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서적 , 역사서

삼국유사 - 15

영지니 2008. 1. 13. 20:36
영재우적(永才遇賊)

중 영재(永才)는 성품이 익살스럽고 재물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향가(鄕歌)를 잘했다. 만년에 장차 남악(南岳)에 은거하려고 대현령(大峴嶺)에 이르렀을 때 도둑 60여 명을 만났다. 도둑들이 그를 해치려 했으나 영재는 칼날 앞에 섰어도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이 화기롭게 대하였다. 도둑들이 이상히 여겨 그 이름을 물으니 영재라고 대답했다. 도둑들이 평소에 그 이름을 들었으므로 이에 노래를 짓게 했다. 그 가사는 이러하다.

제 마음에 형상(形相)을 모르려 하던 날,
멀리 ??[원문에 없는 글자] 지나치고 이제는 숨어서 가고 있네,
오직 그릇된 파계주(破戒主)를 두려워할 짓에 다시 또 돌아가리.
이 칼날이 지나고 나면 좋을 날이 오리니,
아아, 오직 요만한 선(善)은 새 집이 되지 않으리.

도둑들은 그 노래에 감동되어 비단 2필을 그에게 주니 영재는 웃으면서 사양하여 말했다. "재물이 지옥에 가는 근본임을 알고 장차 궁벽한 산중으로 피해 가서 일생을 보내려 하는데 어찌 감히 이것을 받겠는가." 이에 땅에 던지니 도둑들은 다시 그 말에 감동되어 가졌던 칼과 창을 버리고 머리를 깍고 영재의 제자가 되어 함께 지리산(智異山)에 숨어 다시는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영재의 나이 거의 90살이었으니 원성대왕(元聖大王)의 시대이다.

찬(讚)해 말한다.

지팡이 짚고 산으로 돌아가니 뜻이 한결 깊은데,
비단의 구슬인들 어찌 마음 다스리랴.
녹림(綠林)의 군자(君子)들아 그런 것 주지 말라.
지옥은 다름아닌 재물이 근원이네.


물계자(勿稽子).

제 10대 내해왕(柰解王)이 즉위한 지 17년(임진壬辰)에 보라국(保羅國)ㆍ고자국(古自國; 지금의 고성固城)ㆍ사물국(史勿國; 지금의 사주泗州) 등 여덟 나라가 합세해서 변경을 침범해 왔다. 왕은 태자 나음(내音)과 장군 일벌(一伐) 등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이를 막게 하니 여덟 나라가 모두 항복했는데 이때 물계자(勿稽子)의 군공(軍功)이 제일이었다. 그러나 태자에게 미움을 받아 그 상을 받지 못했다. 어떤 사람이 물계자에게, "이번 싸움의 공은 오직 당신뿐인데, 상은 당신에게 미치지 않았으니 태자가 그대를 미워함을 그대는 원망하는가"하고 묻자, 물계자는 대답하기를, "나라의 임금이 위에 계신데 인신(人臣)인 태자를 어찌 원망하겠소"하니 그 사람이 "그렇다면 이 일을 왕에게 아뢰는 것이 옳지 않겠소"하니, 그는 말하기를, "공을 자랑하고 이름을 다투며 자기를 나타내고 남을 가리는 것은 지사(志士)의 할 바가 아니오. 힘써 때를 기다릴 뿐이오"하였다.

20년 을미(乙未)에 골포국(骨浦國; 지금의 합포合浦) 등 세 나라 왕이 각기 군사를 이끌고 와서 갈화(竭火; 굴불屈弗인 듯하니 지금의 울주蔚州)를 침범하자 왕이 친히 군사를 거느려 이를 막으니 세 나라가 모두 패했다. 물계자가 죽인 적병이 수십 급이었으나 사람들은 그의 공을 말하지 않았다. 물계자는 그 아내에게 말했다. "내 들으니 임금을 섬기는 도리는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치고, 환란을 당해서는 몸을 잊어버리며, 절의(節義)를 지켜 사생(死生)을 돌보지 않는 것을 충이라 하였소. 보라(保羅; 발나發羅인 듯 하니 지금의 나주羅州)와 갈화(竭火)의 싸움은 진실로 나라의 환란이었고 임금의 위태로움이었소. 그러나 나는 일찍이 자기 몸을 잊고 목숨을 바치는 용맹이 없었으니 이것은 불충(不忠)하기 이를 데 없는 것이오. 이미 불충으로써 임금을 섬겨 그 누(累)가 아버님께 미쳤으니 어찌 효라 할 수 있겠소." 이에 머리를 풀어헤치고 거문고를 메고서 사체산(師체山; 미양未洋)에 들어갔다. 그리고는 대나무의 곧은 성벽(性癖)을 슬퍼하고 그것에 비유하여 노래를 짓고, 흐르는 시냇물 소리에 비겨서 거문고를 타고 곡조를 짓고 하였다. 그 곳에 숨어 살면서 다시는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영여사(迎如師)

