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부터 봄철사이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하루 6~9g을 달여서 복용한다.
허약체질. 신경쇠약. 정신및 육체적 피로. 성기능저하 당뇨병 해열. 기침 등에 효험
1. 땃두릅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높이 약 1미터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뿌리 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줄기는 곧고 가시가 많은데, 마디 부분에 특히 가시가 많다. 잎은 둥글고 손바닥 모양이며 5~6개로 얕게 갈라졌다. 기부는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와 가시털이 있고 잎맥에도 가시털이 있다. 6~7월에 풀색을 띤 작은 꽃이 우산처럼 모여 핀다. 꽃자루에는 갈색 털이 촘촘히 덮여 있다. 열매는 8~9월에 둥글고 노란 붉은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와 북부지역 해발 500~2,000미터 되는 깊은 산 나무 밑의 배수가 잘되고 두껍고 비옥한 땅에서 무리를 지어 자란다. 침엽수림 지대의 혼효림 속에서도 자란다. 뿌리 껍질의 알코올 추출액은 중추신경 계통에 대한 흥분 작용이 있으며 메디날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다. 또한 인삼과 같은 성선자극작용과 혈당을 줄이는 작용(물에 풀리는 성분)이 있으며 흰쥐의 헤엄치는 시간을 길게 한다. 호흡 중추를 흥분시키며 심장 수축을 세게한다. 그러나 심장의 수축율동에는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유 성분은 콩팥의 상피를 자극하여 소변의 양을 늘리고 이뇨작용을 한다. 땅두릅나무(인삼나무, 곰두릅나무)는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의 깊은 산에서 무더기로 자란다.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은 다음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기를 보하고 기침을 멈춘다. 약리 실험에서 강장작용, 혈당량감소작용, 중추신경흥분작용, 성선자극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피로회복촉진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약해지면서 기운이 없는 데, 정신적으로 몹시 피로한 데, 당뇨병, 신경쇠약증, 정신분열증, 저혈압, 성기능쇠약, 기침 등에 쓴다. 하루 6~9그램을 탕약으로 먹거나 팅크제를 만들어 먹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