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명 : 쌍동가리 ●학명 : Parapercis sexfasciata ●영명 : sand perch, saddled weever ●일본명 : 쿠라카케토라기스(クラカケトラギス) ●방언 : 아홉통가리 바다 속에 사는 물고기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장소나 생태적 특징에 따라 나름대로의 모습을 갖고 진화해 왔다. 연안의 뻘·모래 바닥에 몸을 붙이고 살아가는 종들은 습성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겉모습도 상당 부분 닮아 있다. 문절망둑류·보리멸·쌍동가리류·일곱동갈 망둑류 등을 보면 한눈에 비슷한 체형임을 알 수 있다. ●이름 쌍동가리는 몸통에 여러 개의 V자형 무늬를 갖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경남지방에선 아홉동가리라 부르기도 한다. 이종은 모래바닥에 주로 서식한다. 때문에 영어권에선 모래바닥의 농어란 뜻으로 'sand perch', 'grubfish' 등으로 부른다. 일본에선 모래바닥에 살고 있는 보리멸(ギス)을 닮았고, 얼굴에 호랑이 무늬가 있다하여 '토라기스(トラギス)'라 부른다. 영어권에서도 이 이름을 그대로 따서 'tigergisu'라 부르기도 한다. 쌍동가리의 학명은 Parapercis sexfasciata이며, 속명은 유사한(para)+농어류(percis)란 그리이스어에서 유래하였다. 종명은 '6개의 무늬를 갖고 있는 물고기'란 뜻으로 쌍동가리의 체측 무늬를 상징하고 있다. 같은 부류에 속하는 눈동미리의 종명은 pulchella로 '귀엽고 사랑스러운 물고기'란 뜻이 담겨 있다. 농어 비슷하면서 몸에 무늬를 가진 예쁜 물고기들임을 이름에서 느낄 수 있다. 과(科)명은 양동미리과(parapercidae)로 속명에서 언급했듯이 농어류와 유사한 물고기 그룹이란 뜻이다. ●특징 쌍동가리를 포함한 양동미리과 어류는 몸이 원통형이고 꼬리 쪽은 약간 측편되어 있는 공통된 체형을 갖는다. 언뜻 보면 보리멸이나 망둑어류와 흡사하다(일본에선 이러한 유사점 때문에 호랑이보리멸, 호랑이망둑으로 부른다). 하지만 보리멸보다는 주둥이가 뭉툭하고 무엇보다 몸통에 Ⅰ·Ⅴ자형 무늬를 갖고 있는 점이 큰 특징이다. 눈동자는 완전한 원형이 아니고 약간 찌그러진 타원형이다. 머리 부분에는 코발트빛 점과 노랑색 무늬 등이 있어 자세히 보면 무척 아름다운 생김새를 갖고 있다. 쌍동가리는 등쪽은 갈색, 배쪽은 분홍색을 띤 흰색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저가 길다. 등지느러미에는 5∼6개의 가시와 23개의 줄기부가 연속돼 있다. 뒷지느러미 줄기 수는 15∼17개, 배지느러미에는 1개의 가시와 5개의 줄기가 있다. 몸에는 4개의 굵고 흑갈색을 띤 V자형 무늬가 있고, 꼬리자루에는 1개의 둥근 흑점을 갖고 있는 것이 이 종의 특징이다. 반면 열쌍동가리는 몸이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주홍색을 띠며, 10개의 적갈색 막대 무늬를 갖고 있는 게 특징이다. ●분포·분류 쌍동가리는 농어목(目), 양동미리과(科, parapercidae)에 속한다. 이 과(科)에는 세계적으로 약 60여 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4종이 알려져 있다(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에는 쌍동가리·열쌍동가리를 열동가리속(屬), 동미리·눈동미리를 동미리속(屬)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 두 속(屬)은 등지느러미의 가시부와 줄기부의 연결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즉, 쌍동가리·열쌍동가리는 등지느러미 가시가 뒤쪽으로 갈수록 길어진다. 