실제사(實際寺)의 중 영여(迎如)는 그 족속과 성씨가 자세치 못하나 덕(德)과 행실(行實)이 모두 높았다. 경덕왕(景德王)이 그를 맞아 공양을 드리려고 사자를 보내서 부르니, 영여는 대궐 안에 들어가 재를 마치고는 돌아가려 했다. 왕은 사자를 시켜 그를 절에까지 모시고 가도록 했다. 그는 절 문에 들어서자 즉시 숨어 버려 있는 곳을 알 수가 없었다. 사자가 와서 아뢰니 왕은 이상히 생각하고 그를 국사(國師)에 추봉(追封)했다. 그 뒤로 또한 다시는 세상에 나오지 않았는데 지금도 그 절을 국사방(國師房)이라고 부른다.



포천산(布川山) 5비구(五比丘) 경덕왕대(景德王代)

삽량주(삽良州)의 동북쪽 20리 가량 되는 곳에 포천산(布川山)이 있는데 석굴(石窟)이 기이하고 빼어나 마치 사람이 깍아 만든 것 같았다. 성명이 자세치 않은 다섯 비구(比丘)가 있었는데 여기에 와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외면서 서방정토(西方淨土)를 구하기 몇십 년에 홀연히 성중(聖衆)이 서쪽으로부터 와서 그들을 맞이했다. 이에 다섯 비구가 각기 연화대에 앉아 하늘로 날아 올라가다가 통도사(通度寺) 문밖에 이르러 머물러 있는데 하늘의 음악이 간간이 들려 왔다. 절의 중이 나와 보니 다섯 비구는 무상고공(無常苦空)의 이치를 설명하고 유해를 벗어 버리더니 큰 광명을 내비치면서 서쪽으로 가는 것이었다. 그들이 유해를 버린 곳에 절의 중이 정자(亭子)를 짓고 이름을 치루(置樓)라 했으니, 지금도 남아있다.



염불사(念佛師)

남산(南山) 동쪽 산기슭에 피리촌(避里村)이 있고, 그 마을에 절이 있는데 피리사(避里寺)라 했다. 그 절에 이상한 중이 있었는데 성명은 말하지 않았다. 항상 아미타불을 외어 그 소리가 성(城) 안에까지 들려서 360방(坊) 17만호(萬戶)에서 그 소리를 듣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소리는 높고 낮음이 없이 낭랑하기 한결같았다. 이로써 그를 이상히 여겨 공경치 않는 이가 없었고, 모두 그를 염불사(念佛師)라 불렀다. 그가 죽은 뒤에 소상(塑像)을 만들어 민장사(敏藏寺) 안에 모시고 그가 본래 살던 피리사를 염불사로 이름을 고쳤다.
이 절 옆에 또 절이 있는데 이름을 양피사(讓避寺)라 했으니 마을 이름을 따서 얻은 이름이다.

                                                           ****


                                                     삼국유사 제 5권


효선 제 9
효선(孝善) 제9




진정사(眞定師) 효선쌍미(孝善雙美)

법사(法師) 진정(眞定)은 신라 사람이다. 속인(俗人)으로 있을 때 군대에 예속되어 있었는데 집이 가난해서 장가를 들지 못했다. 군대 복역의 여가에는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서 홀어머니를 봉양했는데 집안의 재산이라고는 오지 다리 부러진 솥 하나뿐이었다. 어느날 중이 문간에 와서 절을 지을 쇠붙이를 구하므로 어머니가 솥을 시주했는데 이윽고 진정이 밖에서 돌아오자 어머니는 그 사실을 말하고 또한 아들의 생각이 어떤가를 살피니, 진정이 기쁜 안색을 나타내며 말했다.
"불사(佛事)에 시주하는 것이 얼마나 좋은 일입니까. 비록 솥이 없더라도 무엇이 걱정이 되겠습니까." 이에 와분(瓦盆)을 솥으로 삼아 음식을 익혀 어머니를 봉양했다.

