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슬 (牛膝)
월경통, 월경곤란
우슬산(牛膝散)
<용법>
우슬, 계지, 작약, 도인, 당귀, 목단피, 연호색 각3g, 목향 1g을 1일분량으로 하여 400g의 물로 1/2의 분량이 되도록 끓여서 3회로 나누어 매번 공복시에 복용한다.
* 본 처방은 비교적 체력이 있어 비대한 체질인 사람의 월경불순, 월경통 등에 [우슬(牛膝)]
이명
우경, 백배, 산현채, 대절채, 우석, 접골초, 출, 계교골, 고장근
기원
현과(비름과 Amaranthaceae)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쇠무릅(우슬)의 근이다.
산야 또는 노방에 자생하는 식물로 근은 조수상이고 경은 방형이고 직립 하였으며 가지가 많이 분지되었다.
높이는 약 1m이상이며 절은 융 기되었다.
엽은 대생하고 유병으로 타원형이며 설각에 예첨두이고 모용이 산화하였으며 길이는 10~20cm내외이다.
꽃은 수상화서로 정생 또는 측출하고 많은 꽃이 밀착한다.
화색은 녹색이고 8~9월에 개화한다.
학명
Achyranthes japonica(Miquel)Nakai
형태
본품은 원주상의 마편상을 이루고 잔경은 없으며 근두부는 길이가 약10 cm, 직경이 약 2cm인데 미세한 추문이 있으며 목질로서 견경하여 거의 파절하지 않는다.
근부는 직경이 1cm 미만이나 길이는 40cm가 넘어 90 ~100cm에까지 달하는 것도 있다.
외면은 황회색 또는 회갈색을 정하 고 지근을 절제한 근흔과 다수한 종추가 있고 또 폭이 1mm여의 횡문이 산재하였다.
질은 유연한데 파절면은 섬유상으로서 평탄하고 종열할 수 있다.
근의 횡단면은 갈색 내지는 자갈색을 정하고 목부는 연륜적인데 고르지 못한 담갈색의 환문을 볼 수 있다.
피부는 매우 부하고 근두부 는 거의 목질로서 연륜성을 정하고 중심은 흔히 공허한 것도 있다.
우 리나라 산 우슬은 세장한 원주상인데 길이가 6~10cm,직경이 0.3~1cm 이다.
흔히 기부에서 분기하여 마미상을 정하고 근두에는 잔경이 있다
외면은 회갈색 또는 황갈색을 정하고 미세한 종추와 근흔이 있다.
파절 면은 섬유성인데 유백색 또는 갈색을 정하고 입상이며 질은 약간 유연하다.
중국산은 Achyranthes bidentata Blume 를 사천성산 천우슬이라 한다.
산지
전국각지에 분포하며 특히 제주도산이 유명하다.
성분
일종의 Saponin, 칼슘, 점액질 등을 함유하였다.
성미
성은 평무독하고 미는 고산한데 감미를 대하였다.
귀경
입간 신이경(주이능보지품)
주치
임초주증숙칙, 감산이온, 익간신, 강근골, 치요슬골통, 족위근련음위, 구학생용칙, 산악혈, 파징결, 치심복제통, 임통뇨혈, 경폐산난, 후비치 통, 옹종악창, 금창절상.
해설
우슬은 지중의 양기를 품하고 목화의 화를 겸하고 생하였는데 기부미후 하고 음중양에 속한다.
성이 유강무승하여 능히 제약을 인하하고 하행 하여 주혈능보의 양품이 된다.
주로 병이 간신하부에 있을 때에 용하고 상초에 병이 있을 시는 용하지 못한다.
안컨데 본품은 활혈행하의 효가 있어서 월경불조,경폐,소복창통, 대하, 산후복통을 치하고 완화지통의 효가 있어서 각기, 관절염을 치하고 간, 신을 보하는 효가 있어 요척통, 족위근련,음위실익, 구학, 이질을 치하 고 활혈, 산어, 이뇨의 역이 있어서 오임, 경중통, 요혈, 후비구창, 옹 종악창, 금창, 절상좌섬을 치한다.
생용하면 오혈을 거하고 소종지통하 며 특히 하부의 근골동통에 쓴다.
수치
하행하고저 할 때는 생용하고 자보코저 할 때는 배용 혹은 주반증숙용 혹은 염수초용한다.
용량
8~16g
금기
백전을 외하고 형화, 별갑을 악하고 우육을 기한다.
병이 상초에 있는 자와 기허하함, 대편이설, 몽설유정, 임부붕루 및 비 허하함으로 인하여 퇴슬종통자는 균기하고 설사자는 불능용하고 요이상 동통에도 불능용한다.
