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망초
개망초는 감기나 학질등에 요긴하게 쓰이며 자연식품으로 아낄 만 하다.
개 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Erigeron annuus
분류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분포지역 한국
서식장소 길가, 빈터
크기 높이 30∼100cm
왜풀·넓은잎잔꽃풀·개망풀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30∼10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나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밑의 것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4∼15cm, 나비 1.5∼3cm이다.
잎 양면에 털이 나고 드문드문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있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로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6∼9월에 흰색 또는 연한 자줏빛 두상화가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가지 끝과 줄기 끝에 가지런하게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으로 줄 모양 바소꼴이고 긴 털이 난다.
화관은 혀 모양으로 길이 7∼8mm, 나비 1mm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로 8∼9월에 익는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퇴비로도 쓴다.
약효능
이 식물에 대한 연구는 별로 실적이 없으며 그 효능은 거의 헤아릴 수가 없다.
다만 상처나 지혈에 소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약에 오염된 열악한 재배채소에 비해 식용 효과가 월등하다.
야생이므로 보다 짙은 엽록소는 인체활성에 약리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퇴비로도 쓴다.
한방에서는 감기, 학질, 림프선염, 전염성간염, 위염, 장염, 설사 등에 처방한다.
개망초는 봄부터 초겨울까지 언제나 식용할 수 있다.
방석 모양으로 얕게 퍼져 자라는 어린 잎을 데쳐 갖은 양념으로 나물을 무치기도 하고 고기국에 넣어도 먹는다.
튀김을 하면 꽤 먹을만 하다.
생식을 하기도 하며 생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성숙한 잎은 말려서 음료 대용으로 삶아 마신다.
※ 주의 사항
좋다고 해서 과용해서는 안된다.
어느 산야초든지 성분이 짙고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조금씩 사용하면서 길들여져 가는 가운데 섭취량을 조금씩 늘리도록 해야 한다.
보리뱅이
청열, 진통, 해독, 소종의 작용을 하는...
봄철엔 전초를 가을엔 뿌리를 사용한다.
1일12~15g을 끓여 복용한다.
맛은 약간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 인후염, 편도선염, 유선염,결막염등에 사용한다.
* 감기로 열이날때 쓴다.
1.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며 보리뱅이·황가채·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한다.
길가 또는 다소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보통 1개 또는 2개이다. 높이 15∼10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로제트형으로 비스듬히 퍼지고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며 무잎처럼 갈라진다.
끝의 갈래조각이 제일 크고 옆갈래조각은 밑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줄기에는 잎이 없거나 1∼4개가 달리고 깃꼴로 갈라지며 뿌리에서 나온 잎과 비슷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두화(頭花)는 산방상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이 햇빛을 보면 피고 저녁에는 닫는 습성이 있다.
총포는 좁은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4∼5mm로 포조각이 2줄로 배열되며 5∼6개의 작은꽃이 들어 있다.
화관은 노란색이며 통부는 윗부분에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서 갈색이며 능선이 있고 관모는 흰색이다.
2. 식용 또는 약용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全草(전초) 또는 根(근)을 (황암채)라 하며 약용한다.
봄, 가을에 채취한다.
淸熱(청열), 해독,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감기, 咽痛(인통), 乳腺炎(유선염), 結膜炎(결막염), 瘡癤(창절), 尿路感染(요로감염), 白帶下(백대하), 류머티성(性) 관절염을 치료한다.
10-15g(신선한 것이면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던가 생즙으로 양치질한다.
지칭개나물
[6] 08/3.7
"지칭개나물"[국화과 : Hemistepta lurata BUNGE
속명/니호채.지치광이.지칭개
분포/낮은 지대 논 밭둑.도랑가.
개화기/5~7월
결실기/6월부터[수과]
꽃색/홍자색
높이/50~100cm 높이로 자람.
특징/뿌리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고 줄기 밑부분의 잎은 거꿀 피침형이나 거꿀 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7~22cm로 뒷면에 백색의 털이 밀생하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삼각형으로 간혹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7~8쌍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줄기의 중앙에 달린 잎은 긴 타원형이며 엽병이 없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된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 통형의 두상화가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총포편은 많으며 둥글고 윗부분에 닭벼슬 같은 돌기가 있으며 8줄로 배열하고 흰색 털이 있다.
두상화는 지름이 2~3cm 정도이며 관상화만으로 구성 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속은 비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mm,폭은 1mm 암갈색으로 15개의 모가 난 줄이 있고 갓털이 있으며 깃꼴로 2줄이다.
용도/약용[전초],식용[어린순이나 잎을 채취해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형태/두해살이풀
고들배기
고들배기는 전국의 야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크기는 18∼20㎝정도 되고 근생엽은 꽃이 필때까지 숙존, 엽
신은 타원형이고 길이는 3 cm, 폭 1-2 cm, 엽병은 없는 식물이다.
고들배기의 잎면은 빗살 모양으로 녹색을 띠고 있으며 잎의 뒷면은 회청색으로 경생엽은 난형이다.
고들배기는 식물 전체에 털이 없고 초장은 높이 1∼2cm로서 엽장의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꽃이 될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葉炳)이 없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며 잎
은 길이 2.5∼5㎝, 너비 1.4∼1.7㎝이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화청색이고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진다.
잎사귀의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어져 원줄기를 크게 감싸고 있으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
록 작아진다.
고들배기의 꽃은 5∼6월경에 황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개화 후 30∼40일이면 종자가 익는다..
고들빼기의 탄수화물이 7.5%, 조지방이 3.5%, 칼슘과 칼륨이 각각 101, 250mg함유하고 있다.