일찍이 군대에 있을 때 사람들이 의상법사(義湘法師)가 태백산맥에서 설법(說法)을 하여 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말을 듣고 금시에 사모하는 마음이 생겨 어머니께 고했다. "효도를 마친 뒤에는 의상법사에게 가서 머리 깍고 도를 배우겠습니다." 어머니는 말했다. "불법(佛法)은 만나기 어렵고, 인생(人生)은 너무나 빠른 것이니, 효도를 마친 후라면 또한 늦지 않겠느냐. 그러니 어찌 내 죽기 전에 네가 불도(佛道)를 아는 것만 하겠느냐. 주저하지 말고 빨리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진정은, "어머님 만년에 오직 제가 옆에 있을 뿐이온데 어찌 버리고 출가할 수 있겠습니까"했다. 어머니는 "아! 나를 위해서 출가를 하지 못한다면 나를 지옥에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 비록 생전에 삼뢰칠정(三牢七鼎)으로 나를 봉양하더라도 어찌 가히 효도가 되겠느냐. 나는 의식(衣食)을 남의 문간에서 얻더라도 또한 가히 천수(天壽)를 누릴 것이니 꼭 내게 효도를 하고자 하면 네 말을 말라"고 하였다. 진정은 오랫동안 깊이 생각하는데 어머니가 즉시 일어나서 쌀자루를 모두 털어 보니 쌀 일곱 되가 있었다. 그날 이 쌀로 밥을 짓고서 어머니는 말했다. "네가 밥을 지어 먹으면서 가자면 더딜까 두려우니 마땅히 내 눈앞에서 그 한 되 밥을 먹고 엿 되 밥은 싸 가지고 빨리 떠나거라." 진정은 흐느껴 울면서 굳이 사양하며 말했다. "어머님을 버리고 출가함이 그 또한 자식된 자로 차마 하기 어려운 일이거늘, 하물며 며칠 동안의 미음거리까지 모두 싸 가지고 떠난다면 천지가 저를 무엇이라고 하겠습니까." 세 번 사양했으나 어머니는 세 번 권했다. 진정은 그 뜻을 어기기 어려워서 길을 떠나 밤낮으로 3일 만에 태백산에 이르러 의상에게 의탁하여 머리 깍고 제자가 되어 이름을 진정이라 했다. 3년 후 어머니의 부고가 오자 진정(眞定)은 가부좌(跏趺坐)를 하고 선정(禪定)에 들어가 7일 만에 나왔다.

설명하는 이는 말하기를 "추모와 슬픔이 지극하여 거의 견딜 수 없었으므로 정수(定水)로써 슬픔을 씻은 것이다"했다. 혹은 "선정(禪定)으로써 어머니께서 사시는 곳을 관찰하였다"고도 하고, 또 어떤 이는, "이것은 실리(實理)와 같이 해서 명복을 빈 것이다"하였다.
선정(禪定)을 하고 나온 뒤에 그 일을 의상(義湘)에게 고하니 의상은 문도(門徒)를 거느리고 소백산 추동(錐洞)에 가서 초가를 짓고 제자의 무리 3천 명을 모아 약 90일 동안 화엄대전(華嚴大典)을 강론했다. 강론하는 데 따라 문인(門人) 지통(智通)이 그 요지를 뽑아 책 두 권을 만들고 이름을 <추동기(錐洞記)>라 하여 세상에 널리 폈다. 강론을 다 마치고 나니 그 어머니가 꿈에 나타나서 말했다. "나는 이미 하늘에 환생하였다."


대성(大城) 효2세부모(孝二世父母) 신문왕대(神文王代)

