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다랑어

영지니 2008. 7. 27. 21:56
 가다랑어   
 

가다랑어


점다랑어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가다랑어
●학명 : Katsuwonus pelamis
●방언 : 가다리·가토·여다랭이
●英名 : skipjack·bonito·water melon
●일본명 : 가쓰오(カツオ)

낚시대상어로서 인기있는 종들을 보면 모두 ‘잘 생겼다’는 공통점이 있다. 시골색시같은 붕어, 점잖은 신사같은 잉어, 멋쟁이 감성돔, 수줍음 많은 아가씨같은 망상어 등이 그러하다. 짜임새 있는 외모와 깐죽대지 않는, 점잖고 깨끗한 입질이 그러하다. 최근 낚시 장르가 다양해짐에 따라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트롤링낚시 대상어종 중 하나인 가다랑어 역시 화이팅 넘치는 몸놀림에 근육질 남성과 같은 균형잡힌 몸매 때문에 인기가 좋은 어종이다.

●이름
흔히 ‘가다랭이’로 불리는 가다랑어는 가다리·여다랭이·강고등어·가토 등의 방언을 갖고 있으며, 일본명인 ‘가쓰오(カツオ)’를 그대로 쓰는 어민들도 있다. 학명은 katsuwonus pelamis이며 속명인 katsuwonus는 일본명인 ‘가쓰오’에서 유래한 것이며, 종명인 pelamis는 ‘참치류의 일종’을 의미한다. 영명으로는 가다랑어가 잘 튀어오른다 하여 ‘skipjack tuna’, ‘skipjack’(가다랑어 뿐만 아니라 큰 물고기를 일컫는 일반적인 이름), 또는 스페인어로 ‘멋진 녀석’이란 뜻을 가진 단어에서 유래한 ‘bonito’, 가다랑어의 둥근 생김새를 상징한‘water melon’<수박>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중국에선 唆(견), 그외 러시아·네덜란드 등지에선 가다랑어 복면의 무늬를 상징하여 ‘무늬있는 참치’란 뜻의 이름을 쓰고 있다.

●특징
몸은 마치 포탄처럼 매끈하고 통통하게 생겨 전형적인 방추형(紡錘形)을 보인다. 이런 몸매로 가다랑어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대양을 헤엄치며, 그 회유거리는 엄청난 장거리이다. 상황에 따라 유영속도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가다랑어는 대개 시속 40∼50km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가장 빠른 종은 황새치로 시속 약 100km의 속도를 보유하고 있으며(순간속도는 그보다 더 빠르다), 그외 청새치·백새치 등 새치류와 참치류 모두 시속 70km 이상의 스피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이란 매체속에서 이런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고 하는 곳은 실로 놀라운 사실이지만, 실제 이들은 가슴과 측선부분을 제외하면 비늘을 갖지 않으며 몸이 미끄러워 자신의 몸 구조나 호흡, 생리 측면에서 잘 적응하고 있는 것이다. 몸의 등쪽은 검은 빛을 띤 청색(곤색), 배는 은백색을 띠어 표층을 회유하는 어종이 갖는 전형적인 체색을 하고 있다. 즉, 위에서 보면 검푸른 바닷물 색과 유사하여 잘 보이지 않으며, 아래쪽에서 보면 반짝이는 햇빛과 어울려 잘 보이지 않는다. 살아 있을 때는 체측에 무늬가 뚜렷하지 않지만 죽고나면 배쪽에 여러개의 검은 세로띠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앞쪽 등지느러미에는 15∼18개의 가시, 뒤쪽 등지느러미에는 2개의 가시와 12∼14개의 줄기가 있고, 항문 뒤의 뒷지느러미에는 2개의 가시와 13∼15개의 줄기를 갖고 있다. 등·뒷지느러미 뒤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에는 조그만 토막지느러미(등쪽 8개, 배쪽 6∼7개)가 줄지어 있다. 크기는 체장이 1.2m, 체중 20kg 정도이다.