약효로는 종창, 진정, 건위, 익심, 해열, 조혈, 간염 등에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고들빼기 전초에는 항암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Chlorogenic acid: C H O, Genrmanicum, Hyocyamine, Inul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고들배기는 이른봄 식욕이 떨어질대 생으로 데쳐서 초고추장 무침을 해먹거나 김치를 담궈서 먹으면 식욕을 돋궈주고 피로를 개선시켜주는 작용을 하는 유익한 식물이다.
과거에는 야생에서 많이 관찰되었으나 근래에는 농촌에서 흔히 재배하고 있는 식용작물이다.
고들배기의 쓴맛은 식욕을 돋구워주므로 노인들이 식욕을 잃어서 불금되었을때 고들배기와 민들레를 동량으로 해서 생즙을내어 복용시키면 좋고 신곡.백출.산사자.맥아.고들배기를 한데넣고 달여서 공복에 복용해도 효험이 있다.
고들배기는 장아찌.무침.김치등을 해서 식용으로 사용하며 민간에서 유즙분비촉진제로 산모의 젖이 잘안나오는데에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민간에서는 고들배기와 씀바귀 민들레 생초를 술에 담궈서 요통에 사용하고 있으며 어혈과 타박상에 생초를 ��이겨서 환부에 붙였다 새것으로 갈기를 반복하면 환부의 어혈이 잘풀리기도 한다.
그리고 만성간장질환과 간암등에 고들배기 전초와 엉겅퀴를 한데넣고 생즙을 내어 복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일정부분 항암효과를 인정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예전에 필자와 지인관계에 있는 필란드에서 온 외국인에게 한국농촌과 본초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점심무렵 식사를 하게 되었다
그리고 필자는 한국의 맛을 알려 준다며 고들배기와 삼겹살을 청량고추장으로 깻잎에 싸서 먹여 주었던 기억이 있기도 하다.
당시 필란드인 인 존마르죠는 필자보다 서너살 연배 였는데 필자가 건네준 상추쌈 때문에 혓바늘이 심하게 돋아서 다음날 서울의 모병원을 방문하기도 했던 우수웠던 기억이 있기도 하다.
김장철에 땅밑에 묻은 항아리에서 오랜도록 시어서 오이삼년쯤 된 고들배기 김치는 무더운 여름날 개울옆에서 삼겹살을 싸서 먹으면 그맛이 일품이고 메밀국수와 함께 먹어도 궁합과 맛이 일품이다..
달래
달래는 우리나라 중부의 산록과 들에 5~12센티미터로 자라는 다년초이다.
달래의 비늘 줄기는 넓은 난형, 겉 비늘은 두껍고, 물결모양 횡세포. 달래의 잎은 선형, 달래의 앞면은 초승달 모양, 1~2장. 흰색또는 붉은 꽃은 줄기 끝에 1~2송이씩 달리며, 달래의 꽃잎은 긴 타원형, 끝이 둔하고, 달래의 둥근 열매는 삭과이고, 야생인 산달래와 고산달래 등 약 11종이 우리나라에 자생한다.
1. 과명 : Liliaceae (백합과)
2. 영명 : Allium monanthum
3. 한명 : 小蒜 (소산)
4. 산지 : 한국, 일본, 중국, 몽고
5. 용도 : 전초 (약용, 식용)
달래에 관한 관련서적
1. 한국 야생식용식물자원-성분과 생리활성- (
2. 내 체질에 약이되는 음식 222가지 (김달래 저, 중앙생활사, 2005)
3. 약이 되는 한국의 산야초 (
달래의 효능 및 효과
1. 달래의 효능
달래는 지혈, 지사, 목통, 적백리(이질의 일종)등에 효능이 있다.
2. 달래의 식용
달래는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이 골고루 들어있는 우수식품이며, 달래의 독특한 향기가 식욕을 돋우고, 소화액 분비를 촉진한다.
달래의 뿌리와 꽃에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달래나물, 국, 생무침, 겨자무침 등에 이용, 또한 건강주를 담거나, 녹즙으로도 이용된다.
3. 달래의 약용
달래를 민간에서는 전초를 달여 위궤양, 치질, 폐결핵에, 혈압강하, 동맥경화, 당뇨병, 이질, 지사제, 건위소화제, 빈혈, 강장, 지혈작용, 월경통, 자궁출혈등 지혈에 이용. 특히 간기능을 강화하는 해독작용, 달래의 꽃은 이질, 자궁출혈에 이용하며 냉이꽃과 씨는 살충작용이 있어 옷장등에 넣는다.
(한국 야생식물자원 –성분과 생리활성-(
달래의 복용방법
1. 정력증진
인경과 수염뿌리 200g을 함께 물에 씻어 소주에 담근 다음 15일 지난 후 조금씩 마신다.
2. 식도암, 자궁출혈, 월경불통 : 생뿌리를 먹거나 태워서 먹는다.
문헌에서 말하는 달래
1.동의보감에서 말하는 달래
산에서 나며, 뿌리와 잎이 마늘과 같으나 가늘고 작으며, 냄새가 몹시 난다.
달래는 약기운이 비와 신으로 들어가는 약재로 속을 데우고, 음식의 소화를 돕고, 토사곽란과 고독 (독충 따위의 독 또는 그 독이 든 음식물을 먹고 생긴 병)을 치료한다. 또 뱀이나 벌레에게 물린데에도 붙인다.
달래를 이용한 먹거리
달래무침, 달래장아찌, 달래적, 달래된장국 등 다양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슬(牛膝) - 쇠무릎 (0) | 2008.07.14 |
---|---|
닭의장풀(달개비풀) (0) | 2008.07.14 |
여뀌 (0) | 2008.07.14 |
쇠비름 (0) | 2008.07.14 |
까치수염 (0) | 2008.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