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와효능

더덕

영지니 2008. 1. 14. 22:50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는 더덕

더덕은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는 2미터에 이르고 다른 식물에 감겨 자란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4개가 마주 붙는다.

전국 각지의 깊은 산 건땅에서 자란다.  

뿌리를 사삼이라고도 부르는데,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잔대와 같은 속 식물의 뿌리를 사삼으로 쓰는 나라도 있다.  

뿌리에는 사포닌, 이눌린이 있고, 잎에는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북한의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더덕의 효능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다 하여 열이 있고 입안이 마르는데, 폐에 열이 있고 기침과 가래가 있을 때, 피를 토할 때 쓴다.



민간에서는 만삼보다 작용이 약하지만 강장강정약으로 쓴다.  

말린 뿌리를 5~10그램을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때의 기침가래약으로 쓴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더덕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도라지과에 딸린 다년생 풀인 더덕은 각지 산허리의 기름진 땅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 또는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페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을 보하고 열을 내리며 폐를 눅여주어 기침을 멈춘다.  



또 위를 보하고 진액을 불려주기도 하며 고름을 빼내고 해독한다.  



거담작용, 진해작용, 혈중콜레스테롤감소작용, 강압작용, 호흡흥분작용, 피로회복촉진작용, 혈당증가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폐음부족으로 열이 나면서 기침하는 데,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데, 오랜 기침, 폐옹, 유선염, 연주창, 옹종, 대하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종기나 뱀, 벌레에 물렸을 때 생뿌리를 짓찧어 환처에 붙이거나 달인 물로 닦아낸다.  



식용으로 껍질을 벗긴뒤 두들겨서 납작해진 것을 찬물에 담가서 쓴 맛을 우려낸 다음 고추장을 발라 구워 먹는다.  



또는 생뿌리를 반 정도 말린 뒤 고추장 속에 박아 장아찌로 하기도 한다.  

생약명을 양유, 사삼, 노삼, 통유초, 토당귀 라고도 부른다.  



약효로는 강장, 해열, 거담, 해독, 최유, 배농, 소종 등의 효능이 있으며 기침, 인후염, 폐농양, 임파선염, 유선염, 젖 분비부족, 종기 등에 사용한다.

 

 

 

더덕의 효능

 

더덕은 산삼에 버금가는 뛰어난 약효가 있어 사삼이라고 하며 인삼, 단삼, 현삼, 고삼과 더불어 오삼중의 하나 로 사포닌과 이눌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약제나 사용으로 널리 애용되도 있습니다.


산더덕은 수세미로 더덕 외부를 말끔히 세척한 후 끓는물에 4-5초동안 잠깐 담궜다가 칼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해 껍질을 벗기면 끈적끈적한 사포닌 성분은 더덕내부로 스며들기 때문에 한결 수월히 껍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껍질을 제거한 후에는 절대로 세척을 하지 마시고 칼등이나 기타 방망이로 연하게 두드려서 기호에 맞게 구이나고추장 절임 등 다양하게 조리하여 드시면 됩니다.

 

1) 정장(整腸) 강장작용
더덕은 건위 및 거담 작용이 강할 뿐만 아니라 자양 강장식품으로 유명하며 폐 와 비장, 신장을 튼튼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 는 옛날부터 물을 마시고 체한데는 약이 없다 고 하는데 더덕을 먹으면 매우 효과가 좋다

 

2) 해독작용
종기가 심할 때나 독총에 물렸 을때 더덕가루를 바르면 좋다고 하는데 이것이 현대생약에 서도 증명되었다.

중풍과 음부가 가려운데 또는 독 충에 물렸을 때도 바르면 효과가 있다.

 

3) 기관지염, 편도선염, 후 두염, 페열기침 치료작용

 

4) 거담작용

더덕의 saponin은 가래없애는 작용을 한다.

 

5) 용혈작용

더덕의 우린액(1 : 40)은 용혈현상을 일으키지 않아도 적혈구에 작용하면 그 색을 변하게 하고 앙금을 생기게 한다.

 

6) 항생작용

소아포균, 사람형 및 소형 결핵균에 대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7) 거담제(祛痰劑), 해독제, 건 위 강장작용

 

8) 인후염, 폐농양, 임파선염, 유선염, 젖분비부족, 종기 치료작용

 

9) 혈관확장 작용 및 혈압 강하작용

 

10) 항암작용

폐암과 갑상선암에 효과가 있다.

 

 

 

 

'뿌리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치  (0) 2008.01.14
찔레나무  (0) 2008.01.14
산도라지  (0) 2008.01.14
돼지감자  (0) 2008.01.14
적하수오  (0) 2008.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