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이야기

조심해야할 약재

영지니 2008. 2. 8. 17:01

 

 

 

 

감수(甘遂)


유독(有毒)

감수에 들어있는 Kansuinine A, Kansuinine B 은 매우 유독한 성분이다.

신체허약자 및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고. 감초(甘草)와 같이 쓰지 않는다.

 




건칠(乾漆)


소독(小毒)

독성이 있으므로 임산부 및 어체(於滯)가 없는 사람이나 피부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환자는 복용을 금해야 한다.

 




견우자(牽牛子)


유독(有毒) 

민간에서는 하약으로 쓰이며 독성이 강하니 응급시 소량 사용한다.

임산부, 비위허약한 자, 몸이 허한 자는 삼가 하여 사용하고, 자주 먹지 말아야 하며, 과량을 복용하면 혈뇨증, 복통, 설사를 일으킨다.

또한 견우자는 파두유와 함께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고련피(苦楝皮)


대독(大毒)

열매에 주로 독성 성분이 많이 있다.

중독증상은 장내 영향을 주어 구토, 설사, 어지럼증, 혀의 마비, 혈압강하, 안면창백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는 우울증이나 흥분을 줄 수 있으며 심하면 급성순환부전으로 사망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절대 과용해서는 안된다

 




대극(大戟)


대독(大毒)

중독증상으로 간기능 상실, 황달, 설사, 복부창만, 신장 이상등을 일으킬 수 있다.

독성이 강한 약재이므로 허약자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반하(半夏)


유독(有毒)

생반하를 맛보면 혀가 마비될 정도의 독성이 있다.

여러가지 수치법을 통해 약효는 높이되 독성을 줄인다.

임신중이나 진액의 손상으로 인한 구갈에는 복용을 금한다.

 




백과(白果)


소독(少毒)

미숙한 은행 종자에는 청산배당체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많이 먹으면 두통, 구토, 설사, 복통, 호흡곤란, 전신의 긴장성경련을 일으키며, 날로 먹거나 과량을 복용해도 중독 증상이 나타난다.

 



백두옹(白頭翁)


소독(少毒)

민간에서는 하약으로 쓰이며 독성이 강하니 응급시 소량 사용해야 하며만성 위염이 있는 사람은 신중하게 사용한다

 




백부자(白附子)


유독(有毒)

과용시 사지 또는 전신마비, 두통, 어지럼증, 호흡곤란, 혈압강하, 사지궐냉, 부정맥, 빈맥 등의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임산부는 유산의 위험이 있다.

가공과정을 거쳐서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부자(附子)


유독(有毒)

부자는 뜨거운 성질과 독성이 강한 약재로 함부로 써서는 안된다.

적절한 수치과정을 통해서 사용하며 임산부나 진액이 부족하여 허화가 뜨는 경우는 금한다.

 



사간(射干)


소독(少毒)

비위가 약하거나 임산부는 피해야 하며 매우 높은 독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응급상황에서만 적은 양을 주의깊게 사용해야 한다.

쌀뜨물에 담궜다가 사용해야 한다.

 




산자고(山慈姑)

소독(少毒)

산자고의 유독성분은 colchicine으로 알려져 있다.

중독되면 복용 후 2∼3시간 후에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혈변 증상이 나타나며, 중추신경 계통이 마비되어 기절한다. 심하면 골수의 조혈 기능이 장애를 받아 사망한다

 




산초(山椒)


소독(少毒) 

열매에 경련독인 Xanthoxin, 마비성 물질인 Xanthoxinic acid이 들어 있다.

출혈 환자는 금지해야 하고 임산부는 신중히 사용한다

 




상륙(商陸)


유독(有毒) 

민간에서는 하약으로 쓰이며 독성이 강하니 응급시 소량 사용한다.

중독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체허약자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선모(仙茅)


소독(少毒) 

독성이 있으므로 장복하지 않게 하고 선모를 쌀뜨물에 담가 물이 우러나면 볶아서 사용한다.

