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질경이

영지니 2008. 1. 25. 22:25



목 명

질경이목 


한 글

질경이

질경이과 


한 자

車前草 


속 명 

베차기·베체기(제주),

빠쁘재미,배뿌쟁이,질갱이(영남),

삐뿌쟁이(전남화순),

빠꾸제미(전남구례) 


구 분 

학 명Plantago asiatica L. 


일 어 영 문Asian plantain 

일반정보


원산지

한국 


분 포

일본, 사할린, 중국, 동시베리아, 말레이지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야생한다. 

형 태

다년생 초본 


크 기

화경(花梗)이 높이 10-50cm 정도 자란다. 


많은 잎이 뿌리에서 퍼지며 엽병은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나 대개 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는다.


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4-15cm, 폭 3-8cm로서 끝이 날카롭거나 뭉뚝하고 밑이 둥글며 평행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 사이에서 길이 10-50cm의 화경(花梗)이 나와서 잔꽃이 수상화서로 밀착하며 화수(花穗)는 전길이의 1/3-1/2이고 털이 없으며 포는 좁은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대가 거의 없다.


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백색 막질이지만 뒷면은 녹색이며 중앙부에 굵은 맥이 있다.


화관은 깔때기모양으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길게 밖으로 나오며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은 한 개가 있다. 


열 매삭과는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방추형이고 익으면 옆으로 갈라지면서 뚜껑이 열리고 6-8개의 흑색 종자가 나온다.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 한다. 


줄 기원줄기는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옆으로 비스듬히 퍼진다. 


뿌 리근경은 짧고 수염뿌리와 근출엽이 뭉쳐난다. 

육환경 길가 또는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광선양생 내한성 토양 수분습윤 

꽃/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개화기6월,7월,8월 꽃의 색흰색 

재배특성 나물로 재배할 때는 4-5월경 베어내면 다시 싹이 나오므로 1년에 3회 정도 수확할 수 있다.
씨를 수확하고자 할 때는 가을에 완전히 익은 뒤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재배작형파종기 이식기 결실기4월,5월,10월 삽목기 

이용방안 연한 잎을 나물로 한다.


질경이/개질경이/털질경이/왕질경이의 全草(전초)는 車前(차전), 종자는 車前子(차전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車前(차전)

①여름에 채취하여 진흙을 털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질경이의 전초는 aucubin, plantaginin, ursolic acid, hentriacontane, β-sitosterol, β-stosteryl palmitate, stigmasteryl palmitate, 비타민B1, 비타민C 등을 함유한다.


③약효

利水(이수), 淸熱(청열), 明目(명목), 祛痰(거담)의 효능이 있다.

小便不通(소변불통), 淋濁(임탁), 帶下(대하), 血尿(혈뇨), 황달, 水腫(수종), 熱痢(열리), 水樣性下痢(수양성하리), 鼻出血(비출혈), 目赤(목적-급성 결막염)의 腫痛(종통), 喉痺(후비)를 수반하는 급성 편도선염, 咳嗽(해수), 피부궤양을 치료한다.

또 金瘡(금창-刀槍傷(도창상))을 치료하며 지혈하고 어혈혈하에 의한 下血(하혈)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는 짓찣어 낸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⑵車前子(차전자)

①가을에 果穗(과수)를 거둬들여 햇볕에 말린 후 종자를 비벼서 果殼(과각)을 제거한다.


②성분

종자에는 다량의 粘液(점액), 琥珀酸(호박산), adenine, cholice 등을 함유한다.

油脂(유지)의 脂肪酸(지방산)에는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이 있고 점액에는 酸性(산성) muco 多糖(다당)으로서 plantasan이 있다.


③약효

利水(이수), 淸熱(청열), 明目(명목), 祛痰(거담)의 효능이 있다.

小便不通(소변불통-尿閉(요폐)), 淋濁(임탁), 帶下(대하), 血尿(혈뇨), 暑濕瀉痢(서습사리), 咳嗽多痰(해수다담), 濕痺(습비), 목적장예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도 사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던가 粉末(분말)로 만들어 살포한다. 

보호방안 질경이의 재배여부는 확실하지 않으나 도로가 포장되어 가고 질경이가 자랄 곳이 점점 좁아져가고 있기 때문에 연하고 큰 것을 수확하려면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종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L.)

잎은 긴 칼날처럼 생겼고, 가느다란 꽃자루 끝에 꽃이 핀다.


가지질경이(Plantogo asatica for. polystchya nakai)

꽃줄기 중간이 2-3개로 나누어진다.


갯질경이
털질경이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경이  (0) 2008.01.25
질경이풀씨  (0) 2008.01.25
질경이효과  (0) 2008.01.25
질경이효능  (0) 2008.01.25
질경이  (0) 2008.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