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보리싹

영지니 2008. 7. 14. 21:52

보리순

 

보리의 효능

 

 

고서에 쓰인 보리의 효능

리에 대해 동의 보감에서는 '성질이 온화하며 짠맛을 가졌다'고 표현하고 있다.

 

보리의 원산지

보리의 원산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는데, 야생종이 발견된 지역을 토대로 보면, 중국 양쯔강 상류의 티베트 지방과 카스피해남쪽의 터키 및 인접 지역이 가장 유력하다고 한다.

 

취나물쌈과 궁합이 잘 맞는 보리밥

취나물은 혈액의 최대 적인 총지방,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낮추어 체내 지방 수준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식품이다.

특히 봄이 제철인 취나물을 손바닥에 펴고 보리밥을 한수저 가득 푸고 강된장을 넣어 한 입 가득~쌈을 싸 먹으면 아주 좋다.

 

보리새싹

요즘은 먹을거리가 풍족해서 어떤걸 먹을까 고민이지만 과거에는 먹을거리가  없어 힘들었던 시기도 있었다.

이때 보리와 함께 보리새싹을 데쳐서 나물로 무쳐먹으며 허기를 달래기도 했는데, 최근에는 보리새싹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뛰어난 식품으로 각광받으면서 보리새싹을 먹기도 한다.

 

올림픽대로에 심어진 보리

서울 시내 도로변 풍경이 바뀌고 있다고 한다.

가로수의 주종을 이뤄온 은행나무와 플라타너스가 점차 중어들고 대신 철따라 꽃을 볼수 있는 이팝나무와 벚나무, 회화나무 등의 숫자를 늘려가고 있는데, 특히 한겨울에도 풀른 경관을 연출하기 위해 가로수 대신 보리가 심겨진 곳도 있다.

바로 서울 올림픽대로에 보리가 심겨져 있다!

 


혹시 보리로 만든 맥주도 콜레스테롤 저하에 효과가 있지 않을까?

 맥주를 만드는 가장 대표적인 원료는 바로"맥아"다.

보리에는 일반보리(6조맥)와 두줄보리 (2조맥)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맥주보리는 두줄 보리다.

맥아를 사용하여 맥주를 만들기 대문에 보리의 수용성 식이섬유소인 베타글루칸의 작용으로 인해 콜레스테롤으리 저하 효과가 있다 하지만 과유불급~!!


알코올의 경우 g당 7gcal를 발생하므로 맥주(알코올) 의 섭취가 과할 경우 호히려 중성지방이 간장세포에 침착하게 되어 쌓이게 되며 지방이 축적되어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이 올수 있으므로 보리의 콜레스테롤저하 효과를 위해서는 보리밥과 같이 보리를 통째로 섭취할수 있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보리의 섭취량 또한 많아 더 효과적이라 할수 있다.

 

보리밥은 소화가 잘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보리밥이 콜레스테롤도 잘 소화시켜  낮춰주는 걸까?

 보리에는 식이섬유로서 베타 글루칸(B-glucan)의 함량이 높아 체내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저하시켜 심장질환을 예방하며 지방으 축적을 억제하는 등 성인병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잇는 식물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도정한 보리쌀에도 B-glucan은 거의 소실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는 특성이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인B-glucan을 비롯한 수용성 식이섬유의 콜레스테롤저하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과 결합하여 흡수를 저해하고 배설을 촉진한다는것!!

 

둘째

담즙산의 소장에서으 재흡수 억제 및 배설 증가에 의한 것으로, 담즙산은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되는 물질이므로 체내 콜레스테롤은  체외로 배설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것!!

 

셋째,

장의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식이섬유의 발효부산물인 아세테이트(acetate), 프로 피온산(propionic acid)등 짧은 사슬 지방산들이 콜레스테롤 합성능을 저해한다는 것!!


보리 첨가식이 및 (B-glucan함량을 높인 농축획분 첨가식이가 흰쥐의 혈장과 분변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HDL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고LDL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으며 변으로 배설되는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양은 크게 증가된다고 보고 하였다.

 

 

보리는 차를 끓여먹고 밥도 짓고..주로 익혀서 먹는데, 이렇게 열을 가해도 콜레스테롤을 저하하는 효능이 떨어지지는 않는 걸까?

 

보리차는 볶은 겉모리를 넣어서 끓인 차로 한국사람들이 물 대신으로 사시사철 언제나 즐겨 마시는 음료이자 숭늉과 함께 즐겨 마시던 우리의 전통 곡차다.


그리고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하여 보리밥을 먹는가정이 늘고 있다.

보리밥은 특히 B1이나 비타민 B2가 쌀밥보다 많아 각기병 예방에 좋고, 섬유질이 많아 변비에도 효과적이며, 단백질 등 전반적인 영양가가 쌀밥보다 우수하다.

그리고 콜레스테롤 저하 능력이 있는 베타글루칸 역시 열에 안정적이기 때문에 일반 쌀밥을 먹는 것에 비교해볼때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을 기대할수 있을것이라 추정할수는 있다.

 

보리는 씨앗뿐만 아니라 싹도 먹는다고..이보리싹에도 콜레스테롤을 저하하는 효능이 있는걸까?

 

보리의 새싹에는 우유의 55배이상,

시금치의 18배 이상 되는 칼륨과 우유의 11배가 넘는 칼슘이 들어 있고,

철분도 시금치의 5배 가까이 들어 있으며, 비

타민 C의 경우 보리새싹 100g중 338.8mg으로

시금치의 3배,

사과의 60배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마그네슘, 구리, 망간,아연 등 많은 종류의 미네랄이 들어있어 영양학적으로 보기드문 천연식품으로 알려져 잇다.


또한 보리새순에는 우리 신체에서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큰원물질이라고 알려진 활성산소를 분해하는 항산화 효소(SOS: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를 다량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보리새순 역시 우리몸에서 유해한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는데 유익한 역할을 한다고 할수 있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리  (0) 2008.07.14
갈대 (달뿌리풀)  (0) 2008.07.14
냉이  (0) 2008.07.14
궁궁이  (0) 2008.07.14
왕고들배기   (0) 200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