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여뀌

영지니 2008. 7. 13. 17:27

 

여뀌

 

여뀌 종류(여뀌속)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종류다.

 

여뀌속은 Persicaria속이라고 하는데, Persicum은 복숭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Aria'는 닮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복숭아와 닮은 풀이라는 이야기다.

근데, 뭐가 닮았냐구? 

잎이 비슷하게 생겼다.

 

우리나라에 있는 여뀌 종류는 상당히 많다.

 

이삭여뀌

며느리배꼽

며느리밑씻개

세뿔여뀌

나도미꾸리낚시

고마리

바늘여뀌

긴화살여뀌

좁은잎미꾸리낚시

긴미꾸리낚시

미꾸리낚시

넓은잎미꾸리낚시

가시여뀌

산여뀌

털여뀌

기생여뀌

물여뀌

흰여뀌

큰개여뀌

흰꽃여뀌

꽃여뀌

여뀌

바보여뀌

끈끈이여뀌

봄여뀌

장대여뀌

개여뀌

만주겨이삭여뀌

붉은대동여뀌

대동여뀌

겨이삭여뀌

 

32가지나 된다.

이 중 파란색을 칠한 13종류가 비교적 도시근처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는 종류가 아닌가 싶다.

 

먼저 여뀌, 개여뀌, 큰개여뀌, 봄여뀌, 끈끈이여뀌, 바보여뀌, 기생여뀌, 털여뀌를 알아보자.

 

1. 씹으면 아주 매운 맛이 난다

여뀌


1. 씹으면 매운 맛이 없다

개여뀌, 큰개여뀌, 봄여뀌, 끈끈이여뀌, 바보여뀌, 기생여뀌, 털여뀌


2. 꽃대 아래가 끈끈하다.끈끈이여뀌


2. 꽃대 아래가 끈끈하지 않다.

개여뀌, 큰개여뀌, 봄여뀌, 바보여뀌, 기생여뀌, 털여뀌


3. 잎과 줄기에서 아주 강한 향기가 난다.

기생여뀌


3. 잎과 줄기에서 아주 강한 향기가 안난다.

개여뀌, 큰개여뀌, 봄여뀌, 바보여뀌, 털여뀌


4. 잎과 줄기에 털이 엄청 많다.

털여뀌


4. 잎과 줄기에 털이 없거나 적다.

개여뀌, 큰개여뀌, 봄여뀌, 바보여뀌


5. 꽃이 촘촘하게 달리지 않는다.

바보여뀌


5. 꽃이 촘촘하게 달린다.

개여뀌, 큰개여뀌, 봄여뀌


6. 탁엽의 길이만큼 털이 있다.

개여뀌


6. 탁엽의 길이보다 훨씬 짧은 털이 있다. 봄에 꽃이 핀다

봄여뀌


6. 탁엽에 털이 없거나 짧으며 전체적으로 크다.

여름부터 꽃이 핀다.

큰개여뀌

    

 

여뀌

여뀌 종류를 대표하는 여뀌입니다...

일단 맛을 보면 잊지 않을 텐데....습지에 가면 만날 수 있습니다.

 

예로부터 식물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는 식물로는 때죽나무와 여뀌가 있습니다(더 있으면 알려주세요).

둘 다 독성이 강하겠지요.

 

때죽나무는 먹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아주 쓴 맛입니다.

여뀌는 아주 매운 맛이지요.

저도 먹어봤는데, 아직까지 제가 살아있는 것을 보면, 적은양은 사람에게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머리가 좀 나빠졌을지는 모르지만..)

 

전체 모습은 힘이 없는 모양입니다.

큰개여뀌나 개여뀌에 비하면 무척 날씬하게 보이지요.

끈끈이여뀌보다는 힘이 있어 보이구요...

 

왼쪽 사진은 2003년에 평화의공원에서 찍은 사진이구요. 

오른쪽 사진은 2004년 9월 14일에 찍은 사진입니다. 

꽃은 아주 많이 달리지 않구요...

날씬합니다..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턱잎은 끈끈이여뀌보다 털이 적네요...

작은 털들이 수염처럼 몇개가 있습니다...

 

 

 

끈끈이여뀌

끈적끈적한 줄기가 특징인 여뀌를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끈끈이대나물보다도 끈적한 것이 더 많이 있네요...

꽃이 달리는 꽃자루에서 점액이 나온답니다....

 

전체적으로 무척 비실비실한 모양으로 보이구요....

꽃도 큰개여뀌나 개여뀌보다 훨씬 적고, 성글게 달리고 있구요...

 

앞으로 하늘공원에서 만날 수 있는 여뀌를 계속 보여드릴께요...

잘 지켜봐주세요..

 

부실한 몸둥이...

곧 쓰러질 것 같은 몸둥이를 가진 끈끈이여뀌..

그리고, 한해살이풀...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으로 절대 맵지 않음...

 

 

 

잎을 둘러싼 턱잎은 수염같은 털이 달려있다.

 

 

 

 

기생여뀌

'기생여뀌'를 들어보셨나요...

물을 좋아하여 물가에서 주로 만날 수 있는 식물이다.
여느 여뀌와 다르지 않게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그 만의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잎과 줄기, 꽃....

모두에서 강한 향기가 있다.

줄기와 잎에는 아주 부드러운 털이 있다.

햇빛에 반사되어 하얗게 보이는 털은 장관이다.


 

 

 

 

줄기를 감싸고 있는 턱잎에도 털이 나 있고.

턱잎의 끝에도 긴 수염처럼 생긴 털이 있다.

