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냉이
겨자과의 두해살이 풀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로 학명은 Cardamine flexuosa 이다.
논밭 근처와 습지에서 서식하며 크기는 높이 10∼30cm까지 자란다.
아래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퍼지고 밑 부분은 털이 있고 검은 자주색이다.
가지는 밑에서부터 갈라져 나고 잎은 7∼17개의 작은 잎으로 된 깃꼴겹잎인데 어긋난다.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20개 내외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십자 모양의 꽃이 10여 송이 정도 달린다.
꽃받침은 4개이고 흑자색이 돌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다.
논밭 근처와 습지에서 서식하며 크기는 높이 10∼30cm까지 자란다.
아래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퍼지고 밑 부분은 털이 있고 검은 자주색이다.
가지는 밑에서부터 갈라져 나고 잎은 7∼17개의 작은 잎으로 된 깃꼴겹잎인데 어긋난다.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20개 내외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십자 모양의 꽃이 10여 송이 정도 달린다.
꽃받침은 4개이고 흑자색이 돌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다.
어린순은 따서 김치를 담가 먹고, 가볍게 데쳐서 나물로도 먹으며 또는 잘 게 썰어서 나물밥도 지어 먹는다.
고깃국에 넣어도 먹고 기름에 튀기거나 전을 부쳐서 먹기도 한다.
▲ 냉이. 보통 냉이는 줄기가 꺽이지 않고 곧게 자란다.
출처:황새냉이
냉이의 종류
나시, 나이, 나싱이, 나생이, 나싱구, 나싱개, 나승개 등 별명을 갖고 있고 다닥냉이, 말냉이, 싸리냉이, 황새냉이, 큰황새냉이, 논냉이, 미나리냉이, 나도냉이, 개갓냉이 등 유사종이 있으며 『당신에게 모든 것을 맡깁니다.』라는 재미있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냉이는 키가 10∼50㎝정도 자라며 전체에 털이 나있고 가지를 많이 친다.
냉이는 비타민 A와 C 그리고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우수한 식품일 뿐만 아니라 아세틸콜린, 콜린, 티라민 등 많은 특수성분이 있어 약리효과도 높다.
요리법은 다양하나 주로 무침, 냉이국 등으로 이용하며 건강주로도 담가 먹기도 하는데 냉이와 소주 흑설탕을 3:5:1로 하여 1개월이상 숙성시킨 후 마시며 녹즙 재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생약명으로는 제채(薺菜)라고 하여 전초를 달여 위궤양, 치질, 폐결핵에 사용하며 혈압강하, 지사제, 건위소화제, 지혈제, 자궁출혈 및 월경과다 치료제로도 이용한다.
이외에도 눈을 밝게 하고 시력을 보호하는 효능도 있어 말린 냉이를 가루내어 먹거나 눈이 붓고 침침할 때 냉이 뿌리를 찧어 만든 즙을 안약 대용으로도 이용하여 왔다.
모시
모시의 효능
속명/저근(苧根)*저마(苧麻)*야저마(野苧麻)*저(苧)*야마(野麻)*원마(元麻)*가마(家麻)*대마(大麻)*정미근*왕모시풀*모시
분포지
남부 지방 낮은 지대 길가에 자라고, 섬유 자원으로 재배한다.
높이
100~200㎝
생육상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7~8월
꽃색
노란빛이 도는 흰색
결실기
10월
특징
녹색의 원줄기는 둥글고 잔털이 많으며, 뿌리는 목질(木質)이다.
용도
식용*관상용*약용
효능
뿌리를 단독(丹毒)*누태(漏胎)*하혈(下血)*광견(狂犬)*충독(蟲毒)*이뇨(利尿)*통경(痛經)*당뇨병(糖尿病) 등의 약으로 쓴다.
청열(淸熱)*지혈(止血)*해독(解毒) 작용
책<쉽게 찾는 우리 약초/한방편>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