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분홍바늘꽃

영지니 2011. 7. 23. 21:02

  


분홍바늘꽃의 효능


 

 

 

 

 

분홍바늘꽃 Epilobium angustifolium| fireweed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바늘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두메바늘꽃·큰바늘꽃이라고도 한다.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1.5m 내외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때로 모여나고 가지가 그리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로서 버들잎처럼 생겼으며 잔 톱니가 있으나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기 때문에 밋밋한 것같이 보인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서 줄기에 달리며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분홍색이며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줄 모양이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8∼30mm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4개씩이고 수술 8개, 암술 1개이고 수술과 암술은 밑으로 굽는다.

씨방에는 짧고 꼬부라진 털이 빽빽이 난다.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8∼10cm이고 꼬부라진 털이 있으며 종자에 관모가 있다.

풀 전체를 바늘꽃과 같이 약용한다.

한국(강원도 황병산),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에 분포한다.

 

분포

중북부 산악지대, 오대산의 노인봉 및 설악산의 소청봉 등지에 널리 생육하였으나

현재는거의 사라졌다.

유일한 자생지는 함백산에 대군락이 있다.

 

꽃이 관상가치가 뛰어나므로 공원 등지에서 낙엽성 교목의 하부 식재용으로 사용할 만하고 절개 사변지 등에 식재하거나 화단 재식용 소재로 이용하여도 좋다.


전초는 홍쾌자, 

뿌리는 나우,

종자의 관모는 홍쾌자관모라 하며 약용한다


홍쾌자(전초)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을 생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성분 

잎에는 tannin이 약 10% 함유되어 있다. 그 외에 또 ursolic acid, oleanolic acid, maslin산, 2α-수산기 ursolic acid, β-sitosterol, nonacosane, hexacosanol도 함유되었다.

꽃에서는 일종의 수용독성류 집합물인 chanerol이 석출되었다. 분자량은 약 100,000이고 Mouse의 이식종양을 억제할 수 있다.



약효 

하유, 윤장의 효능이 있다.허약성부종, 수양성하리, 소화불량에 의한복부팽만) 및

음낭종대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젖이 나오지 않을 때 홍쾌자와 돼지발굽를 같이 삶아서

먹는다.



나우(뿌리)
가을에 채취하여 씻어서 말리거나 생용한다.

 

약효 

소종, 지통, 접골의 효능이 있다.

 

용법 , 용량 

외용 신선한 것을 짓찧어서 붙인다. 또는 분말을 술로 조합하여 붙인다.


홍쾌자관모 (씨)

도상)에 붙이면 지혈의 효능이 있다

15그램을 물에 달여 하루 3번 에 나누어 먹는다.
육종이 자라지 못하게 억제작용을 하며 특히 신장 방광암에 특효가 있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루쟁이  (0) 2011.07.23
구룡초의 효능(구안와사.류머티스 관절염.궤양,두드러기,매독 .습진)  (0) 2011.07.23
삼칠근(三七根)   (0) 2011.07.23
꼭두서니  (0) 2011.07.23
금모구척(金毛狗脊)  (0) 2011.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