●분포·분류
가다랑어는 고등어과(科, Scombridae), 가다랑어속(屬, Katsuwonus)에 속한다. 전 세계적으로 이 종은 가다랑어속에 한 종 밖에 없다. 그러나 가다랑어는 참다랑어속(屬, Thunnus, 참치류)·점다랑어속(屬, Euthynnus)·물치다래속(屬, Auxis) 등과 참치류의 큰 무리를 이루고 있다. 이들 종은 분류학상 속(屬)은 다르지만 서식하고 있는 해역이 거의 같고 습성도 비슷하다. 또 같은 해역에 출몰하므로 이름이 혼돈되어 쓰이기도 하는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은 몇가지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다랑어는 배쪽에 4∼10줄의 검은 세로 무늬를 갖고 있는 것과 제 2등지느러미에 2개의 가시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종은 제 2등지느러미에 가시가 없고 줄기만으로 되어 있다. 점다랑어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가슴지느러미 아래쪽 복부에 1∼7개의 흑점을 갖고 있어 유사종과 구별된다. 등쪽에는 앞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띠가 측선 위에 줄지어 있다. 물치다래는 크기가 40cm 정도로 소형종에 속하며 점다랑어와 유사하지만 복부에 점이나 띠모양 무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그림1> 참조). 이들 종과 함께 서식하고 있는 줄삼치(Sarda orientails)는 1m 정도까지 자라는 대형종(50cm급이 흔함)인데, 이 종은 등지느러미가 하나처럼 이어져 있고(D. ⅩⅠⅩ-15+7∼8) 등쪽에 6∼10개의 뚜렷한 짙은 청색의 세로띠가 줄지어 있어 다른 종과 구별된다. 제주도 부근에서 잡히는 이종은 가다랑어로 취급되기도 한다.

이 종들은 모두 온대·열대 해역에 넓게 분포하는 것이 공통된 특징이며, 우리나라에는 남해안·제주도 부근 해역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즉, 이들 종은 매우 넓은 회유로를 갖고서 세계의 따뜻한 바다에 살고 있다. 가다랑어는 물치다래·줄삼치·몽치다래 등에 비하여 외양성(外洋性)이라 할 수 있고, 북위 40도에서 남위 40도까지의 온대·열대 해역에 살고 있다.

●생태
가다랑어는 한마디로 표층 회유성 어종이다. 온대에서 열대지방까지의 넓은 대양의 표층을 날씬한 방추형 몸매로 떼를 지어 헤엄쳐 다닌다. 또 이들은 계절이 바뀌고, 성장함에 따라서 먼거리를 이동하면서 살아간다. 이처럼 넓은 대양을 회유하면서 살아가는 가다랑어는 몇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져 나름대로의 회유로를 갖고 있다. 즉, 태평양에 살고 있는 가다랑어는 ‘중동부태평양계집단’, ‘서부태평양계집단’ 등의 개체군 수준에서 이름을 붙일 수 있다.

그러나 가다랑어의 산란장은 워낙 넓은 범위의 수역이며 그에 따라 여러 집단간의 혼합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 어느 정도까지 뚜렷이 독립된 집단으로 나눌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학술적인 어려움이 많다. 가다랑어는 체장(가랑이 체장)이 40∼45cm 정도로 자라면 처음으로 산란을 한다. 한 마리가 갖는 알수는 체장 50cm급이 약 30만개, 60cm급이 약 60만개, 70cm급이 약 90만개이며 산란기간 중에 여러번에 걸쳐서 알을 낳는다. 가다랑어의 산란기는 여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겨울에도 산란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체 크기에 따라서 산란 해역의 차이가 있으며, 계절에 따라서도 산란 해역은 달라진다. 몸 크기에 따른 산란 해역을 조사한 결과 체장 40∼60cm의 소형·중형 가랑어는 북위 20도 이남의 서부 적도 해역을 중심으로 남북 태평양의 저위도 해역에서 겨울철에 완숙 개체가 발견되며, 체장 60∼80cm의 대형어는 북위 10도 이남의 저위도 해역에서 성어로 자란 가다랑어는 겨울철에 산란하지만 성장함에 따라 산란기는 점차 빨라진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가다랑어의 산란은 적도 주변의 열대 해역에서 연중 북의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에서 여름철에 발견되었다. 즉, 북위 20도 이남에서 일어나며, 아열대 수역에선 봄부터 초가을까지로 제한되고, 고위도 지방일수록 산란기는 짧아진다.

알은 분리부성란(分離浮城卵)으로 알의 지름은 0.93∼1.09mm(평균 0.98mm)이며, 무색의 유구(油球)를 한 개 갖고 있다. 수정된 알은 수온 27∼28℃ 범위에서 약 25시간만에 부화한다. 갓 부화한 새끼는 몸 길이가 2.6mm 전후로 입과 항문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배에 큰 난황을 갖고 있어 일반 넙치·참돔 등의 부화 자어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다. 부화 후 33시간 정도 지나면 난황을 거의 흡수하고 입과 항문이 발달하며 눈은 검은색을 띤다. 그후 자어는 성장함에 따라 머리부분, 특히 입이 매우 크게 발달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 양턱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줄지어 발달한다(<그림 2> 참조).

