毒蒼)=콩을 까맣게 태워 가루를 만들어 참기름에 게어 바르면 된다.
 
위장무력, 소화불량=콩 한되를 노랗게 볶아 계내금(鷄內金=鷄內胃 內皮를 말함)반근을 노랗게 볶은 것과 함께 가루로 만들어 매일 식후에 온수로 한 숟가락씩 복용한다.
 
두피풍습(頭皮風濕)이나 비듬이 많은 때=밤에 머리를 잘 씻고 콩기름을 솜에 묻혀 머리 피부에 3~5차례 문지르면 곳 낫는다.
 
발꿈치가 아플 때=대두근(大豆根)을 진하게 삶은 물로 자주 씻고 또 그 물에 담그면 효력을 본다.
 
 
한성호(韓成昊)
 
 
 
 
창종(瘡腫)엔 태운가루 참기름에 개어 발라 유방통(乳房痛)…
볶아 식초 넣고 죽 쑤어 환부에
 
 
 
 
약성은 미한(薇寒)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임병(淋病)=밀 한되 통초(通草)2돈쭝에 물 석되를 부어 한되가 되도록 삶는다.
이 물을 매일 3~5차례 마시면 된다. 이 처방은 노인 임병에도 효력이 있다.
 
갑상선비대=밀 한되를 식초 한되에 하룻밤 담구어 둔다음 말려 가루를 만들고 미역을 잘 씻어 3돈쭝을 찧어 밀과 갠다. 이것을 술 또는 술을 약간 탄 온수로 큰 숟가락 하나씩 매일 세차례 식후에 복용하면 된다. 오래 복용하면 효력이 아주 좋다.
 
창종(瘡腫)=밀을 검게 태워 가루를 만들고 참기름으로 개어 바르면 낫는다.
 
식은 땀 또는 땀이 몹시 날 때=물위에 뜬 밀을 볶아 가루를 만들고 밥물로 두돈반을 매일 세차례 식간에 복용한다. 또 밀껍질을 노랗게 볶아 물이나 밥물로 2돈반을 복용해도 유효하다.
 
등, 허리, 손발의 신경통 또는 타박으로 삐었을 때=식초에 밀 껍질을 넣어 볶은 다음 뜨거울때 주머니에 잘 담아 아픈 곳에 대면된다. 식으면 따끈한 것으로 자주 바꾸면 효과가 있다.
 
내상토혈(內傷吐血)=밀을 노랗게 볶아 가루를 만들어 연뿌리즙 한컵과 함께 복용하면 효력이 있다. 효력이 없으면 계속 복용하면 된다.
 
코피나 토혈이 멎지 않을 때=밀가루 3돈쭝에 식염을 약간 넣어 냉수로 복용한다. 듣지 않으면 계속하면 된다.
 
적백이질이나 설사가 멎지 않을 때=밀을 노랗게 볶아 가루를 만들고 밥물로 2돈쭝씩 복용한다. 매일 세차례 식전에 복용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유종(乳腫)이나 젖이 아프고 굳게 뭉쳤을 때=밀을 노랗게 볶아 가루를 만들고 식초로 죽을 쑤어 이것을 두껍게 환부에 바르면 풀린다.
 
파상풍=밀 한줌과 볶은 식염 한줌을 함께 섞어 가루로 만들고 물로 개어 바르면 매우 효과가 있다.
 
독창출혈(毒瘡出血), 출수(出水), 출농(出濃)=밀을 찧어 가루를 만들어 바르고 매번 소금물로 씻어 버린 뒤 다시 바르면 낫는다.
 
원족 여행 등으로 발에 물집이 생겼을 때=밀가루 또는 밀을 잘 씹어 물에 개어 하룻밤 바르면 없어진다.
 
게 식중독=소맥묘(小麥苗) 한줌을 삶은 물로 자주 마시면 곧 풀린다.
 
 
한성호(韓成昊)
 
 
 
 

체한데는 태운가루 끓인물로 복용, 구급식량…,

술에 불려 말리기 7번

 
 
 
약성은 보통이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이 없다.
정력 보강죽=쌀과 검인을 같은 모양으로 죽을 쑤어 아침과 취침시에 한 그릇씩 상복하면 심기보강하고 신장과 양기를 강화한다. 또 귀가 밝아지고 눈이 맑아지며 남자는 조루방지, 여자는 대하를 치료할 수 있다.
 
소아의 창(瘡)=어머니가 쌀을 입에 넣어 잘 게 씹은 것을 바르면 낫는다.
 
밥이 소화되지 않거나 체했을 때=쌀 한줌을 태워 가루를 만들어 끓인 물에 풀어 따끈할 때 마시면 곧 풀린다.
 
구급식량(救急食糧)=쌀 한되를 배갈 석되에 불려 하룻밤을 두었다가 말린 후 다시 담갔다가 또 말리는 방식으로 7번 되풀이해 말린다음 보관하였다가 급할 때 한줌 먹으면 하루 종일 견딜 수 있다. 또 풍습이나 한열 등 잡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등산, 여행, 행군, 탐험 또는 흉년이나 피난 때 구급식량이 된다.
 
유산방지=습관성 유산은 잉태후 곧 쌀 3컵에 생황기(生黃?) 6냥쭝을 넣어 죽을 쑤어 즙을 내어 3등분해 한번에 한 사발 정도씩 매일 세차례 복용하면 방지된다. 설탕을 가미해도 무방하며 1개월간 계속하면 절대로 유산할 염려는 없다.
 
토혈(吐血)=쌀 한되를 힘차게 씻어 쌀뜨물을 진하게 해 한사발 마시면 된다. 멎지 않을 때는 3~5그릇씩 멎을 때까지 마신다.
 
코피가 자주 나올 때=첫번 씻은 쌀물은 버리고 두 번째 약간의 물을 부어 씻은 물을 맥주컵 하나에 꿀 한숟가락 또는 무우즙 1~2숟가락을 섞어 마신다. 매일 1~2회씩 오래 복용하면 낫는다.
 
양약(洋藥)이나 한약(漢藥)을 과도하게 먹거나 속에서 받지 않을 때=첫번 쌀뜨물(진한 것이 좋다.)을 자주 마시면 된다. 또 볏짚을 태운 재를 물에 풀어 걸러 마셔도 효과가 있다.
 
인후통, 인후종(咽喉腫)또는 목구멍이 막힌 때=검은 벼 이삭을 약간 태워 술을 약간 푼 온수로 마시거나 온주로 1돈쭝씩 복용하면 된다.
 
유정(遺精)=뜨거운 밥물에 백복령(白茯?)가루 2돈쭝을 풀어 매일 아침 식전에 한차례, 취침전 한차례 복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효력이 있다.


'약선.식이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기능 강화, 비아그라 대신 음식으로   (0) 2007.03.12
끈끈이/율무/감자   (0) 2007.03.12
기침이 날때 완화하는 방법   (0) 2007.03.12
마늘의효능  (0) 2007.03.12
감기 낫게 하는 음식치료   (0) 2007.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