 





소백부(小百部)


유독(有毒) 

어린 순과 열매에 독성 성분이 들어 있다.

중독 증상으로 어린 순 생것과 열매에 독성이 있다

 





속수자(續隨子)


유독(有毒)

약재의 성질이 강렬하고 독이 있으므로 임산부나 소화기가 약한자, 설사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아담자(鴉膽子)


소독(小毒)

소량의 독성이 포함된 약재이므로 증상이 호전되면 곧바로 복용을 중지하며 정상적인 피부에 닿으면 피부 가려움증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하여 취급한다

 





애엽(艾葉)


소독(小毒)

소량의 독성을 가지고 있는 약재이므로 과량을 복용하거나 오랫동안 복용하게 되면 열증이나 음기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복용하여야 한다.

 






오수유(吳茱萸)


유독(有毒)

오수유인 경우 독성이 있으므로 과량을 복용하거나 오랫동안 복용하면 부작용이 있으므로 가공되어진 것을 복용하거나 복용량, 복용기간등을 고려하여 사용해야 한다.

 






원화(芫花)


유독(有毒) 

원화는 한약재중 독성이 강한 약재이다.

원화를 복용시 가공을 제대로 하지 않았거나 과량을 투여했을 경우 극심한 설사와 복통이 수반한다.

신체에 원기가 왕성하지 않은 사람이 복용하게 되면 그 부작용이 배가 되므로 주의하여 복용하며 원화는 감초와 같이 사용하면 안된다

 

조휴(蚤休)
소독(小毒): 많은 양을 복용하거나 증세가 낳은 이후로 계속 복용하게 되면 두통이나 구토등의 부작용이 생길수도 있기 때문에 증세가 완화되면 복용을 중지하며 너무 많은 양을 복용하여서도 안 된다.

 

창이자(蒼耳子)
유독(有毒): 어린 싹이나 창이자를 과량 복용하면 허약감, 두통, 어지럼증, 식욕부진, 구토, 복통, 설사, 결막충혈, 두드러기, 번조불안, 혼수, 경련, 부정맥, 황달, 간종대, 출혈, 요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창이자를 과량 복용하면 구토, 복통, 설사등의 부작용이 있다.

 





천남성(天南星)


유독(有毒)

독성이 강한 약재중 하나인 남성은 복용시 조심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수도 있으므로 환자나 일반인들의 병증에 알맞은 가공방법을 거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량을 복용하거나 전문가와 상의없이 임의로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천련자(川練子)


소독(小毒) 

련피는 곤련피라고도 하는데 고련은 모든 식물부위에 독이 있으나 과실은 그 독성이 더 강하다.

러므로 줄기 껍질이나 뿌리 껍질은 모두 구충에 효과가 있는데 만약 과실을 과량으로 복용하게 되면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증상으로는 두통과 현기증이 날수있다

 






천오두(川烏頭)


유독(有毒) 

천오두와 부자는 그 기원이 동일한 식물에서 나오기 때문에 중독증과 그 해독법에 유사한 점이 많다.

천오같은 경우는 열증에는 절대 사용을 금하며 복용을 잘못 했을 경우에는 코피와 각혈등의 출혈이 일어나며 경련 증상도 있다.

 




초오(草烏)


유독(有毒)

초오의 중독증이나 증상은 부자와 거의 같다.

초오같은 경우는 열증에는 사용을 절대 금하며 복용을 잘못 했을경우에는 코피난 각혈등의 출혈이 일어나며 경련 증상도 있다.

중독증-초오에 중독 되었을 때 증상은 마비, 현기증, 땀이 나고 몸을 떤다,

혈압강하도 나타날수 있다







파두(巴豆)


대독(大毒)

파두는 대독(大毒)한 약재이다.

