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질경이효능

영지니 2008. 1. 25. 22:21

 

 

밭이나 길가, 또는 빈터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고, 잎은 뿌리에서 뭉쳐 나오며 타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4∼15cm, 폭이 3∼8cm이며 5개의 나란히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 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는다.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나온 길이 10∼50cm의 꽃줄기 윗부분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린다. 포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대가 없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흰색의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

이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고 화관 밖으로 길게 나오며, 암술은 1개이고, 씨방은 상위(上位)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꽃받침 길이의 2배이며 익으면 가운데 부분이 옆으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리고 6∼8개의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길이가 2mm이고 검은 색이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잎을 차전(車前),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는 약재로 쓰는데, 차전자는 이뇨 작용이 있고, 설사를 멈추게 하며, 간 기능을 성화하여 어지럼증·두통에 효과가 있고, 폐열로 인한 해수에도 효과가 있다.

차전초는 이뇨 작용이 있어 신우신염·방광염·요로염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사할린·타이완·중국·시베리아 동부·히말라야· 자바·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방 민간요법 


몸이 냉한 것이 원인인 두통

생강 20gm, 둥근파 1통, 자소옆 (紫蘇葉: 차조기) 7매, 다시마 10gm를 600ml의 물에 넣고 반이 되도록 끓여서 적당량의 꿀을 섞어서 1일 3회 나누어 마신다.


 

급, 만성 세균성 이질

질경이를 달여 한번에 60~200그램씩 하루 3~4번 일 주일쯤 먹으면 대개 치유됨 

 

피부궤양이나 상처

찧어 붙이면 고름이 멎고 새살이 빨리 돋아난다,

 

만성간염

질경이 씨 한 숟가락에 물 200㎖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고혈압

그늘에서 말린 질경이 10~20그램에 물 반 되를 붓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기침, 가래

질경이 씨 10~20그램이나 말린 질경이 10~20그램에 물 반 되를 붓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차 대신 마신다.

어린이의 기침에 잘 듣는다.

 

설사, 변비, 구토

질경이를 날 것으로 생즙을 내어 마신다. 미나리를 같이 넣어도 좋다.

 

늑막염

말린 질경이와 창포 각 10~15그램에 물 반 되를 넣고 달여서 마신다.

질경이 생 잎에 소금을 약간 넣고 짓찧어 즙을 내어 밥먹기 전에 먹어도 좋다.

 

급, 만성 신장염

질경이 뿌리와 오이 뿌리를 3:1의 비율로 섞은 다음 물을 반 되쯤 붓고 물이 반쯤 줄 때까지 달여서 체로 걸러 찌꺼기는 버리고 번에 한 잔씩 하루 세 번 빈 속에 먹는다.

 

부종

질경이 씨와 삽주 뿌리 각각 50그램에 물 한 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 밥먹고 나서 30분 뒤에 마신다.

 

두통, 감기

질경이를 진하달여서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신다.

하루 20~30그램을 쓴다.

2~3일 마시면 대개 낫는다.

 

관절염

무릎관절에 물이 고이고 퉁퉁 부어 오르며 아플 때 질경이 20~30램에 물 1되를 붓고 달여서 차 대신 수시로 마시면 좋은 효험이 있다.

 

숙취나 알코올 중독

질경이 뿌리와 이질풀 각 10그램에 물 반 되를 붓고 달여서 마신다.


 땀이 많은 병, 고기먹은 독, 누에독, 오한, 발열, 구토, 땀이 나지 않는데

여름에 씨앗이 여물기 전에 지상부 전체를 응달에 말려 쓴다.


백일해

질경이 풀씨, 씨가 없으면 말린 질경이 12g과 앵속 껍질 12g, 까치콩 10개, 감초나 설탕 2g을 물 3홉(540cc)으로 달여, 이것을 1일분으로 수회에 나누어 복용하면 대개는 완고한 기침이라도 점차 치유된다.


 

더위를 먹었을 때

신선한 차전초의 잎과 줄기를 찧어낸 즙에 꿀을 적당히 넣고 1컵씩 하루에 3번 빈속에 먹는다.


 

통풍

말린 질경이의 잎과 줄기 15g을 진하게 달여먹는다.

질경이씨를 가루 내어 한 번에 1숟가락씩(찻숟가락) 하루 3번 밥 먹기 30분 전에 먹는다.

 

비염

차전자(질경이) 50g에 물 4홉을 넣고 달여서 차 대신 마시면 효과가 좋다.


 

 

노인성 배뇨곤란이나 음경동통, 대변이 묽거나 설사하는 데, 눈이 충혈되고 눈앞에서 꽃무늬 같은 것이 어른거리는 데, 고혈압ㆍ노인성 부종ㆍ요도염ㆍ방광염

전자 15 ∼30g을 달인 물에 멥쌀 80g을 넣고 죽을 쑤어 오전ㆍ오후 식기 전에 먹으면 좋다.


 

신장염, 오줌누기장애 등으로 붓는 데

옥수수수염 50g, 차전자(질경이 씨) 15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배에 물이 차는 복수증상(간경복수증)

옥수수 수염 50g, 질경이(차전자) 10g을 끓여 하루 3번 먹는다.

옥수수 수염과 질경이 삶은 물은 오랜기간 써도 부작용이 없어 마음 놓고 먹을 수 있다.


 

백일해

질경이풀 씨, 씨가 없으면 말린 질경이 12g과 앵속 껍질 12g, 까치콩 10개, 감초나 설탕 2g을 물 3홉(540cc)으로 달여, 이것을 1일분으로 수회에 나누어 복용하면 대개는 완고한 기침이라도 점차 치유된다. 

 

 

통풍

말린 질경이의 잎과 줄기 15g을 진하게 달여먹는다.

또 질경이씨를 가루 내어 한번에 1숟가락씩(찻숟가락) 하루 3번 밥 먹기 30분 전에 먹는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경이  (0) 2008.01.25
질경이효과  (0) 2008.01.25
질경이  (0) 2008.01.25
질경이  (0) 2008.01.25
질경이  (0) 2008.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