배합예
1. 우슬에 유향 37.5g과 사향 약간을 배합하여 오림 제증에 견효가 극난한 것을 치하고,
2. 우슬 32 g에 동규자 1합을 배합하여 포의불하를 치하고,
3. 당귀,황금을 배합하여 소변불통,경중통,부녀혈결, 복견통을 치하고,
4. 창출, 선모, 목과, 석곡, 복령, 석남엽, 오가피, 비해,생지황,황기, 작약, 호골, 침향, 계피를 배합하여 제비를 치하고,
5. 계심, 적작약, 도인, 현호색(초), 당귀(주침), 목단피, 목향을 배합 하여 월경불리, 제복통 혹은 소복인요기 공흉격을 치하고,
6. 청고, 생지황, 맥문동, 구기자를 배합하여 오고하여 부인혈허, 발열 내열, 구건설태를 치하고,
7. 천궁, 박초, 포황, 계심, 당귀, 생강, 생지황을 배합하여 임신 5~6 월에 타태포의불하를 치하고,
8. 복령, 택사, 차전자를 배합하여 정수를 치하고,
9. 당귀, 진피를 배합하여 절학하고,
10. 육종용, 당귀, 지각, 욱리인, 승마를 배합하여 노인의 허변비를 치하고,
11. 숙지황, 당귀, 구기자, 두충, 육계, 감초(자)를 배합하여 진음휴손, 부인경지혈소 근골심복통을 치하고,
12. 목과, 석곡, 비해, 생지황, 황백, 오가피, 골쇄보, 속단, 금은화, 백급, 작약, 감초, 감국근, 자완, 지정, 천초, 연교를 배합하여 학슬풍을 치하고,
13. 상기생, 두충을 배합하여 요슬통을 치하고,
14. 감국, 석곡, 목과, 작약, 생지황, 호골, 침향, 인삼, 백출, 황기, 천문동, 맥문동, 두충, 속단, 백작약, 귤피, 황백, 상기생을 배합 하여 일절 위비, 사지구련, 근골동통을 치하고,
15. 도인, 홍화를 배합하여 파혈행체하고, 16. 당귀미, 적작약을 배합하여 경도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異名
牛莖, 百倍, 山絃菜, 對節菜, 牛夕, 接骨草, 黜, 鷄膠骨, 苦杖根
基源
絃科(비름과 Amaranthaceae)에 屬한 多年生草本인 쇠무릅(우슬)의 根이 다.
山野 또는 路傍에 自生하는 植物로 根은 粗鬚狀이고 莖은 方形이 고 直立 하였으며 가지가 많이 分枝되었다.
높이는 約 1m以上이며 節은 隆起되었다.
葉은 對生하고 有柄으로 楕圓形이며 楔脚에 銳尖頭이고 毛茸이 散花하였으며 길이는 10~20cm內外이다.
꽃은 穗狀花序로 頂生 또는 側出하고 많은꽃이 密着한다. 花色은 綠色이고 8~9月에 開花한다
學名
Achyranthes japonica(Miquel)Nakai
形態
本品은 圓柱狀의 馬鞭狀을 이루고 殘莖은 없으며 根頭部는 길이가 約10 cm, 直徑이 約 2cm인데 微細한 皺紋이 있으며 木質로서 堅硬하여 거의 破折하지 않는다.
根部는 直徑이 1cm 未滿이나 길이는 40cm가 넘어 90 ~100cm에까지 達하는 것도 있다.
外面은 黃灰色 또는 灰褐色을 呈하 고 枝根을 切除한 根痕과 多數한 縱皺가 있고 또 幅이 1mm餘의 橫紋이 散在하였다.
質은 柔軟한데 破折面은 纖維狀으로서 平坦하고 縱裂할 수 있다.
根의 橫斷面은 褐色 내지는 紫褐色을 呈하고 木部는 年輪的 인데 고르지 못한 淡褐色의 環紋을 볼 수 있다.
皮部는 매우 簿하고 根 頭部는 거의 木質로서 年輪性을 呈하고 中心은 흔히 空噓한 것도 있다.
우리나라 産 牛膝은 細長한 圓柱狀인데 길이가 6~10cm, 直徑이 0.3~1 cm이다.
흔히 基部에서 分岐하여 馬尾狀을 呈하고 根頭에는 殘莖이 있다.
外面은 灰褐色 또는 黃褐色을 呈하고 微細한 縱皺와 根痕이 있다.
破折面은 纖維性인데 類白色 또는 褐色을 呈하고 粒狀이며 質은 약간 柔軟하다.
中國産은 Achyranthes bidentata Blume를 四川省産 川牛膝 이라 한다.
産地
全國各地에 分布하며 特히 濟州道産이 有名하다.
成分
一種의 Saponin, 칼슘, 粘液質 등을 含有하였다.
性味
性은 平無毒하고 味는 苦酸한데 甘味를 帶하였다.
