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명 : 가시고기 ●학명 : Pungitus pungitius sinensis ●방언 : 침고기·까치고기·육침·베트콩 ●英名 : Chinese ninespine sticldeback ●일본명 : 토미요(トミヨ) 강이나 개울, 연못에 나가보면 진흙 바닥을 뛰어 다니는 말뚝방둑, 논두렁에 구멍을 뚫고 다니는 드렁허리 등 별난 습성을 가진 고기들을 만날 수 있다. 자신의 새끼를 키울 집을 짓는 가시고기도 일반적인 물고기와는 다른 독특한 생태를 가진 물고기 중의 하나이다. 또 식용하기에는 부적당한 종이지만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아름다운 하늘색의 몸빛을 띠게 되어 신비스러움을 더해주는 종이다. ●이름 가시고기는 등지느러미·배지느러미·뒷지느러미에 강한 가시를 갖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고, 지방에 따라서 침고기·까치고기·육침·베트콩 등의 방언을 갖고 있다. 특히 베트콩은 부산·김해 지방에서 불리워지고 있는 방언인데, 미끼만 따먹고 가버리는 것이 마치 정글 속에서 신출귀몰한 베트콩같다 하여 낚시꾼 사이에서 붙여진 이름인 것 같다. 큰가시고기의 학명은 Gasterosteus aculeatus aculeatus이며 속명인 Gasterosteus는 그리이스어로 <배(gaster)>와 <뼈(osteon)>의 합성어로 등과 배에 뼈같이 단단한 가시(침)를 갖고 있음을 상징하고 있다. 영어로는 ‘가시를 갖고 있는 등’의 의미를 갖고 있는 stickleback이며, 큰가시고기는 등지느러미에 3개의 가시를 갖고 있다 하여 three spined stickleback으로 불리운다. 또 독일·프랑스에선 ‘찌르다’는 뜻의 이름을 갖고 잇다. 일본에선 단단한 가시를 가진 고기란 뜻의 ‘토게우오(トゲウオ)’, 또는 ‘이토요(イトヨ)’로 불리우는데 이토요는 수컷이 배에서 실을 내어 산란상을 만드는 고기란 뜻의 ‘이토우오(イトウオ)’에서 유래하였다. ●특징 큰가시고기는 몸에 총 6개의 가시를 갖고 있는데 등지느러미에는 높였다 세웠다 할 수 있는 3개의 강하고 긴 가시가 있으며, 배지느러미에는 2개, 뒷지느러미에는 1개의 가시를 갖고 있다. 또 다른 특징은 다른 일반 어류와 달리 이들은 체측에 독특한 형태의 비늘판을 갖고 있다(<그림> 참조). 몸은 방추형이고 옆으로 측편된 형이며 입은 작다. 가시고기는 원래 바다에서 살았던 종인데 점차 담수역으로 옮겨온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도 일생을 담수에서 보내는 육봉형(陸封型)과 바다로 내려가 사는 강해형(降海型)이 있다. 육봉형은 몸길이가 6∼7cm 정도의 소형으로 체고가 높은 편이며 체측의 비늘판은 변이가 심하다. 체측 비늘판 수는 18∼35장, 등지느러미의 줄기수는 10∼14개(대부분 11∼12개)이며, 뒷지느러미에는 7∼10개(대개 9개)의 줄기를 갖고 있다. 반면, 바다로 내려갔다 다시 소상하는 강해형은 몸길이가 10cm로 육봉형보다는 다소 큰 편이며 체고가 비교적 낮고 등·배지느러미의 가시의 길이가 긴 편이다. 강해형을 담수 중에서 키우면 육봉형의 특징을 많이 띠게 된다고 한다. ●분포·분류 가시고기는 큰가시고기目(Gasterosteida), 큰가시고기科(Gasterosteidae)에 속한다. 가시고기과는 전 세계적으로 5속 7종이 알려져 있으며 유럽·아시아 대륙에서 북미 대륙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는 소형 어류그룹이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흔한 큰가시고기는 우리 나라 강원도·경상남북도·전라남도에 널리 서식하고 있으며 충남이나 경기도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큰가시고기는 유럽에도 살고 있는데 영국에도 우리 나라와 같은 종이 서식하고 있다. 가시고기과에 속하는 무리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등지느러미 가시가 3개이고 비늘판이 일렬로 줄지어 있는 큰가시고기屬(Gasterosteus)과 7개 이상의 등지느러미 가시를 가지며 체색이 검은빛을 띤 가시고기屬(Pungitus)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 나라에는 큰가시고기·청가시고기·두만가시고기·가시고기·잔가시고기의 5종이 보고되어 있으나(정문기, 1977), 이중 남한에 서식하는 종은 큰가시고기(Gasterosteus aculeatus aculeatus), 가시고기(Pungitus pungitius sinensis), 잔가시고기(Pungitus pungitius kaibarae)의 3종이다(<표> 참조). 큰가시고기가 경기·충남 지역을 제외하고는 널리 서식하는데 비해 가시고기와 잔가시고기는 강원도와 경북 일부 지역에서만 분포하는 차이점을 갖고 있다. 큰가시고기는 3종 중 등지느러미의 가시수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데, 가시고기의 등 가시는 길어서 눈 지름의 3/4정도인데 비해서 잔가시고기의 것은 눈 지름의 1/3보다 약간 긴 정도이다(<그림> 참조). ●생태 큰가시고기의 강해형은 연안에서 서식하며 초봄에 강으로 소상하여 수심이 3∼4m보다 얕고, 물 흐름이 느린 곳에 산란을 하게 된다. 산란기는 5∼6월이다. 수컷은 산란기가 되면 혼인색(婚姻色)을 띠게 되는데 등이 푸른색, 배는 붉은 빛을 띠게 된다. 반면, 암컷은 수컷과 달리 등이 녹색, 배가 흰색을 띠고 있다. 