모량리(牟梁里; 혹은 정운촌淨雲村이라고도 쓴다)의 가난한 여인 경조(慶祖)에게 아이가 있었는데 머리가 크고 정수리가 평평하여 성(城)과 같았으므로 이름을 대성(大城)이라 했다. 집이 군색하여 살아갈 수가 없어 부자 복안(福安)의 집에 가서 품팔이를 하고, 그 집에서 약간의 밭을 얻어 의식의 자료로 삼았다. 이때 개사(開士) 점개(漸開)가 육륜회(六輪會)를 흥륜사(興輪寺)에서 배풀고자하여 복안의 집에 가서 보시(布施)할 것을 권하니, 복안은 베 50필을 보시하므로 점개는 주문(呪文)을 읽어 축원했다. "단월(檀越)이 보시(布施)하기를 좋아하니 천신(天神)이 항상 지켜 주실 것이며, 한 가지를 보시하면 1만 배를 얻게 되는 것이니 안락하고 수명 장수하게 될 것입니다." 대성이 듣고 뛰어 들어가 그 어미에게 말했다. "제가 문간에 온 스님이 외는 소리를 들었는데 한 가지를 보시하면 1만 배를 얻는다고 합니다. 생각건대 저는 숙선(宿善)이 없어 지금 와서 곤궁한 것이니 이제 또 보시하지 않는다면 내세(來世)에는 더욱 구차할 것입니다. 제가 고용살이로 얻은 밭을 법회(法會)에 보시해서 뒷날의 응보(應報)를 도모하면 어떻겠습니까." 어머니도 좋다고 하므로, 이에 밭을 점개에게 보시했다.

얼마 지나지 아니하여 대성은 세상을 떠났는데 이날 밤 국상(國相) 김문량(金文亮)의 집에 하늘의 외침이 있었다. "모량리 대성이란 아이가 지금 네 집에 태어날 것이다." 집 사람들이 매우 놀라 사람을 시켜 모량리를 조사하게 하니, 대성(大城)이 과연 죽었는데 그날 하늘에서 외치던 때와 같았다. 김문량의 아내는 임신해서 아이를 낳았는데 왼손을 꼭 쥐고 있다가 7일 만에야 폈는데 대성(大城) 두 자를 새긴 금간자(金簡子)가 있었으므로 다시 이름을 대성이라 하고, 그 어미를 집에 모셔 와서 함께 봉양했다.

이미 장성하자 사냥하기를 좋아하더니 어느날 토함산(吐含山)에 올라가 곰 한 마리를 잡고 산 밑 마을에서 잤다. 꿈에 곰이 변해서 귀신이 되어 시비를 걸며 말했다. "네 어찌하여 나를 죽였느냐. 내가 환생하여 너를 잡아먹겠다." 대성이 두려워서 용서해 달라고 청하니 귀신은, "네가 나를 위하여 절을 세워 주겠느냐"하고 말했다. 대성은 그러마고 약속했는데 꿈을 깨자 땀이 흘러 자리를 적셨다.

그 후로는 들에서 사냥하는 것을 금하고 곰을 잡은 자리에 곰을 위해서 장수사(長壽寺)를 세웠다. 그로 인해 마음에 감동되는 바 있어 자비의 원(願)이 더욱 더해 갔다. 이에 이승의 양친을 위해 불국사(佛國寺)를 세우고,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불사(石佛寺)를 세우고, 신림(神琳)ㆍ표훈(表訓) 두 성사(聖師)를 청하여 각각 살게 했다. 아름답고 큰 불상을 설치하여 부모의 양육한 수고를 갚았으니 한몸으로 전세와 현세의 두 부모에게 효도한 것은 옛적에도 또한 드문 일이었다. 그러니 착한 보시의 영험을 가히 믿지 않겠는가.

장차 석불(石佛)을 조각하고자 하여 큰 돌 하나를 다듬어 감개(龕蓋)를 만드는데 돌이 갑자기 세 조각으로 갈라졌다. 대성이 분하게 여기다가 어렴풋이 졸았는데 밤중에 천신(天神)이 내려와 다 만들어 놓고 돌아갔으므로 대성은 자리에서 일어나 남쪽 고개로 급히 달려가 향나무를 태워 천신을 공양했다. 그래서 그 곳의 이름을 향령(香嶺)이라고 했다. 불국사의 운제(雲梯)와 석탑은 돌과 나무에 조각한 기공(技工)이 동도(東都)의 여러 절 가운데서도 이보다 나은 것이 없다.

옛 향전(鄕傳)에 실려 있는 것은 이상과 같다. 그러나 절 안의 기록에는 이렇다. "경덕왕(景德王) 때에 대상(大相) 대성(大城)이 천보(天寶) 10년 신묘(辛卯)에 불국사를 짓기 시작했다. 혜공왕(惠恭王) 때를 거쳐 대력(大歷) 9년 갑인(甲寅) 12월 2일에 대성이 죽자, 나라에서 이를 완성시켰다. 처음에 유가교(瑜跏敎)의 고승(高僧) 항마(降魔)를 청해다가 이 절에 거주하게 했고 이를 계승해서 지금에 이르렀다." 이렇게 고전(古傳)과 같지 않으니 어느 것이 옳은 것인지 알 수 없다.

