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꿀풀<하고초>

영지니 2008. 6. 7. 21:03

 

하고초<꿀풀>

 

식물명

꿀풀<하고초>


학명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과명

꿀풀과


생약명

하고초(夏枯草)


이명

동풍(東風)


분포

전국에 분포


생지

산이나 들


20~30cm


분류

여러해살이 초본


번식

분근, 종자 번식


약효

포기, 열매


채취기간

5~7월


취급요령

그늘에서 건조


성미

차며, 맵고 쓰다.


독성여부

없음


1회사용량

온포기, 열매5~10g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두메꿀풀, 붉은꿀풀, 흰꿀풀


마주나며 계란형,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다.


5~7월에 줄기 끝에 원기둥형의 꽃이 적자색으로 핀다.


열매

6~8월에 황갈색 분과를 맺는다.


특징 및 사용방법

원줄기는 네모지고 온포기에 털이 하얗게 나 있다.

줄기는 다소 뭉쳐나며 곧게 선다.

관상용, 밀원(蜜源), 식용, 약용 등으로 이용된다.
꽃나무를 말린 것을 화하고초(花夏枯草)라고 하며 약용으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주로 비뇨기, 안과 질환 등을 다스리며 항암성분이 있는것으로 판명된다.

민간요법처방

 

간염(肝炎)

온포기 또는 씨 6~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간허(肝虛)

온포기 5~10g 또는 열매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10일 복용한다.


강장보호(腔腸保護)

온포기 8~10g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건위(健胃)

온포기 8~10g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해서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결기(決氣)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결핵(結核)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주일 이상 복용한다.


경선결핵(經腺結核)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4~5일 복용하면서 그 물로 환부를 수시로 씻어 낸다.


고혈압(高血壓)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력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복용하면서 그 물로 수시로 환부를 씻어낸다.


늑막염(肋膜炎)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담(痰)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두진(痘疹)

온포기 5~10g 또는 열매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7~10g일 복용한다.


방광염(膀胱炎)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번조(煩燥)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보간(保肝)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산후열(産後熱)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삼눈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하면서 그 물로 자주 환부를 씻어준다.


상기된 눈(목적:目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소담(消痰)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소변 불통(小便不痛)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회 복용한다.


소염제(消炎劑):

온포기를 달여서 1일 10회 이상씩 2~3일 환부를 닦아준다.


소화불량(消化不良)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수종(水腫)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습비(濕痺)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신장병(腎臟病)

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안검연염(眼檢緣炎)

온포기 5~10g 또는 열매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3일 복용한다.


안질(眼疾)

포기 또는 열매 10g을 달여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닦아준다.


암(癌)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열광(熱狂)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월경이상(月經異常)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유선염(乳腺炎)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이뇨(利尿)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임질(淋疾)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임파선염(淋巴腺炎)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종독(腫毒)

온포기 또는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창종(瘡腫):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트라코마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폐결핵(肺結核)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해열(解熱)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글정리/토종약초 연구가 한강희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기생 (동백나무겨우살이)  (0) 2008.06.07
구릿대   (0) 2008.06.07
마타리  (0) 2008.06.07
활나물   (0) 2008.06.07
백채굴(애기똥풀)  (0) 2008.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