歸經
入肝 腎二經(走而能補之品)
主治
鹽炒酒蒸熟則, 甘酸而溫, 益肝腎, 强筋骨, 治腰膝骨痛, 足蔿筋攣陰蔿, 久虐生用則, 散惡血,
破懲結, 治心腹諸痛, 淋痛尿血, 經閉産難, 喉痺 齒痛, 癰腫惡瘡, 金瘡折傷.
解說
牛膝은 地中의 陽氣를 稟하고 木火의 化를 兼하고 生하였는데 氣簿味 厚하고 陰中陽에 屬한다.
性이 有降無升하여 能히 諸藥을 引下하고 下 行하여 走血能補의 良品이 된다.
主로 病이 肝腎下部에 있을 때에 用 하고 上焦에 病이 있을 時는 用하지 못한다.
按컨데 本品은 活血行下의 效가 있어서 月經不調, 經閉, 小腹脹痛, 帶 下, 産後腹痛을 治하고 緩和止痛의 效가 있어서 脚氣,關節炎을 治하고 肝,腎을 補하는 效가 있어 腰脊痛, 足蔿筋攣, 陰蔿失溺, 久虐, 痢疾을 治하고 活血, 散瘀, 利尿의 力이 있어서 五淋, 莖中痛,尿血,喉痺口瘡, 癰腫惡瘡,金瘡, 折傷挫閃을 治한다.
生用하면 惡血을 去하고 消腫止痛 하며 特히 下部의 筋骨疼痛에 쓴다.
修治
下行하고저 할 때는 生用하고 滋補코저 할 때는 焙用 或은 酒拌蒸熟用 或은 鹽水炒用한다.
用量
8~16g
禁忌
白前을 畏하고 螢火, 鼈甲을 惡하고 牛肉을 忌한다.
病이 上焦에 있는 者와 氣虛下陷, 大便易泄, 夢泄遺精, 姙婦崩漏 및 脾 虛下陷으로 因하여 腿膝腫痛者는 均忌하고 泄瀉者는 不能用하고 腰以上 疼痛에도 不能用한다.
配合例
1. 牛膝에 乳香 37.5g과 麝香 약간을 配合하여 五淋 諸症에 見效가 極難한 것을 治하고,
2. 牛膝 32g에 冬葵子 1合을 配合하여 胞衣不下를 治하고,
3. 當歸,黃芩을 配合하여 小便不通,莖中痛,婦女血結, 腹堅痛을 治하고,
4. 蒼朮, 仙茅, 木瓜, 石斛, 茯逞, 石楠葉, 五加皮, 鄙骸,生地黃,黃朞, 芍藥, 虎骨, 沈香, 桂皮를 配合하여 諸痺를 治하고,
5. 桂心, 赤芍藥, 桃仁, 玄胡索(炒), 當歸(酒浸), 牧丹皮, 木香을 配合 하여 月經不利, 臍腹痛 或은 小腹引腰氣 攻胸膈을 治하고,
6. 靑藁, 生地黃, 麥門冬, 枸杞子를 配合하여 熬膏하여 婦人血虛, 發熱 內熱, 口乾舌苔를 治하고,
7. 川芎, 朴硝, 蒲黃, 桂心, 當歸, 生薑, 生地黃을 配合하여 姙娠 5~6 月에 墮胎胞衣不下를 治하고,
8. 茯逞, 澤瀉, 車前子를 配合하여 停水를 治하고,
9. 當歸, 陳皮를 配合하여 截虐하고,
10. 肉琮蓉, 當歸, 枳殼, 郁李仁, 升麻를 配合하여 老人의 虛便秘를 治하고,
11. 熟地黃, 當歸, 枸杞子, 杜衷, 肉桂, 甘草(炙)를 配合하여 眞陰虧損, 婦人經遲血少 筋骨心腹痛을 治하고,
12. 木瓜, 石斛, 鄙骸, 生地黃, 黃柏, 五加皮, 骨碎補, 續斷, 金銀花, 白汲, 芍藥, 甘草, 甘菊根, 紫翫, 地丁, 玔草, 連翹를 配合하여 鶴膝風을 治하고,
13. 桑奇生, 杜衷을 配合하여 腰膝痛을 治하고,
14. 甘菊, 石斛, 木瓜, 芍藥, 生地黃, 虎骨, 沈香, 人蔘, 白朮, 黃朞, 天文冬, 麥門冬, 杜衷, 續斷, 白芍藥, 橘皮, 黃柏, 桑奇生을 配合 하여 一切 蔿痺, 四肢拘攣, 筋骨疼痛을 治하고,
15. 桃仁, 紅花를 配合하여 破血行滯하고,
16. 當歸尾, 赤芍藥을 配合하여 經道가 막힌 것을 通하게 한다.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