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능성어

영지니 2008. 7. 27. 22:19
능성어   
 

능성어


붉바리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능성어
●학명 : Epinephelus Septemfasiatus
●영명 : sevenband grouper
●일본명 : 마하타(マハタ)
●방언 : 아홉톤배기·아홉톤바라·능시·능생이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볼락·감성돔·우럭(조이폴락)을 노리고 배낚시를 하다보면 양태·넙치· 전갱이·고등어 등 '손님고기'를 만날 수 있다. 이러한 손님고기 중에는 실제 노리던 어종보다 맛이나 가치면에서 더 나은 종류도 있는데 '능성어'가 그 중의 하나이다. 능성어는 도미보다 더 고급 어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름
낚시 대상어로서 우리가 흔히 '능성어'라고 부르는 어종은 엄밀하게 구분하면 두 가지 종류이다. 표준명이 '능성어'인 것과 능성어란 방언을 갖고 있는 '붉바리'가 있는데 낚시인 이나 어부들은 두 종 모두를 그저 '능성어'로 통칭하고 있는 것이다.

능성어는 학명이 Epinephlzs septemfasciatzs이며 체측에 7줄의 가로무늬를 갖고 있어 영명으로는 'sevenband grouper'로 불리며, 일본명은 '마하타'(マハタ)이다. 속명인 Epinephelus는 그리스어로 <눈이 구름이 낀 것처럼 흐리다>는 뜻의 'Epinphelis'란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것은 능성어류를 대표하는 종류 중 눈에 흐릿한 막을 갖고 있는 종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학설에 의하면 속명은 <톱과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이는 능성어류의 등지느러미가 마치 톱날과 같이 되어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라 한다. 일본에서는 능성어의 종류를 '하타'(ハタ)라 하는데 능성어는 이중 '참능성어'란 뜻으로 '마하타'라고 불린다. 중석에선 '석반어' (石斑魚)라 부른다. 능성어는 남해안에서 '아홉톤배기'·'아홉톤바리'·'능시'등으로도 불린다

그러나 충무·여수를 비롯한 서남해안에서 능성어라고 불리는 종의 대부분은 실상은 붉바리이다. 붉바리는 학명이 E. akaara이며 몸에 주홍색 점이 있어 영명으로는 'red-spotted grouper'·'red grouper'로 불리며 일본명은 '기지하타'(ギジハタ), 중국명은 '적점 석반어'(赤点石斑魚), 또는 '홍점 석반어'(紅点石斑魚)이다.

●특징
능성어의 특징은 몸이 방추형이며 입이 큰 대형 육식성 어류란 점과 자식을 띤 몸에 7줄의 뚜렷 한 갈색(자갈색)가로 띠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7줄의 가로띠 중 6줄은 모두 등지느러미 기저아래에서 시작하며 복부를 향해 거의 수직으로 그어 져 있다(바바리, 붉바리의 무늬는 모두 앞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나머지 1줄의 폭넓은 가 로띠는 꼬리 자루 위에 위치하고 있다.

어릴 때 뚜렷하던 이 가로줄무늬는 나이가 들면서 차차 희미해져서 노성어(老成魚)가 되면 완전 히 소실된다. 또 이 가로무늬는 10∼15cm급에서는 매우 균일한 갈색으로 되어 있으나 점차 성장 하면 가로무늬 위에 불규칙한 모양의 휜색점이 나타나고 윤곽도 점차 희미해진다. 즉, 돌돔새끼와 마찬가지로 어릴 때는 무늬가 매우 뚜렷하여 예쁜 모습을 지니고 있다가 나이가 들면서 무늬가 희미해지게 된다.

배·뒷지느러미는 흑자 색으로 짙다. 등지느러미에는 11개의 가시(극)와 12∼18개의 줄기(연조),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7∼10개 의 주리기가 있고, 가슴지느러미에는 16∼21개의 줄기가 있다. 척추골수는 24개, 측선 위의 비늘 수는 110개이다. 90cm정도까지 자란다고 알려져 있는데, 노성어가 되면 전체적으로 흑자 색을 띠고 어린 능성어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워 마치 다른 종류처럼 보이며 크기도 1m이상의 대형이 된다.

