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들어서야 풍수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중화권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사를 가거나 음식점이나 상가 등의 가게를 알아볼 때 으레 풍수를 먼저 살펴볼 정도로 양택풍수론이 보편화되어 있다.
양택풍수론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집의 세 가지 요소는 대문, 안방, 부엌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그 집이 복을 주는 집인지, 해로운 집인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첫째, 대문의 정의를 확실히 알아야 한다. 양택풍수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는 ‘양택삼요(陽宅三要)’란 책에서는 대문을 정의함에 있어서 “문의 크고 작음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집에서 외부로 나가는 출입구를 말한다”라고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단독 주택에서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이 대문이며, 아파트에서는 자기 집으로 들어오는 현관이 대문이 된다.
대문은 공기와 구별되는 생기(生氣)의 출입구로 금전운, 건강운, 성공운 등 모든 운이 이곳을 통해 들어오므로 대단히 중요하다.
둘째, 안방은 주인이 거처하는 방이다. 양택삼요에서는 안방을 고대방(高大房)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글자 그대로 높고 큰 방을 말한다.
이를 두고 어떤 풍수연구가는 그 집에서 제일 큰 방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가장이 거처하는 사랑방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하지만 이는 무지의 소치라 아니할 수 없다. 고대방은 곧 우리나라의 안방을 말하는 것이다.
셋째, 부엌은 음식을 만드는 공간이다. 양택삼요에서는 부엌을 일컬어 ‘식복(食福)의 공간’이라고 하여 대단히 중요하게 다룬다.
이처럼 부엌을 중시하는 이유는 잘 사는 집이나 못 사는 집이나 그 집에서 건강의 근원을 부엌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부엌에서 좋은 음식,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공급하면 그것을 먹고 사는 사람들이 당연히 건강할 것이며, 또한 그 집에 들어온 생기 중에 좋은 기운이 음식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힘이 넘치고 활력이 넘치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방위를 볼 줄 알아야 길흉화복이 보인다
양택풍수론에서 말하는 방위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두 ‘공간의 중심’에서 본 방위를 말한다. 여기서 공간의 중심은 단독주택일 경우 마당의 정 중앙, 아파트일 경우 전체 공간에서 중심이 되는 곳을 말한다.
방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독 주택일 경우라면 앞마당의 정 중앙에 서서 대문의 방위를 본다. 마찬가지로 그 곳에서 움직이지 말고 안방의 방문이 어느 방위인지를 따져보고 부엌문의 방위가 어느 방위인지를 따져본다.
아파트나 공동 주택의 경우라면 실내의 공간 중심을 먼저 찾아야 한다. 공간에는 거실과 방 앞의 복도, 부엌(부엌이 거실과 연결되어 문을 항상 열어 놓을 경우)을 포함한 전체 공간의 중심을 찾은 뒤, 그 곳에서 움직이지 말고 현관을 바라본 방위, 안방문을 바라본 방위, 부엌문을 바라본 방위를 측정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측정한 방위를 가지고 길흉을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북쪽의 안방’이라고 말하면, 이는 당연히 공간의 중심에서 바라본 방위가 서북쪽이라는 말이며, ‘남서쪽의 부엌’이라고 하면 부엌의 실제 위치는 남쪽에 있더라도 부엌문이 공간 중심에서 봤을 때 남서쪽에 있기 때문에 남서쪽에 위치한 부엌이라고 보는 것이다.
'풍수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위의 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꾸미는 게 포인트! 침실 (0) | 2010.12.10 |
---|---|
잘꾸민 기(氣)인테리어, 성공의 확률을 높인다 (0) | 2010.12.10 |
풍수지리로 본 가구배치 (0) | 2010.12.10 |
부동산과 풍수 장사 잘되는 점포 꾸미기 (0) | 2010.12.10 |
업무공간의 색상은? (0) | 201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