찬(讚)해 말한다.

모량(牟梁)에 봄이 지니 삼무(三畝)의 밭을 보시하고,
향령(香嶺)에 가을이 오니 만금(萬金)을 거두었다.
어머니는 백 년 사이 가난과 부귀(富貴)를 겪었는데,
귀정(槐庭)은 한 꿈 사이에 이세(二世)를 오갔구나.


향득사지(向得舍知) 할고공친(割股供親) 경덕왕대(景德王代)

웅천주(熊川州)에 향득(向得)이란 사지(舍知)가 있었다. 흉년이 들어 그 아버지가 거의 굶어 죽게 되자 항득은 다리의 살을 베어 봉양했다. 고을 사람들이 이 사실을 자세히 상주(上奏)하자 경덕왕(景德王)은 곡식 500석을 상으로 하사했다.


손순매아(孫順埋兒) 흥덕왕대(興德王代)

손순(孫順; 고본古本에는 손순孫舜이라고 했다)은 모량리(牟梁里) 사림이니 아버지는 학산(鶴山)이다. 아버지가 죽자 아내와 함께 남의 집에 품을 팔아 양식을 얻어 늙은 어머니를 봉양했는데 어머니의 이름은 운오(運烏)였다. 손순에게는 어린 아이가 있었는데 항상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으니, 손순은 민망히 여겨 그 아내에게 말했다. "아이는 다시 얻을 수가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구하기 어렵소. 그런데 아이가 어머님의 음식을 빼앗아 먹어서 어머님은 굶주림이 심하시니 이 아이를 땅에 묻어서 어머님 배를 부르게 해드려야 겠소." 이에 아이를 업고 취산(醉山; 이산은 모량리牟梁里 서북쪽에 있다) 북쪽 들에 가서 땅을 파다가 이상한 석종(石鐘)을 얻었다. 부부는 놀라고 괴이히 여겨 잠깐 나무 위에 걸어 놓고 시험삼아 두드렸더니 그 소리가 은은해서 들을 만하다.

아내가 말했다. "이상한 물건을 얻은 것은 필경 이 아이의 복인 듯싶습니다. 그러니 이 아이를 묻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남편도 이 말을 옳게 여겨 아이와 석종(石鐘)을 지고 집으로 돌아와서 종을 들보에 매달고 두드렸더니 그 소리가 대궐까지 들렸다.

흥덕왕(興德王)이 이 소리를 듣고 좌우를 보고 말했다. "서쪽 들에서 이상한 종소리가 나는데 맑고도 멀리 들리는 것이 보통 종소리가 아니니 빨리 가서 조사해 보라." 왕의 사자(使者)가 그 집에 가서 조사해 보고 그 사실을 자세히 아뢰니 왕은 말했다. "옛날 곽거(郭巨)가 아들을 땅에 묻자 하늘에서 금솥을 내렸더니, 이번에는 손순이 그 아이를 묻자 땅 속에서 석종이 솟아나왔으니 전세(前世)의 효도와 후세의 효도를 천지가 함께 보시는 것이로구나." 이에 집 한 채를 내리고 해마다 벼 50석을 주어 순후한 효성을 숭상했다. 이에 손순은 예전에 살던 집을 희사해서 절로 삼아 홍효사(弘孝寺)라 하고 석종을 모셔 두었다.
진성왕(眞聖王) 때에 후백제의 횡포한 도둑이 그 마을에 쳐들어와서 종은 없어지고 절만 남아 있다. 그 종은 얻은 땅을 완호평(完乎坪)이라 했는데 지금은 잘못 전하여 지량평(枝良坪)이라고 한다.



빈녀양모(貧女養母)