●분포·분류
능성어과(科, Serranidae)에 속하는 낚시대상어로는 대물 낚시로 유명한 돗돔, 자바리(제주도의 '다금바리')등을 포함하여 능성어, 붉바리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고급어종이면서 대형급 어류로, 돗돔은 2m, 자바리는 1m가 넘는 것도 흔하다. 이들 능성어류는 온대 해역보다는 열대지방에 종 류가 많고 같은 종이라 할지라도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것이 대형으로 자란다. 세계적으로 전세계 에 총 320여종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서부 태평양에서 인도양에 이르는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E. dameli란 종은 초대형 능성어로서 350㎝의 기록을 갖고 있다. '능성어'란 방언으로 불려 능성어와 혼돈되고 있는 붉바리는 크기가 40∼50㎝정도로서 초대형 급 은 아니지만 낚시대상어 중에서는 비교적 큰 무리이다.

붉바리와 능성어의 가장 큰 차치점은 체측의 주홍색 반점의 유무로 능성어는 그 점이 없다. 또 체측의 가로무늬는 능성어가 7개(후두부의 불완전한 것까지 합치면 8개)로 거의 수직으로 서 있으나 붉바리는 5개(무늬가 거의 보이지 않는 개체도 있다)이고 앞쪽으로 비스듬히 누워 있다. 전체적인 체색은 능성어가 적자색, 붉바리가 적갈색이다. 이상의 차이점으로 능성어와 붉바리는 비교적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능성어와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 또 다른 종으로는 '자바리'가 있는데 이종은 제주 지방에서 '다금 바리'로 불리는 대형종으로 그 크기가 1m에 이른다. 이 종도 어린 시기에는 능성어와 유사한 가 로무늬를 갖는데 그 수가 6개로 능성어보다 적으며 머리 위의 무늬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앞으 로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바리의 무늬도 성장함에 따라 소실된다. 따라서 능성어류는 대부분 어릴 때의 모습과 노성어의 모습이 상당히 다르며 대개 어릴 때 무늬 는 성장함에 따라 소실되므로 성어의 분류형질은 되지 못한다.

●생태
능성어는 비교적 심해어로 수심 70∼120m 깊이에 주로 머물게 되는데 어릴 때에는 연안에 가까 운 암초 밭에도 머문다. 능성어는 한번 자기 자리를 찾아 정착하면 좀처럼 그 자리를 떠나지 않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거대한 능성어류들은 진주를 채취하는 작업인부들에게 상어보다 더 위험한 어류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들은 암초 그늘에 조용히 몸을 도사리고 있다가 먹이가 지나갈 때 갑자기 튀어나와 한입에 삼키는 습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종들은 실제로는 사람이 접근하여도 큰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반면 호기심이 강한 편으 로 먹이를 주면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고 접근하여 먹이를 받아먹곤 한다. 이러한 습성으로 인해 거대한 능성어류는 수족관에서 매우 인기 있는 어종으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능성어의 산란기는 5∼9월이며 어린 새끼는 연안의 암초밭에서 살며 자·치어기에는 등지느러미 의 두 번째 가시가 깊게 연장되어 있다. 붉바리의 어린 자·치어(仔稚魚) 역시 <그림 2>에서 보 는 바와 같이 두 번째 등지느러미 가시와 첫 번째 배지느러미 가시가 매우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능성어과 어류의 초기 발생단계에 나타나는 특징 중의 하나이며 유어로 성장하 는 단계에서 모두 소실된다.

능성어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능성어과 어류는 성전환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자바리는 성장함에 따라 암컷에서 수컷으로 바뀌게 된다(감성돔은 수컷에서 암컷으로 전환한다). 그러나 붉바리는 예외로서 일생동안 성전환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대부분의 능성어류는 도미류를 능가하는 고급어종으로 일본, 동남아 등지에서 양식을 시도하고 있으나 초기 생활사가 아직 뚜렷이 밝혀져 있지 않아 아직은 대부분 자연산 치어를 사용한 양식 방법을 쓰고 있다. 또 일단 알로부터 새끼를 부화시켜도 그 크기가 너무 작아 참돔, 넙치를 대상 으로 하던 지금까지의 먹이 계열로는 사육에 곤란한 점이 많아 앞으로의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 다.

●식성·성장
능성어를 포함한 능성어과 어류는 대부분 육식성 어류이다. 알에서 부화한 새끼들은 자치어를 거치면서 일반 경골어류의 초기단계와 마찬가지로 윤충·요각 류 등 소형 플랑크톤을 주먹이로 하고 있으나, 성장하면 입이 크게 발달하여 소형 어류, 게, 새우 류로부터 대형 조개 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식성을 보여 준다. 능성어류는 크기가 1∼2m에 이르는 초대형종이 많으나 정확한 성장 속도나 최대 크기에 대해서 는 자세히 밝혀져 있지 않다.

