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밤나방은 사탕무우도둑나방이라고도 하며 나비목 밤나방과에 속하는 해충이다. 파밤나방은 1926년 황해도 사리원 지역에서 사탕무우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기록된 후 발생 및 피해에 관한 보고가 거의 없었으나 86년 이후부터 남부지방의 밭작물을 중심으로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고 특히 파 재배지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해충으로서 그 피해가 심각하여 파를 재배할 수 없는 상황도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파밤나방은 파의 최대 해충이지만 파 이외에 기주 범위가 광범위하여 채소, 화훼, 전작물, 특작물, 잡초등 거의 모든 식물을 가해하는 잡식성 해충으로 서 경제적 피해가 심한 농작물 해충 중의 하나이다. 특히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이면서 장거리를 이동하는 해충으로서 최근에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고 대단위 파 재배 단지 부근에서 발생량이 현저히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적당한 방제 수단이 미비한 현시점에서 파밤나방의 발생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 기주 | ||||||
파밤나방의 기주는 51종이 국내에서 보고되어 있고 세계적으로는 40과 200여종의 식물이 기록되어 있다. 국내에서 기록된 파밤나방의 기주는 다음과 같다. ○ 채소 : 파, 양파, 배추, 양배추, 무, 시금치, 고추, 수박, 오이, 쑥갓 등 ○ 식량작물 : 콩, 땅콩, 팥, 녹두, 강남콩, 완두, 동부, 감자, 들깨, 옥수수, 고구마 등 ○ 화훼 : 국화, 안개초, 카네이션, 글라디올러스, 접시꽃, 맨드라미 등 ○ 기타 : 엉겅퀴, 익모초, 자주개자리, 차나무, 쇠비름, 개비름, 명아주 등 |
2. 피해
잎에 구멍을 뚫고 가해하며 발생이 많으면 줄기만 남기고 폭식하기도 한다.
가. 성충
길이가 8~10mm, 날개를 편 길이는 11~12mm이며 앞날개는 회갈색으로 중앙부에 연한 황색 또는 황색의 점이 있고 그 옆에 콩팥 무늬가 있다.
나. 알
0.3mm 내외의 구형이며 담황색으로 잎 표면에 좁고 길게 무더기로 산란한다. 난괴는 인편으로 덮혀 있고 크기는 일정하지 않지만 보통 20-30개의 알로 이루어진다.
다. 애벌레
어린시기에는 황록색이며 중간이후에는 색깔의 변화가 심하며 녹색 또는 갈색이 많다. 유충의 측면에는 뚜렷한 흰선이 있고 기문 주위에는 분홍색의 반달무늬가 있다. 부 화 유충은 1mm내외이고 다자란 애벌레는 35mm정도에 이른다.
4. 생태 | ||||||||||||
○ 생활사 : 알기간(2~5일), 애벌레기간(9~23일), 번데기기간 (5~14일), 성충의 산란기간(5~8일) 산란수(700~1300 개/마리) ○ 발생횟수 : 4~5회/년 ○ 발생 : 남부지방에서는 6월상순 부터 11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발생최성기는 9월 중순경이다. ○ 월동 : 중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지만 시설하우스내에서 재배되는 식물에는 연중발생한다. 봄배추는 주당 2마리, 가을배추는 주당 5~6마리 이상 일때이다. 유아등과 페로몬 트랩을 이용할 수 있으나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는 것이 파밤나방을 분류하는데 간편하다. | ||||||||||||
|
5. 방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