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야할한국사

[역사 잡학대전] 우리 역사관련 링크 사이트

영지니 2007. 12. 31. 22:19

 

'우리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단고기,규원사화, 단재 신채호상고사, 삼일신고 풀이 천부경 풀이, 삼국 사기, 삼국 유사.등등은 보드로 만들었습니다..


☞ 클릭 여기를 클릭하면 들어갑니다...^^

 

 

☞ 클릭 고려사은 여기를 ....(link)

 

 

☞ 클릭 역사의 문제점들은 보드자료에 많이 있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의 불가사의

한국의 불가사의 1. 화순 운주사 千佛天塔 누가 조성했나..

한국의 불가사의 2. 한국 갯벌의 신비를 밝힌다

한국의 불가사의 3. 한반도는 중생대 백악기 공룡의 낙원이었다

한국의 불가사의 4. 인류 최대의 선사시대 거석물 고인돌..

한국의 불가사의 5. 기암괴석에 살아 숨쉬는 신라 천년의 비밀

한국의 불가사의 6. 岩刻畵 선사시대인의 정신세계를 비추는 거울

한국의 불가사의 7. 수십만년이 응축된 살아 숨쉬는 생명체 신비 黃土

한국의 불가사의 8.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救援 마애불

한국의 불가사의 9. 장승 우상숭배인가, 삶의 지혜인가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 1. 중국사의 위탁경영자 진시황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 2. 역사는 궁예를 한쪽 눈으로만 봤다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 3. 한일합방의 주인공 이토 히로부미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 4. 오해와 편견의 역사는 그를 ‘姦雄’으로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 5. 조선조 최고의 외교정책 大家 光海君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 6. 희대의 요부인가 뛰어난 외교전략가인가

 

 

역사 탐방 ...

역사 탐방 1. 紹興에는 여전히 겨울비가 내리고 있을까

역사 탐방 2.‘수양제 이발관’과 ‘수양제 스낵’ - 運河都市

역사 탐방 3. 塞上에 울던 비운의 여인이 민족 우호의 영웅으로

역사 탐방 4. 아! 統萬城이여

역사 탐방 5.三顧草廬의 현장을 찾아서

역사 탐방 6. 文明太后의 치마폭과 孝文帝의 洛陽 遷都

역사 탐방 7. 黃河는 그래도 굽이굽이 동쪽으로 흘러가야 한다

역사 탐방 8. 官渡 戰鬪의 승리자는 曹操가 아니었다

역사 탐방 9. 어느 권력자의 ‘母情의 세월

 

 

 

발해를 찾아서 1. 발해는 대륙에서 숨쉬고 있다

발해를 찾아서 2. 발해의 옛땅엔 아직도한민족의 흔적 뚜렷

발해를 찾아서 3. 발해의 옛땅엔 아직도한민족의 흔적 뚜렷

발해를 찾아서 4. 발해의 옛땅엔 아직도한민족의 흔적 뚜렷

 

 

문명속의 인간 1. 문명 쌓아올린 인류의 지혜 文字

문명속의 인간 2. 영원한 생명력의 상징 황금

문명속의 인간 3. 문명과 함께 태어난 도시

문명속의 인간 4. 모험과 꿈의 상징 배(船)

 

 

  • 일본에 남은 한국 생활문화 일본인은 한국인이었다 1.

    일본에 남은 한국 생활문화 일본인은 한국인이었다 2.

    王道정치·農本主義로 발달 정치적 뒷받침 잃으며 퇴보 1.

  • 王道정치·農本主義로 발달 정치적 뒷받침 잃으며 퇴보 2.

  •  

     

    남명조식

    曺植 - 사후 4백년 재조명

    曺植 -남명 조식의 후손은…

    曺植 -사회·정치 혁신

    曺植-생애와 발자취

     

     

  • 역사인물탐구 / 이지함

    이지함-백성 구제한 자유인의 생애 걸인청 설립, 재활교육 실시

    이지함-실학적 경세사상과 실천 양반 신분에 손수 고기 잡고

    이지함-“土亭秘訣”은 누구 작품인가  “이지함이 저자 아니다”

    역사 속의 名君과 名宰相(上)위기돌파의 제일책은 인재등용

    역사 속의 名君과 名宰相(下)용렬한 군주 아래는 간신이 득세한다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서 1. 나주 반남 고분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서 2.'일본 倭' 아닌 '한국 倭'

      

     

     

     

     

     

     

     아시아 10개국의 장수 비결

     조선조 건물들의 신분

     七政算에 담겨있는 전통문화의 숨결

     

     불상 이름을 붙이는 원리

     일본속에 있는 한국관련 문화재

     고구려 벽화 고분에 대하여

     

     국보와 보물의 차이는 있는가

     

     한국 역사학의 발달 과정

     

     왕실 여인 이름에 관하여

     

      죽은 후에도 신분상 차별이...

     

      무덤 이름 짓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