●낚시
겨울철 연안의 갯바위나 외줄 낚시를 하다보면 어린 돌돔과 같이 체측에 갈색무늬가 매우 아름다 운 손바닥 크기의 능성어를 자주 만날 수 있다. 흰색에 가까운 바탕에 적자색 가로무늬가 새겨진 모습은 예쁘지만 성장하면서 바탕색도 갈색에 가까운 색을 띠고 무늬도 희미해지기 때문에 다른 종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능성어는 큰 입으로 먹이를 단번에 삼키기 때문에 큰 낚시기법을 요하 지 않는다. 대형급은 정착성이 매우 강하므로 한번 올리는데 실패하더라도 그 자리를 꾸준히 노리면 다시 만 날 수 있는 점이 큰 매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습성은 자바리·붉바리에서도 비슷하다. 다이버들에게도 이러한 습성 때문에 인기가 있는데, 어쩌다 그들의 은신처를 침범할 때면 아가미 를 크게 벌리고 꼬리지느러미로 바닥모래를 파서 일으키는 동작으로 위협을 하므로 베테랑 다이 버들도 놀라는 일이 종종 있다고 한다. 또 능성어는 일단 낚시에 걸리면 재빨리 바닥에서 띄어야 승부에 이길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이 종류들이 바위틈 속으로 파고들면서 아가미를 벌리기 때문에 그때는 끌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데 에서 기인한 말이다.

능성어나 붉바리는 배낚시로 어렵지 않게 잡을 수 있으며 채비는 일반적인 배낚시 채비면 된다. 미끼도 그들의 식성이 육식성이므로 고등어 등어류 살토막이나 미꾸라지·갯지렁이류·오징어· 꼴뚜기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능성어는 험한 암초 밭에 머물고 있는 습성이 있으므로 채비 뜯김을 각오하고 비교적 깊은 암초 밭을 샅샅이 훑는 방법을 써야 만족스런 조과를 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바닥이나 암초밭에서 채 비가 떨어지지 않도록 배를 위치시키는 것이 기술이다. 능성어는 조사님들에게 인기가 있으나 지금까지는 기대한다고 해서 많이 잡히지는 않는 손님고기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 고급어류의 멋진 어장을 발굴하여 짜릿한 손맛과 입 맛을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해 봄직한 어종이다.

특히 남서해연안에서 능성어로 불리는 붉바리는 맛에 있어 최고급이라 할 수 있을 정도이니 한번 기대해 봄직하다. 능성어의 체성분은 가식부 100g 당 단백질이 18.8g, 지방이 1.3g, 탄수화물이 0.3g, 수분이 78.3g으 로 저 지방 고급 식품임에 틀림없다. 이 능성어류는 낚시 대상어로서 뿐만 아니라 수산 자원학적 측면에서도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 한 어류라 할 수 있다.

<표1>능성어와 붉바리의 비교
능성어 구분 붉바리
Epinephelus septem fasiatus 학명 E, akaara
sevenband grouper 영명(/TD> red-spotted grouper
마하타(マハタ) 일본명 키지하타(キジハタ)
'아홉톤배기', '아홉톤바리' 방언 '능성어'(경남, 전라남·북도)
90cm 크기 40∼50cm
·몸이 방추형이고 자색을 띤 바탕에 7줄의 갈색 가로 띠가 있다. 노성어에는 없다.(6줄의 가로띠는 등지느러미 기저에서 시작되며, 1줄은 꼬리자루에 위치)
·붉은색 점을 갖지 않는다.
·측선구멍이 뚫린 비늘 수는 64∼74개
·유문수는 7∼8개
형태 ·체형은 능서와 비슷하며 체측에 적갈색 바탕에 주홍색의 작은 점들이 산재하여 있다.(4줄의 가로 띠는 등지느러미 기저에서 시작되며 1줄은 꼬리자루 위에 있다.)
(머리에는 가로 띠가 없다)
·붉은색점(주홍색점)들이 산재한다.
·측선구멍이 뚫린 비늘수는 50∼53개
·유문수는 12∼16개
남해안, 제주도, 일본 중부이남, 대서양, 인도양, 서태평양 분포 남해안, 제주도, 일본중부이남
등지느러미 (D). ⅩⅠ, 14∼17
뒷지느러미 (A). Ⅲ, 9∼10
가슴지느러미(P). 17∼18
지느러미식 D. ⅩⅠ, 15∼17
A. Ⅲ, 8∼9
P. 17∼19
24개 척추골수 24개
110 측선비늘수 105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쌍동가리   (0) 2008.07.27
독가시치   (0) 2008.07.27
눈볼대  (0) 2008.07.27
농어  (0) 2008.07.27
노랑촉수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