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그시절

최치원의 四山비명과 석조 문화재 (봉암사)

영지니 2007. 3. 3. 18:26

 

최치원의 四山비명과 석조 문화재 (봉암사)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  보물 제137호     희양t산문  개산조 智詵(824~882)

 

  지증대사적조탑    기단부   (지대석 +  하대석 + 중대석 + 상대석 )

 

  지증대사적조탑 하대석           (하대면석에 사자상을 , 중대받침을 화려한 권운문을 조각)

 

 지증대사적조탑  중대받침면석  구름모양의 기둥을 세운후 가릉빈가는  날개를 활짝편 모습...↕

 양쪽다리와 발가락이 살아 움직이는 듯하여 생동감이....          입으로 악기를 불고....  ↕

 

 

 

  지증대사적조탑  중대석                   (사리함 + 공양천인상 + 주악비천상)

 

  지증대사적조탑 중대석면의 사리함 (연잎위에- 탁상 - 복련과 앙련 - 영락으로 장식한 사리함)

 

 지증대사적조탑  중대면석의 공양천인상  ↕   ( 상다리모양의 기둥사이에 공양,주악비천상을)

 

  지증대사적조탑  중대석의 주악비천상  ↕         무아지경에 빠져... 환희로운 천인상  (공후)

 

  지증대사적조탑   중대석면의 주악천인상            입으로 악기를 불고 있는듯 ? !!!   (생황)

 

  지증대사적조탑의 상대석                                  둥근 기둥을 세우고 난간을  돌렸다

 

  지증대사적조탑의 탑신석            사천왕상과 보살입상을...

 

  지증대사적조탑의 탑신에 표현된 사천왕상

 

  지증대사적조탑의 탑신석                     보살입상과   문비와 문약(자물통), 쌍환(문고리)   ↕

 

  지증대사적조탑 옥개석                     (겹처마로  굵직한 우동에 기왓골은 표현하지 않았다)

 

  지증대사적조탑    상륜부 ? !!!!!!!!!

 

   지증대사적조탑의 옆에서  제자리로  돌아갈 그날을 묵묵히 기다리는  상륜부 석재들 ???

 

 지증대사적조탑비  보물 제 138호     최치원의 四山碑銘 중의 1기

 

  최치원의 四山碑銘    최치원이 찬/撰하고 진성여왕 7년(893)  분황사 승려 혜강이 비문을 書刻

 

    지증대사적조탑비의 귀부  꼬리를  감아 돌린 모습이 ....△                용두화된 머리  ▼

 

 지증대사적조탑비    비좌 측면의  구름을 타고 막 내려온  공양천인상

 

   지증대사적조탑과 비

 

 

  희양산 봉암사 정진대사원오탑  보물 제 171호   ↕

  정진대사원오탑  중대석                                                       안상 안에 탁상의 사리함

 

  정진대사원오탑    중대석받침   운문기둥사이에 화염을 내뿜으면서 여의주를 희롱하는 모습 ↕

 

    정진대사원오탑             하대석과 운룡문,  중대석받침

 

  정진대사원오탑    난간대를 2 단으로 설치.     탑신에 표현한 문비와 문약

 

  정진대사원오탑  상륜부                        ※ 지증대사적조탑의 상륜부와 비교 요망 !!! ???

 

  정진대사원오탑비  보물 제 172호

  정진대사원오탑비 :고려 광종 16년(965)조성.        왕긍양 : 당나라  25년간 유학후 귀국 

  정진대사원오탑비  이수

 

   봉암사 삼층석탑  보물  제 169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조성 당시의 원형을 간직  ↕

 

 희양산문 개산조    지증대사가 조성 하였다고 전하는 삼층석탑

 

  봉암사 삼층석탑의 상륜부   ( 노반 - 복발 - 앙회 - 보륜 - 보개 - 수연 - 찰주 )

  봉암사 대웅전 옆 한켠에 놓여 있는 석재들  ▲         ▼  부도의 상륜부로 ?

 

  봉암사 喜峯堂 豊逸之塔

 

 희양산 봉암사  석종형부도                    구전: 태고보우지탑.    사적기: 목우자 지눌지탑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

 

  백운대 석문/石門 ?

 

   백운대/白雲臺  △ ▼           退隱 .  석원 .  藥南居士. 

 백운대/白雲臺   이 글을 ..... ?????

 

  백운대 계곡      

   

  백운대  불공루/佛供樓           서기 1913년 (大正二年 ) 四.八     化主 李石國   ↕

 

  희양산 봉암사 백운대곡 마애보살상 앞에서 .....  염원을 .. !            

백운대로 오르는 숲길 ▼

 

 경북 문경 희양산 봉암사는 신라 헌강왕 5년(879) 지선/智詵스님이 창건하여 선문구산의 (禪門九山)하나인 희양산파(曦陽山波)를 열었다. 그후 1200 여년을 이어 오면서 오로지 참선으로 이어져온 도량이다.

 

 ◈ 희양산문 개산조 지증대사적조탑비는 최치원의 四山碑銘 의 하나로서 지증대사는 도당학파가 아닌 국내학파로써 선문 개산조가 되었다는 커다란 업적을 남겼다.

지증대사적조탑과 탑비(893년)와 정진대사원오탑과 탑비(965년)는 신라말과  고려초에 세워진 아름답고 중후감이 넘치는 귀중한 석조 조형물의 극치.

    

※ 최치원의 사산비명 ( 쌍계사 진감국사비.성주사지 낭혜화상비.경주 숭복사지비.봉암사 지증대사비 )

 ◈ 희양산 봉암사 삼층석탑의 상륜부는 조성 당시의 원형으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남원 실상사 삼층석탑의 상륜부와 함께 유일하게 존재하는 귀중한 유산이다.

 

 

출처 : 토함산 솔이파리  


'그때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미읍성-2   (0) 2007.03.03
소백산 성혈사의 꽃살문   (0) 2007.03.03
문화재 이야기   (0) 2007.03.03
이숙번 묘, 물왕리풍경   (0) 2007.03.03
평양에서 내려온 `국보`들..고려 태조 왕건 동상   (0) 200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