꽃은 개여뀌나 여뀌보다는 탐스럽게 피고, 털여뀌보다는 탐스럽지 못하다.
지나가는 길에 여뀌를 만나면 손으로 어루만져 보라.
기생여뀌라면 그 향기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털여뀌

 다섯번째로 털여뀌다.

이름만 들어도 털이 많을 것 같은 여뀌다.

하지만, 기생여뀌보다는 짧은 털이 있다.

 

 

 

꽃은 다른 여뀌보다도 훨씬 풍성하게 핀다.

꽃을 가까이에서 보면 이렇게 아름답다.

고마리 꽃의 아름다움을 털여뀌에서도 느낄 수 있다.

줄기를 감싸고 있는 턱잎에는 작은 털이 짧게 나 있다.

 

 

 

 

 

개여뀌

식물의 이름 앞에 '개'라는 말이 들어가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생각나는데로 적어보자.

개망초, 개여뀌, 개살구, 개복사, 개나리, 개밀, 개기장, 개다래, 개머루, 개벚나무, 개비름, 개사철쑥, 개서어나무, 개쑥갓, 개쑥부쟁이, 개옻나무, 개피, -----

훨씬 많이 있다.

 

 

가장 큰 차이는 개여뀌는 맵지 않다는 것이 아닐까?

꽃도 비교해 보시고,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턱잎도 비교해 보자. 잎도 .

 

 

 

 

 

봄여뀌

6월 초....

봄여뀌와 기생여뀌, 이삭여뀌 꽃이 간혹 보인다.

 

봄여뀌의 꽃.

 

꽃은 개여뀌와 비슷하지만,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집에 털이 짧은 것이 개여뀌와 다르다.

 

 

 

봄여뀌의 잎.

여뀌를 잎으로 구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듯 하다..

 

큰개여뀌

큰개여뀌 꽃이 많이 피었다.
특히 물가를 따라 많이 피어있다...

 

개여뀌보다는 훨씬 키가 크다...

 

 

작은 꽃잎 하나하나를 보면 참으로 예쁜 것을 알 수 있다

 

 

가시여뀌

 

꽃이름 - 가시여뀌
속명 - 다경편축(多莖篇蓄), 가시역귀
 학명 - Polygonum fauriei LEVEILLE et VANIOT
과명 - 여뀌과
계절 - 여름
꽃색 - 대표색 : 빨강 / 일반색 : 연한 빨간색
개화기 - 7~8월
결실기 - 9월
서식지(분포지) - 전국의 산야지 산골짜기의 약간 습기 있는 숲 가장자리 등의 그늘진 곳에 흔히 자생한다.
높이 (키) - 1m50㎝
용도 - 밀원용, 관상용, 가축의 사료용
생육상 - 한해살이풀

설명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윗부분의 화경(花梗)과 더불어 적색(赤色)의 선모(腺毛)가 빽빽이 난다.


잎은 피침형(披針形)으로 끝이 뾰족하고 양쪽 기부(基部)의 열편(裂片)이 뾰족하게 밖으로 튀어나오며 칼집 모양의 탁


엽(托葉)은 막질(膜質)이다.


줄기에 붉은 가시가 많이 난 것이 특징이다.

 

개여뀌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름
개여뀌

과명
마디풀과

다른이름
신채, 어독초, 역귀, 여뀌

이름유래
잎과 줄기를 짓찧어 냇물에 띄우면 민물고기들이 저절로 물위로 떠오르기 때문에 <어독초>라 부른다.

분포
전국 각지의 낮은 지대 집 주변의 빈터 등지에 흔히 자생한다.

특징
한해살이 풀로 높이는 20~50cm 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붉은 자줏빛의 둥근 통 모양으로 곧게 선다.
가지를 많이 내며 마디에서 뿌리를 벋는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8cm, 나비 1∼2.5cm이며 넓은 바소꼴이다.
양면에 털이 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집처럼 생긴 턱잎은 통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수염털이 난다.
꽃은 붉은 자줏빛 또는 흰빛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서 길이 1∼5cm의 수상꽃차례와 비슷한 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다.
8개의 수술과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고 씨방은 상위(上位)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이며 세모나고, 빛깔은 윤이 나는 짙은 갈색이다.


시기
6 ~9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가 익는다.

용도
밀원용으로 쓰이고 민간에서는 부종, 해열, 통경, 해독, 장염 등에 약으로 쓰인다

기생여뀌  

(마디풀과)
Persicaria viscosa H. Gross.

분포 : 저지대 연못이나 냇가에 자란다. 

높이 40~120cm까지 자라는 대형의 일년초로 전체에서 일종의 향기가 있다.
줄기는 직립하고 윗부분에서 갈라지며, 전체에 갈색의 長粗毛와 柄이 있는 선모가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삼각상 광피침형이고 양끝이 좁고 길이 7~15cm, 폭 1.5~4cm표면 또는 양면에 柄이 없는 선점이 있다.
엽초는 통상이고 털이 있으며 길이 7~15mm이며 잎에는 거치가 없다.
꽃은 가을에 가지 끝과 윗쪽의 엽액에서 나오는 수상화서에 달리고, 화수는 길이 3~5cm로 붉고 작은 꽃이 많이 모여서 핀다.
화피는 길이 2.5~3mm로 5개로 깊이 갈라지며 꽃잎은 없다.
수술은 8개로 꽃밭침보다 짧고, 자방은 구형이고 화주는 길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흑갈색이고 세모진 란원형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보배추  (0) 2008.07.14
광대나물  (0) 2008.07.14
참당귀와 일당귀  (0) 2008.07.13
독초 조심   (0) 2008.07.13
유독 식물  (0) 2008.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