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대기놀이에 사용되는 기(旗)로, 용대기 놀이는 이 지방의 순수한 농부놀이다.
조선 순조 때 홍석모가 쓴『동국세시기』의 호서속편에 용대기와 농악이야기가 실려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200∼300년 이상 오래된 놀이로 추정된다.
다행히 형산리 마을에서는 순조 24년 (1824) 즈음에 만든 용대기가 보관되어 있고, 그 놀이 역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지금도 이 곳에서는 농사철이 되면 ‘용대기배미 ’라하여 들판 한 가운데에 용대기를 꽂고, 농악장단에 맞춰 흥겹게 일을 하면서 춤과 노래로 피로를 푸는 용대기놀이가 행해지고 있다.
1981년에 개최되었던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민속놀이부문에서 문화공보부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는데, 마을 사람들의 협동 아래 이루어져 지금까지 전수되고 있는 민속놀이로서 그 의미가 있다.
출처 : | 누리의 취재노트 | ||
'문화재.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84호 서산 마애삼존불 (0) | 2007.03.04 |
---|---|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아라리) (0) | 2007.03.03 |
중요민속자료 제9-1호 장군신도(將軍神圖) (0) | 2007.03.03 |
양양 명주사 종각 단청 (0) | 2007.03.03 |
제주 삼성혈 (0) | 2007.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