몸 길이가 1.2cm 정도 자라면 등·뒷지느러미의 가시·줄기수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기(稚魚期)가 된다. 그후 성장함에 따라 몸에 흑색점이 많이 생기고 체형도 고등어와 유사한 가늘고 긴 형으로 바뀐다. 이렇게 어린 시기에는 전 세계 열대·온대의 25℃ 등온선으로 둘러싸인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가다랑어 새끼(자어)들은 수심이 30m보다 얕은 수역에 살면서 밤에는 표층 가까이 올라왔다가 낮에는 조금 깊은 곳으로 내려가며 이러한 수직이동은 성장과 함께 그 폭이 더 커진다. 가다랑어는 참다랑어(참치)·새치류 중에서 자원량이 가장 많고 분포 수역도 가장 넓기 때문에 이들 참치·새치류의 먹이로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참치·새치류의 위속에서는 3∼70cm 크기의 가다랑어가 발견되고 있는데 가장 흔히 발견되고 있는 크기는 6∼20cm 범위의 새끼였다. 크기가 큰 어종이지만 많은 자원량을 가진 이 종이 자기보다 더 큰 참치류의 중요 먹이 생물이 되어주는 것은 지구상 모든 생태계의 먹이사슬 법칙을 잘 설명해주고 있는 듯하다.

●식성·성장
가다랑어의 성어는 멸치·날치류·전갱이류·고등어류·복어류·쥐치류·참치 새끼 등의 물고기를 가장 좋아한다. 그러나 참치류에 비해선 물고기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편이며 오징어·게·새우 등 두족류·갑각류도 많이 먹는다. 또 가다랑어는 자신의 새끼도 많이 먹는 ‘공식현상(共食現像)’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사실은 먹이 생물이 비교적 적은 밀도로 살고 있는 대양에서 ‘종족보존’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되고 있는 재미있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가다랑어는 낮에 먹이를 찾으며 밤에는 먹이를 먹지 않는다. 먹이를 먹는 시간은 일정하며 아침·저녁으로 두 번의 식사 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주기는 대상이 되는 먹이 생물의 일일 수직 이동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가다랑어의 성장은 연구자에 따라서 상당히 큰 견해 차이가 있다. 가다랑어의 나이 판정은 척추골·이석(耳石)·등지느러미 가시의 윤문(輪文)·체장 조성 등으로 하지만 이들 모두가 오차 범위가 크고 신뢰성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 4세의 가다랑어가 54∼91cm의 넓은 폭으로 나타나곤 하였다.

이에 실제 가다랑어의 몸에 표식을 달아서 방류한 다음 다시 잡아서 성장을 체크하는 방법을 시도한 결과 1살에 31∼44cm, 2살에 59∼65cm, 3살에 64∼75cm, 4살에 70∼83cm로 자란다는 보고가 있다. 무론 해역이나 개체군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낚시
물감을 타놓은 듯한 남빛 바다 위를 달리면서 화이팅 넘치는 가다랑어·줄삼치·물치다래·꼬치삼치·방어·부시리 등과 힘 겨루기를 해본 이들은 트롤링낚시의 다이나믹한 맛을 잊지 못한다. 낚시마다 멋과 맛이 따로 있는 것이지만 힘 좋고 잘 생긴 이들 무리를 노리는 낚시는 좀 투박하기는 해도 분명 색다른 매력을 갖고 있다.

트롤링 또는 끄심바리낚시는 옛부터 연안 표층성 물고기들를 노리며 해왔던 어업의 일종을 레저화 시키면서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이 낚시에 심취해 있는 동호인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개 이 종들은 남쪽에서 북상하는 대마난류(쿠로시오 해류)의 따뜻한 수온대에서 회유하므로 제주도·남해안·동해남부 해역에 많이 출몰한다.