그리고 가시와 줄기가 이어지는 부분은 오목하지 않고 밋밋하게 이어진다. 하지만 동미리과 속(屬)에 속한 두 종은 등지느러미 가시들 중 가운데 가시가 길다. 따라서 가시와 줄기부가 이어지는 경계가 凹형을 띠고 있어 구분된다(<그림 1>참조). 쌍동가리는 배쪽이 약간 분홍빛 또는 옅은 자주빛을 띤 흰색이다. 몸통무늬 중 4개는 뚜렷한 V자를 띠고 있어 같은 속(屬)에 속한 열쌍동가리와 체색(주황색)과 무늬(Ⅰ자형)의 차이가 뚜렷하다. 그외 쌍동가리는 머리부분(눈 아래)에 흑갈색 가로띠를 1개 갖고 있다. 이에 반해 열쌍동가리는 머리 윗부분에 노랑색 물결 무늬를 갖는 차이점이 있다. 등지느러미 형태가 위의 두 종과는 완전히 다른 눈동미리는 머리에 푸른색의 선 무늬를 여러개 갖고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표>, <그림 1>참조). 쌍동가리는 우리나라 서·남부해에 많이 살고 있으며 남으로는 대만 연안까지 퍼져 있다. ●생태 머리 위쪽에 있는 두 눈을 이리저리 굴리면서 모래 섞인 뻘바닥에 앉아 있는 쌍동가리를 우리나라 남해 연안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는 이 종이 보리멸이나 다섯동가리 등과 같은 서식 생태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바닥에 배를 붙이고 가만히 있다가 먹이를 발견하면 조심스럽게 접근하여 이리저리 살핀 후 그냥 달겨드는 습성이 있다. 몸길이 15cm전후 되는 놈은 연안에서 흔히 발견되며 20cm가 넘는 놈도 많다. 몸길이가 10cm정도로 자라면 성숙하기 시작해 13cm급이면 모두 어미가 된다. 산란기는 정확히 조사된 바 없지만 대개 봄철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쌍동가리의 알은 분리되는 부성란으로 물의 표층에 뜬다. 지름은 0.7∼0.9mm이고 속에 한 개의 유구(油球)를 갖고 있다. 수정이 된 알은 수온 12∼17℃ 범위에서 70∼75시간만에 부화된다. 갓 부화한 새끼는 참돔이나 넙치 등의 새끼와 마찬가지로 입이나 항문이 열려있지 않고 배에 커다란 난황을 갖는 게 특징이다. 몸길이는 2.15∼2.30mm이다. 부화 당시 몸과 유구 위에만 흑색점이 나타난다. 2.5∼2.6mm 크기의 자어는 막지느러미 위에도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점이 발달한다. 이 막지느러미 위에 출현하는 무늬는 2.9mm 크기(<그림 2, D>참조)가 되면 대부분 없어진다. 대신 2.7mm 때부터는 막지느러미 가장자리에 독특한 톱니 모양의 돌기가 생긴다. 성장함에 따라 눈은 점차 기능적으로 발달하여 2.9mm크기가 되면 검은 눈을 갖게 된다. 또 난황과 유구를 흡수하면서 소화관이 굵게 발달한다. 이후 성장하면서 막지느러미의 가장자리에 발달한 톱니 모양의 돌기도 점차 소실된다. 쌍동가리가 비교적 얕은 연안까지 널리 분포하는데 비해 열쌍동가리는 비교적 수심 깊은 곳에 산다. 바닥에 조개껍질이 많이 섞인 뻘·모래 바닥을 좋아하며 수심 100∼150m 되는 곳에도 널리 분포한다. 우리나라 남해안 수심 50∼100m 정도 깊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 크기는 20cm 전후이다. 이종의 생태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나 산란기는 여름철인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가 약 10cm정도면 산란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자연계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많아 수컷이 약 75%로 포획되고 있다. 