이 시기에는 수컷끼리 자신의 세력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격렬한 몸싸움을 벌이기도 하는데 이때는 입을 크게 벌리고 등지느러미의 가시를 세운 채 공격행동을 나타낸다. 가시고기는 산란을 위해 보금자리를 만드는 고기로 유명한데, 자신의 영역을 확보한 수컷은 신부를 데리고 올 산란소(둥지)를 만드는 작업을 시작한다. 가시고기의 산란소는 마치 까치집과 같은 새집과 유사한데, 수컷은 자신의 주위에 있는 수초·뿌리·줄기·육상 식물의 잎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자신의 몸에서 만든 액체를 섞어 뻘바닥에 지름이 4∼4+8∼9cm 정도 되는 크기의 입·출구를 가진 원형 둥지를 만든다. 수컷은 이러한 작업을 끝내고, 배에 성숙한 알을 가득 가진 암컷을 만나 그 주의를 맴돌며 구애(求愛)행동을 한다. 수컷에 이끌린 암컷은 만들어진 둥지로 들어가 알을 낳고 반대쪽 출구로 빠져나가면 이어서 수컷이 그 속을 통과하면서 방정하면서 수정시키게 된다. 암컷은 한 번에 30∼150개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한 둥지에 2∼3마리의 암컷을 끌어들이므로 한 개의 둥지에 최대 수백 개의 알이 낳아지는 경우도 있다. 일단 알을 낳은 암컷은 떠나가고 수컷은 남아서 수정된 알이 부화할 때까지 알을 지킨다. 그 사이에 수컷은 가끔 가슴지느러미를 움직여 수류를 일으켜 발생 중인 알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해 주는 동작을 반복한다. 수정란은 수온 18∼19℃에서 수정 후 약 190여 시간이 지나면 부화되며, 갓 부화된 자어는 4∼5mm이다. 부화된 자어들은 6∼7월 크기가 2∼3cm로 자랄 때까지 둥지에 머물다가 그 후 둥지를 떠나게 된다. 강해형은 9월경 바다로 내려가 연안에서의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정성으로 알을 지키고 있던 수컷은 부화된 새끼들이 유영을 하기 시작하면서 스스로의 생활을 시작하면 자신의 생을 마치게 된다. ●성장·식성 식성은 상당한 탐식성으로서 플랑크톤·물고기 알·어린 새끼 고기 및 곤충 등을 먹고산다. 태어난 지 만 1년만에 4∼8cm 정도로 성장하며(강해형의 성장이 빠르다) 수명은 1년이다. ●낚시 몸에 강한 가시를 갖고 있고 손가락만한 가시고기를 낚으러 가는 사람은 없을 게다. 그러나 붕어낚시를 하다 보면 지렁이 미끼를 귀신같이 따먹고 가버리는 적이 있는데 어쩌다 챔질이 되어 올라오는 고기는 피라미나 빠가사리보다 더 지겨운(?) 가시고기일 경우가 많다. 정말 귀신같이 먹이만 따먹고 가버리기 일쑤고 악착같이 지렁이에 달려드는 점 등의 특성을 갖고 있는 종이라 부산·경남 지방의 꾼들은 이 종을 베트콩이라 부르기도 한다. 필자 역시 부산에서 살 적엔 낙동강 김해수로에서 이들 베트콩과 씨름을 한 적이 많으며 그런 날은 낚시가 제대로 되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수심 20∼30cm 정도의 발앞의 물속에서 낚시꾼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암컷을 맞이할 집을 짓는 아름다운 색의 수컷의 동작을 보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 몰랐고 어는 새 물속에서 살고 있는 물고기들 나름대로의 생태에 신비감마저 느끼곤 했다. 이처럼 가시고기의 생태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매우 독특한 점이 있어 고교시절에는 가시고기의 산란 생태를 관찰하여 과학 전시회에 출품한 적도 있다. 물론 그 덕에 가시고기 관찰한답시고 일요일이면 경치 좋고 붕어 많았던 김해수로에 나가 붕어낚시를 덤(?)으로 즐길 수 있었던 것이 또 다른 즐거움이었다. 가시고기를 노리는 이는 없겠지만 가시고기를 관상어 또는 과학 시간 실험 재료로 쓰기 위하여 잡을 경우에는 가시고기의 작은 입을 고려하여 최대한 작은 바늘을 써야 하며 지렁이도 작은 것을 토막내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고기는 어항 속에서도 산란기가 되면 집을 짓고 산란 행동을 하므로 물고기 공부를 하려는 학생들에게 좋은 실험 대상 어종이라 할 수 있겠다. 단, 분포지역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서는 다른 종을 찾아야 하는 점도 있다. 참고로 현재 우리 나라 담수어 중 실험 재료로 적당한 종을 들라면 송사리를 비롯하여 납자루류·망둥어류·붕어 등이 있다. 한때 낚시인들 사이에서 천대받던 빠가사리(동사리)가 민물 매운탕용 재료로 인기가 급상승하여 급기야는 양식 대상종으로 개발되고 그 가격도 잉어보다 오히려 상승하는 과정을 거쳤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런 일이 가시고기에서도 일어날까? 가시고기는 식용으로 개발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할지라도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관상용으로 또는 실험재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될 날을 기대해 본다. <표> 큰가시고기·가시고기 및 잔가시고기의 비교
|
출처 : | 일 묵 [一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