효종랑(孝宗郞)이 남산(南山) 포석정(포石亭; 혹은 삼화술三花述이라고도 했다)에서 놀고자 하자 문객(門客)들이 모두 급히 달려왔으나, 오직 두 사람만이 뒤늦게 오므로 효종랑이 그 까닭을 물으니 그들이 대답했다. "분황사(芬皇寺) 동쪽 마을에 여인이 있는데 나이는 20세 안팎이었습니다. 그는 눈이 먼 어머니를 껴안고 서로 통곡하므로 같은 마을 사람에게 그 까닭을 물으니, 말하기를 '이 여자는 집이 가난해서 빌어다가 어머니를 봉양한 지가 이제 여러 해가 되었는데 마침 흉년이 들어 걸식해다가 살리기도 어렵게 되어 이에 남의 집에 가서 품을 팔아 곡식 30석을 얻어서 주인집에 맡겨 놓고 일을 해왔습니다. 날이 저물면 쌀을 가지고 집에 와서 밥을 지어 먹고 어머니와 같이 잠을 자고, 새벽이면 주인 집에 가서 일을 했습니다. 이렇게 한 지 며칠이 되었는데 그 어머니가 말하기를 전일에 강비(糠粃)를 먹을 때는 마음이 편하더니 요새 쌀밥을 먹으니 창자를 찌르는 것 같아 마음이 편안치 못하니 어찌된 일이냐고 했습니다. 그 여인이 사실대로 말했더니 어머니는 통곡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여인은 자기가 다만 어머니의 구복(口腹)의 봉양만을 하고 색난(色難)을 하지 못함을 탄식하여 서로 껴안고 울고 있는 것이요'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구경하느라고 이렇게 늦었습니다." 효종랑은 이 말을 듣고 측은해하여 곡식 100석을 보냈다. 낭의 부모도 또한 옷 한 벌을 보냈으며, 수많은 낭(郎)의 무리들도 곡식 1,000석을 거두어 보내주었다.

이 일이 왕에게 알려지자 그 때 진성왕(眞聖王)은 곡식 500석과 집 한 채를 내려 주고 또 군사들을 보내서 그 집을 호위해서 도둑을 막도록 했다. 또 그 마을을 표창해서 효양리(孝養里)라 했다. 그 뒤에 그 집을 희사해서 절을 삼고 양존사(兩尊寺)라 했다.


삼국유사



발문



발문(跋文)

우리 동방 삼국(三國)의 본사(本史)나 유사(遺事) 두 책이 딴 곳에서는 간행된 것이 없고 오직 본부(本府)에만 있었다. 세월이 오래 되매 완결(완缺)되어 한 줄에 알아볼 수 있는 것이 겨우 4, 5 자밖에 되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건대, 선비가 이 세상에 나서 여러 역사책을 두루 보고 천하의 치란(治亂)과 흥망(興亡), 그리고 모든 이상한 사적에 대해서 오히려 그 견식을 넓히려 하는 것인데, 하물며 이 나라에 살면서 그 나라의 일을 알지 못해서야 되겠는가?

이에 이 책을 다시 간행하려 하여 완본(完本)을 널리 구하기를 몇 해가 되어도 이를 얻지 못했다. 그것은 일찍이 이 책이 세상에 드물게 유포되어 사람들이 쉽게 얻어 보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지금 이것을 고쳐 간행하지 않는다면 장차 실전(失傳)되어 동방의 지나간 역사를 후학(後學)들이 마침내 들어 알 수가 없게 될 것이니 실로 탄식할 일이다. 다행히 사문(斯文) 성주목사(星州牧使) 권공(權公) 주(輳)가, 내가 이 책을 구한다는 말을 듣고, 완본(完本)을 구해 얻어서 나에게 보냈다. 나는 이것을 기쁘게 받아 감사(監司) 안상국(安相國) 당(당)과 도사(都事) 박후전(朴候佺)에게 이 소식을 자세히 알렸더니 이들은 모두 좋다고 했다. 이에 이것을 여러 고을에 나누어 간행시켜서 본부(本府)에 갖다가 간직해 두게 했다.

아아! 물건이란 오래 되면 반드시 폐해지고 폐해지면 반드시 일어나게 마련이다. 이렇게 일어났다가 폐해지고 폐해졌다가는 다시 일어나게 되는 것이 바로 이치의 떳떳한 바이다. 이치의 떳떳함으로 일어날 때가 있는 것을 알고 그 전하는 것을 영구하게 해서 또한 후세의 배우는 자들에게 배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황명(皇明) 정덕(正德) 임신(任申) 계동(季冬)에 부윤(府尹)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 가선대부(嘉善大夫) 경주진병마절제사(慶州鎭兵馬節制使) 전평군(全平君) 이계복(李繼福)은 삼가 발문을 씀.

내용출처 : [기타] 인터넷 : http://bluecabin.com.ne.kr


'고 서적 , 역사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연과 《삼국유사》   (0) 2008.01.13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0) 2008.01.13
삼국유사 - 14   (0) 2008.01.13
삼국유사 - 13   (0) 2008.01.13
삼국유사 - 12   (0) 2008.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