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이 신체를 드러내지 못하는 폐쇄된 생활이 강요되었던 조선 시대에는, 아무리 더운 계절이라도 몸을 함부로 드러내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그러다 보니 겉옷뿐만 아니라 속옷도 여러 벌 껴입어야만 했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속옷 종류가 많은 것은 이러한 사회상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속옷은 겉옷과 함께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달라졌으나, 때로는 유행에 따라 외형상의 옷맵시를 표현하기 위해 변하기도 하였다.
상의는 꼭 끼게, 하의는 풍성하게
신윤복 [미인도]18세기, 수묵채색화, 114.2 x 45.7cm, 간송박물관 소장 작품 보러가기
신윤복, <단오도>18세기, 수묵채색화, 28.3 x 35.2 cm, 간송미술관 소장 <출처: 네이버 미술검색> 작품 보러가기
한복은 상의보다 하의가 풍성한 실루엣을 보여주는 옷이다. 혜원 신윤복의 [
미인도의 여인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미인으로 꼽힌다. 이 여인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보면, 상의는 좁고 꼭 끼며 하의는 엉덩이 부분이 풍성하게 부풀려져 있고 발 쪽으로 내려오면서 다시 좁아지는 하후상박(下厚上薄)의 맵시를 보여준다. 하의를 이만큼 부풀리기 위해서는 치마의 폭도 넓어야 하지만 속옷도 여러 벌 입어야 했을 것이다.한복의 기본 착장법을 살펴보면 먼저 하의부터 착용한다. 가장 속에 입는 내의가 다리속곳이다. 다리속곳은 자주 빨아야 하므로 옷감을 길게 여러 겹으로 접은 후 허리띠에 달아 착용했고 몸에 직접 닿기 때문에 주로 부드러운 무명으로 하였다.
그 다음에 입는 것이 속속곳이다. 단속곳과 생김새가 비슷하나 크기가 작은 옷으로 밑이 막혀있고 바지통이 넓다. 몸에 닿는 부분이 많으므로 역시 부드러운 옷감으로 만들었다.
속속곳 위에는 바지를 입는다. 여자의 바지는 남자 바지와 달리 속에 입는 바지이기 때문에 속바지라고도 하고 고쟁이라고도 하였다. 서민들은 바지 위에 바로 치마를 입었으므로 속곳과 바지가 하의 속옷의 전부였다. 그래서인지 속바지는 다양한 소재와 형태가 남아 있다. 기본 형태는 활동하기 편하도록 통이 넓고 바지 부리는 좁으며 계절에 따라 홑바지, 겹바지, 솜바지, 누비바지 등으로 나뉜다.여성들은 평상시에 활동하기 편하도록 긴 치맛자락을 걷어 올리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때 바지의 아래가 보이게 되므로 바지의 아래만을 좋은 옷감으로 하는 재치를 보이기도 하였다. 바지의 윗부분은 광목이나 무명 등 비교적 싼 옷감으로 하고 아래는 고급직물인 노방이나 견으로 만든 바지가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남성용 사폭바지와 같은 형태로, 밑을 막았지만 대신 마루폭과 큰사폭 연결선에 트임을 주고 매듭단추를 달은 함경도식 바지도 있다. 안동 지방에서는 삼베로 만든 속바지에 구멍을 여러 개를 뚫어 시원하게 통풍이 잘 되도록 만든 속바지를 착용했는데 구멍이 많은 경우에는 10개 이상 되었으며 이러한 형태 때문에 ‘살창고쟁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살창고쟁이는 문어다리처럼 생겼다 하여 ‘문어고장주우’라고 하기도 하고 바지의 윗부분을 가위로 잘라냈기 때문에 ‘가새고장주우’라고도 하였다. (고장주우는 안동 지방에서 사용하는 바지의 방언이다.) 이 살창고쟁이에는 뚫린 구멍으로 신부의 흉이 술술 새어나가 시집살이가 수월하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있기도 하다.
바지 위에는 단속곳을 입는데 대개 속속곳이나 바지보다 좋은 옷감을 사용하였다. 신윤복의 그림 [청루소일靑樓消日]에는 전모를 쓰고 연두색 저고리와 청색 치마를 입은 여성이 등장한다. 여인의 치마는 위로 걷어 올려 끈으로 묶었는데 그 아래로 단속곳의 일부와 속바지가 보인다.
1 다리속곳
2 속속곳 (경운박물관 소장)
3 윗부분은 명주로 하고 아래는 고급 문견으로 지은 바지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살창고쟁이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단속곳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신윤복, <청루소일>간송미술관 소장. 걷어 올린 치마 아래로 단속곳 일부와 속바지가 보인다. 작품 보러가기
양반은 속옷도 다르게
상위계급의 여성들은 단속곳 위에 비단으로 만든 너른바지를 입어 모양을 더 내었다. 너른바지라는 명칭은 바지통이 넓기 때문에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단속곳보다도 더 넓었으며 고급옷감으로 지었다.
예복 차림을 할 때는 겉옷도 복잡해지지만 속옷 역시 몇 가지를 더 갖춰 입는다. 대슘치마는 속치마의 일종으로 겉치마의 아랫부분을 넓게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모시 12폭으로 이어 만들었는데 길이는 겉치마 길이 정도이며, 치맛단에는 너비 4㎝의 창호지를 모시로 싸서 붙여 겉치마의 아래가 더 퍼지도록 만들었다.
이 위에 무지기치마를 입는 경우도 있었다. 서로 길이가 다른 치마를 층지게 달았는데 각 층의 치마색이 다르기 때문에 무지개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무지기치마는 치마 층수에 따라 삼합(三合), 오합(五合), 칠합(七合)이 있으며 현대의 페티코트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 대슘치마와 무지기치마는 상류층에서만 입던 속옷이다.
1 너른바지 (일본 문화학원보복식박물관 소장)
2 무지기치마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 대슘치마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상의의 속옷으로 가장 안에 입는 것은 적삼이다. 적삼은 속적삼이라고도 하는데 겉에 입는 저고리보다 치수를 약간 작게 하였다. 적삼 위에 속저고리를 껴입는데 아주 더운 날에는 적삼과 홑으로 지은 속저고리만을 입기도 했다.
조선시대에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면서 저고리와 치마 사이의 가슴과 겨드랑이 속살이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가슴가리개를 착용하였는데 가슴가리개는 가슴띠라고도 하였다.
속적삼(경운박물관 소장)
가슴가리개(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근대화 바람을 타고 속옷에도 변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