크기도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큰 편이다. ●성장·식성 쌍동가리는 바닥에 사는 종답게 먹이를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 대개 새우류·갯지렁이류·어류 등이 그 대상이 된다. 쌍동가리의 위 내용물 분석 결과, 특히 새우를 많이 먹으며 물고기 종류는 그다지 많이 먹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먹이에 대한 집착력이 강한 편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주변 해역의 생물상에 따라 먹이 생물에 대한 선호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성장에 대한 자료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지만 연안에서 어획되는 크기로 미루어 생후 1년이면 7∼10cm정도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낚시 낚시 대상이 되는 어종들을 보면 생김새나 생리·생태적 특징에 따라 각각의 별명이 붙여져 있다. 쌍동가리처럼 바닥에 몸을 붙이고 살아가는 보리멸은 모래바닥에 산다. 특히 여름 해수욕장에서 쉽게 낚을 수 있어 '백사장의 미녀'라 불린다. 한편 망둥어는 맛이 좋아 부산·경남지방에선 '꼬시래기'라 부르기도 한다. 만약 쌍동가리에 별명을 짓는다면 '모래뻘 바닥의 귀족'이라 해 두고 싶다. 적당히 통통하면서도 늘씬한 몸매, 코발트빛이 감도는 눈 아래의 점, 머리부분이 화려한 노랑색 무늬와 점 등이 어우러져 지저분한 뻘바닥에서도 귀족처럼 위엄을 잃지 않기 때문이다. 생태에서 언급했듯 쌍동가리는 남해안에서 동중국해에 이르는 넓은 수역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바닥 고기다. 따라서 저인망 어선에 의해 다량 포획되곤 한다. 연안에서 배를 타고 감성돔·도다리·가자미 등을 낚다 보면 종종 만날 수 있는 종이 쌍동가리다. 하지만 수산어종으로 널리 알려진 종이 아니기에 낚시꾼들은 잡어로 취급해왔다. 필자 역시 이 종을 경남지방 연안 낚시에서 종종 만날 수 있었다. 경험에 미루어 보면 이 종은 지렁이·새우 등 일반 낚시 미끼를 가리지 않고 먹는다. 식성 또한 강하기에 누구나 쉽게 낚을 수 있다. 다이빙을 해보면 수심 8∼20m의 모래 뻘 바닥에 상당량 서식하고 있다. 워낙 잠잖아서 수중 사진을 위한 모델로도 훌륭한 자질을 갖추고 있다. 쌍동가리는 잘생긴 외모와 함께 또 한가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입맛이다. 배낚시에서 낚은 이 종을 횟거리로 장만하면 딴 종에선 느낄 수 없는 매력이 두 가지 있다. 첫째, 보리멸처럼 크기가 적당하고 피부가 미끄럽지 않아 손에 쥐고 수월하게 회를 장만할 수 있다(베도라치처럼 가시를 갖고 있으면서 미끄러우면 아무리 맛이 있어도 회를 장만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하얗고 단단하면서 쫄깃쫄깃하다. 소금구이도 일품이다. 이종을 낚으면 잡어 취급하던 꾼들에게 한번 권하고 싶다. 한편, 남해안에서 배를 타고 수심 30∼50m 깊이의 바닥을 노리고 외줄낚시를 하다보면 열쌍동가리를 가끔 만나게 된다. 그 어둡고 깊은 바다 속에 이렇게 아름다운 색을 가진 고기가 있을까 할 정도로 외모의 화려함에 놀라게 된다. 왜 그토록 아름다운 색이 그곳에서 필요했을까 하고 의문을 가지기도 한다. 아무튼 이번에 소개된 이 종들은 얼핏보면 가치없는 잡어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어떤 관상어보다 예쁘다. 또 고급 수산어종은 아니지만 나름대로의 매력을 가득 갖고 있는 물고기임을 느낄 수 있다. <표>쌍동가리류의 비교
|
출처 : | 일 묵 [一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