잘못 복용하면 목숨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조심히 사용하여야 하는데, 외용으로 피부에 바르면 염증이 발생하며 눈에 넣었을 때는 각막에 심한 손상을 주기도 한다.

내복한 경우에는 구완와사나 구토 두통,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수 있다

 






피마자(피麻子)


소독(少纛) 

피마자유에는 독성이 강하나 열에 약한 ricinin, 일부 사람에게 심한 allergy성 증세를 일으키는 allergen이 함유되어 있다.

중독되면 인후 및 식도의 작열감, 설사, 복통, 구토, 경련, 간장 및 신장 손상,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학슬(鶴虱)


유독(有毒)

독성을 가지고 있어 다량이나 오래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있으므로 반드시 가공된 것을 사용하고 병증에 차도를 보이면 복용을 금한다

 





행인(杏仁)


소독(小毒) 

너무 많이 복용 하게 되면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다량을 복용하지 않으며 가공 처리한 것을 복용하여야 한다

 






경분(輕粉)


대독(大毒)

소량을 복용하며 증세가 호전되면 복용을 금한다.

 







뇌환(雷丸)


소독(小毒)

독이 있기 때문에 다량 복용하지 않고 특히 만성장염, 만성간장, 신장질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한다.

 







담반(膽礬)


유독(有毒)

독성이 있기 때문에 소량을 사용하거나 증세가 호전되면 바로 복용을 금한다.

 







웅황(雄黃)


유독(有毒)

내복은 최대한 삼가고 내복을 한다고 하더라도 증상에 차도를 보이면 즉시 복용을 금한다.

또한 다량을 복용해서도 안 된다.

 






자석(磁石)


유독(有毒)

과거에는 광물류 약재를 많이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광물성 약재가 가지는 비와 위의 기능 실조, 중금속등의 위험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특히 내복시에는 증상에 차도가 있으면 즉시 복용을 금하여야 한다.

 

 





황단(黃丹)


유독(有毒) 

다량이나 오랫동안 복용하면 납중독의 증상을 일으키는데, 납중독에 걸리면 중추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며 뇌와 신경계통에 지장을 초래하여, 정신이상, 신체마비, 빈혈, 구토가 일어나는 증상을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1 ~ 2일 내에 사망한다.

 





노봉방(露蜂房)


유독(有毒) 

독이 있는 약재이기 때문에 다량을 복용하거나 오래 복용해서는 안되며 병증에 차도가 있으면 복용을 중지하여야 한다.

 







백화사(白花蛇)


유독(有毒) 

주로 머리와 꼬리부분에 독이 있기 때문에 제거하고 사용하며 뱀의 뼈 역시 독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약재로 가공할 대 반드시 제거한 다음 건조한다.

 








섬수(蟾수)


유독(有毒)

bufalin이란 성분을 주로 함유하고 있어 강한 독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공한 것을 사용하며 오랫동안 복용하지 않는다.

 

 

 






질(水蛭)


소독(小毒)

오랫동안 복용하거나 다량 복용하지 않도록 하며 증세가 호전되면 복용을 금한다.

특히 임부는 금한다.

 

 








오공(蜈蚣)

유독(有毒)

오공은 독을 가지고 있는 약재이므로 가벼운 증상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차도가 있으면 복용을 중지하는 것이 좋다.

낙태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산부는 복용을 금해야 한다.

 









전갈(全蝎)


유독(有毒)

 Buthotoxin이라는 독성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증세가 호전되면 복용을 멈추고 제대로 가공된 것을 사용한다.

 









합개(蛤蚧)


소독(小毒)

증세가 호전되면 복용을 금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는 것은 삼가한다.

 

 


'산야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슬 (쇠무릎)-관절에 좋다  (0) 2008.02.08
만병초  (0) 2008.02.08
엉겅퀴-그 효능에 놀라다  (0) 2008.02.08
꾸지 뽕나무로 폐암 치유한 사연  (0) 2008.02.08
겨우살이, 산청목  (0) 200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