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요법

옴이란

영지니 2008. 2. 13. 22:45

 

 옴이란 무엇인가요? 옴은 기생충에 의한 피부질환입니다. 암컷 기생충이 감염되면 피부 아래 들어가서 감염된 지 2-3시간 내에 알을 낳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2-3개의 알을 낳습니다. 알이 부화되면 10일 내에 성충으로 자라게 됩니다. 어떻게 전염되나요? 성 관계 : 피부 접촉을 통하여 전염됩니다. 성 관계를 하고 같이 잠을 자게되면 단순히 성 관계만 한 것보다 전염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다른 전염경로 : 옴은 침구, 의복을 통하여 전염될 뿐 아니라 심지어 악수를 통해서도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매우 드물지만 화장실 변기를 통해서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옴의 잠복기는 얼마인가요? 감염되면 수 시간 내에 암컷 기생충이 피부 아래서 평균 하루에 2-3개씩 알을 낳기 시작합니다. 알은 10일 내에 성충으로 자랍니다. 기생충에 대한 감작(sensitization; 알레르기 반응)의 결과로 감염된 지 4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생깁니다. 옴의 증상은 가려움증입니다. 전염의 위험은 얼마나 지속되나요? 옴에 전염된 사람은 치료를 받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을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감염된 의복이나 침구도 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감염시킵니다. 치료를 받은 후에도 감염원(사람, 옷, 침구)를 다시 접촉하면 다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옴의 증상은? 기생충이 살을 뚫고 들어간 자리는 붉은 돌기를 만들고 매우 가렵습니다. 가려움증은 특히 밤에 더욱 심합니다. 주로 손가락이나 발가락 사이, 하복부와 사타구니, 팔꿈치나 무릅에 접히는 부분, 손목, 엉덩이 아래에 주로 생깁니다. 가끔 음경, 음낭, 허리와 배에 생기는 수도 있습니다. 손바닥이나 발바닥, 그리고 목에도 아주 드물게 생길 수 있습니다. 어떻게 진단하나요? 의심되는 부위를 긁어서 조직을 얻은 뒤 현미경을 기생충을 확인하여 진단합니다. 굴잉크검사(Burrow Ink Test)도 이용됩니다. 의심되는 부위를 잉크를 발라 문지른 다음 알코올 솜으로 닦아냅니다. 옴에 감염된 경우는 특징적인 피부에 '지그재그' 모양의 선이 나타납니다. 바로 기생충이 지나간 굴에 잉크가 스며들어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면도조직검사: 아주 얇은 피부를 면도기로 떼어낸 다음 현미경으로 기생충을 확인합니다. 국소적으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을 바른 다음 특수한 불빛을 비추어서 기생충의 굴을 확인합니다. 어떻게 치료하나요? 퍼메트린연고(Permethrin)를 목 아래 전신에 바릅니다. 린단로션(Lindane)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주의사항) 린단로션은 목욕 후에 바르면 안됩니다. 피부병 질환자, 임산부나 수유부(젖먹이는 여성), 2살 이하의 어린이는 린단로션을 바르면 안됩니다. 치료 후에는 삶아서 세탁한 옷과 침구로 바꾸어야 합니다. 가족과 접촉이 있었던 사람은 모두 의사의 지시대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집을 소독할 필요는 없습니다. 치료된 후에도 증상이 남는 수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 일년까지 증상이 남아있을 수 있지만 전염이 되지는 않습니다. 옴 치료 후에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의사의 지시대로 연고를 바릅니다. 파트너 모두 치료합니다. 완치되기 전에는 성 관계뿐만 아니라 모든 신체접촉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치료 후에는 검사를 하여 기생충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감염자가 2일 이내 사용한 침구는 삶아서 소독해야 합니다. 옴의 예방법은? 콘돔은 옴의 전염을 막지 못합니다. 성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일대일 관계를 유지합니다. 성 파트너의 수를 가능한 줄입니다. 옴의 합병증은? Kwell용액은 태아에 해롭습니다. 신생아와 2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신경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심하게 긁게 되면 이차적인 세균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옴은 불편감 이외 다른 심한 질환을 유발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한적십자사 성교육, 에이즈강사

 

개선충(疥癬蟲)의 기생으로 일어나는 전염성 피부병. 옴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좁쌀 크기의 구진(丘疹)이 생기고, 회백색 또는 황백색의 가는 선이 보인다. 이것은 개선충의 침입로인데 그 가운데 작고 하얀 점으로 충체가 보인다. 구진이 진행하면 습진이나 농가진(膿痂疹)이 생기기 쉽다. 긁으면 악화된다. 치료는 황제(黃劑)의 연고나 약욕(藥浴)이 효과적이다.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08.02.13
옴이란  (0) 2008.02.13
헬리코박터균 감염  (0) 2008.02.13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0) 2008.02.13
탈모예방에 좋은음식  (0) 2008.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