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개미취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국화과] 속 명 ; 조선자원, 별개미취 분포지 ; 제주도, 남부, 중부지방의 산야지 습기있는 곳 개화기 ; 6~10월 결실기 ; 10월 용 도 ; 관상용 ; 식용(어린순-나물) 약용(전초) 특 징 ;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 50~60㎝ 내외 꽃 색 ; 연한 자주색. 기 타 ; 한방과 민간에서 보.. 약초와효능 2008.01.15
뚜깔 대장 질환의 명약.... 뿌리를 약용으로 쓴다. 장염으로 뱃속에 적취가 있고 대변에 고름이나 피가 섞여 나올때 효험이 있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고름을 내 보내고 오래된 어혈을 삭이며 소변을 잘 나오게하는 작용도 한다. 치질이나 치루로 항문에서 피나 고름이 날때도 효력을 본다. .. 약초와효능 2008.01.15
석잠풀 초석잠(草石蠶), 토충초라고도 하며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석잠풀은 전세계 약 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4개의 변종이 자라고 있다. 평안남도와 황해도에서 자라는 우단석잠풀이 있고 석잠풀, 개석잠풀, 털석잠풀이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거나 식용한다. 석잠풀은... 감로자(.. 약초와효능 2008.01.15
방울 비비추 <자줏빛 꽃색으로 여름을 유혹하는 비녀를 닮은꽃> 방울비비추·비녀비비추라고도 한다. 석회암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35∼65cm이다.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10∼16cm, 나비 5∼7.7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거나 일(一)자 .. 약초와효능 2008.01.15
놋동이풀 <초여름의 늪지를 지키는 유독성 식물이나 결핵의 특효제> 놋동이풀· 늪바구지라고도 한다. 낮은 지대의 논과 개울 등지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다.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1.2∼4cm, 나비 1.5∼5cm로 모여나고 잎자루가 길며 3갈래로 깊게 .. 약초와효능 2008.01.15
나리 <신록이 짙어가는 초여름을 화사하게 장식하는 심신안정제>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며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난다. 비늘줄기는 길이 2∼4cm, 지름 15∼25mm로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길.. 약초와효능 2008.01.15
바위채송화 <척박한 돌틈에서도 앙증맞은 꽃을 피워내는 야생화> 장미목 돌나물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산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면서 가지가 갈라져서 높이 10cm 내외의 포기로 된다. 줄기의 밑부분은 갈색이 돌며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잎이 빽빽이 난다. .. 약초와효능 2008.01.15
방가지풀 <독사의 교상을 해독하는 해독제이자 황달 치료제> 방가지풀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들에서 자라는 잡초이다.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속이 비어 있으며 자르면 하얀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작으며 긴 타원 모양의 넓은 바소꼴로서 일찍 시든다. 줄기에 달린 잎은 .. 약초와효능 2008.01.15
광대수염 산비탈, 산지의 그늘에서 피어나는 월경불순 치료제 수모야지마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네모지고 털이 약간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이며, 길이 5∼10cm.. 약초와효능 2008.01.15
당귀 약재에 대하여 약 효 : 피를 생성하거나 보하는 역할을 하는 주요 약재. 당귀는 혈에 관련된 질환에 두루 쓰이며, 부인과 질환인 월경불순이나 폐경 등 각종 한약재로 사용된다. 당귀는 인체 내에서 기와 혈이 혼란하여 병이 생길 때는 혈이 제자리로 다시 돌아간다는 뜻이다. 당귀의 맛은.. 약초와효능 2008.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