이들은 모두 자신보다 작은 물고기들을 잡아먹기 때문에 미끼로는 전갱이·고등어·오징어·멸치 등의 생미끼나 이와 같은 모양의 인조미끼를 사용할 수 있다. 자새나 릴 장비는 대형어임을 감안하여 전문 채비로 갖추는 것이 좋다. 또 배위에서 낚시가 이루어지므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필자는 연초에 적도지방에서 ‘가쓰오바리(가다랑어 채낚)’배를 타고 점다랑어와 황다랑어(엘로우핀)를 낚아 볼 수 있었다. 산멸치와 물을 배 주의에 뿌려주면서 그곳에 모여든 다랑어·참치들을 낚싯대(통그라스롯드대)로 낚아 올리는데 70∼80cm의 소형(?)이었지만 일단 낚시에 걸면 끌어올리기도 힘들었고 방심하면 바다로 끌려 들어갈 정도의 엄청난 힘을 느낄 수 있었다. 4마리를 걸어 올렸는데 중노동을 한 것 같았다. 항구로 돌아오면서 선상에서 맛본 황다랑어·점다랑어 회맛은 일품이었다.

한가지 재미있었던 것은 우리나라 연안에서 잡히는 가다랑어는 잘못 먹으면 ‘중독증세(‘아다리’되었다고 함)’가 나타나는데 그곳 적도지방에서는 회로 먹어도 그런 일은 없다고 한다. 서식지 환경이나 먹이의 차이 때문인 것 같다. 가다랑어 중독은 얼굴이 붉게 되고 머리가 아프며 몸에 붉은 반점이 나타난다. 심하면 토하고 기절하기도 하는데 생명을 잃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또 가다랑어의 살 속엔 흰 실같은 기생충이 있기도 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이런 이유로 일본에서는 옛부터 이 가다랑어를 가공하여 ‘가쓰오부시(かつおぶし)를 만들어 우동 다시 등으로 쓰고 있었던 것 같다. 아무튼 탁 트인 바다 위에서 시속 수십km로 달려가는 대형 가다랑어와의 힘겨루기는 한번 해볼만한 ‘게임’이다.

<표> 가다랑어·점다랑어 및 물치다래 비교
구분 가다랑어 점다랑어 물치다래
속(屬) 가다랑어속(Katsuwonus) 점다랑어속(Euthynnus) 물치다래속(Auxis)
학명 K. pelamis E. affinis A. Thrazard
영명 skipjack, bonito, water melon tuna, little tuna frigate mackerel
일본명 가쓰오(カツオ) 스마(スマ) 히라소오다(ヒラソオダ)
방언 가다리·가토·여다랭이 점다랭이, 마다래, 배어기 물치, 다랭이, 무태다랑
크기 1.2m 1m 40cm
형태 · 몸이 통통하여 횡단면은 원형에 가깝다.
· 등쪽이 곤색, 배쪽은 흰백색을 띠고 있다.
· 옆구리에 4∼10줄의 흑색 세로띠가 있다(살아 있을때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 흉갑(胸甲)과 가슴지느러미 가까이에 작은 비늘을 갖고 있다.
· 양턱에만 이빨이 있다.
· 체형은 가다랑어와 닮아 있으나 몸등쪽의 청흑색의 띠가 비스듬히 그어져 있다.
· 가슴지느러미 밑에 1∼7개의 검은 점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입천장에 이빨이 있다(서골, 구개골).
· 등쪽의 무늬는 비스듬히 앞쪽으로 향한 직선이며, 제 1등지느러미 아래에서 시작된다.
· 몸은 방추형이며 횡단면은 조금 측편되어 있다.
· 체색은 등이 남청색이고, 배는 은백색이며 등쪽에는 물결무늬가 있는 타원형 부분이 있다.
· 이빨은 양턱에만 있다.
· 1, 2등지느러미의 거리가 길다.
· 배쪽에는 점이나 무늬가 없다.
지느러미식 제1등지느러미
(D1).ⅩⅤ∼ⅩⅧ
제2등지느러미
(D2).Ⅱ-13∼14+8
뒷지느러미
(A).Ⅱ-13∼15+7
D1.ⅩⅤ∼ⅩⅧ

D2.12∼13+8
(토막지느러미)
A.13+7
D1.Ⅸ∼ⅩⅠ

D2.12+8

A.13+7
분포 전 세계의 온대, 열대 해역
남해안, 제주도
전 세계의 온대, 열대 해역
남해안, 제주도
전 세계의 온대, 열대 해역
동, 남해안, 제주도

출처 -  낚시광장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자미류   (0) 2008.07.27
가시고기  (0) 2008.07.27
[바다] 보리멸   (0) 2008.07.27
[바다] 별망둑   (0) 2008.07.27
[바다] 벵에돔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