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자료

음양오행으로 보는 나의 인체

영지니 2007. 3. 11. 23:33
 
인체(人體)는 내장(內臟) 상호간(相互間)에서만 아니고, 내장(內臟)과 지(肢), 체(體), 오관칠규(五官七竅)의 사이에도 협조통일(協調統一)되어 있다. 동시에 내장은 대개 외계환경(外界環境)의 변화에도 적응합니다.
 
사계(四季)의 이상기후(異常氣候)는 오장(五臟)을 상(傷)하게 한다.
간(肝)은 춘계(春季)와 통(通)하고, 목기(木氣)가 왕성한 절기입니다.
심(心)은 하계(夏季)와 통(通)하고, 화기(火氣)가 왕성한 절기입니다.
비(脾)는 장하(長夏)와 통(通)하고, 토기(土氣)가 왕성한 절기입니다.
폐(肺)는 추계(秋季)와 통(通)하고, 금기(金氣)가 왕성한 절기입니다.
신(腎)은 동계(冬季)와 통(通)하고, 수기(水氣)가 왕성한 절기입니다.
 
이것은 내장(內臟)과 사계(四季)의 기후전변(氣後轉變)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입니다.
인간생활은 대자연 속에서 생명활동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계절의 기후변화에 순응함으로서 건강을 보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사계절의 기후변화에 순응하지 못하고, 정기(精氣)가 부족하면 육음병사(六淫病邪), 즉 한사(寒邪), 풍사(風邪), 습사(濕邪), 조사(燥邪), 서사(暑邪), 열사(熱邪)가 내장(內臟)에 침습(侵襲)하여 병변(病變)을 일으키게 됩니다.
 
「소문(素問)의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는‥‥‥
춘(春)에 풍(風)에 상(傷)하여 사기(邪氣)가 장류(長留)하면 설사(泄瀉)가 된다.
하(夏)에 서(暑)에 상(傷)하면 추(秋)에 학질( 疾)이 된다.
추(秋)에 습(濕)에 상(傷)하면 상역(上逆)해서 해(咳)가 되고 외발(外發)하여 수족(手足)이 위궐( 厥)한다.
동(冬)에 한(寒)에 상(傷)하면 반드시 온병(溫病)이 됩니다.
 
 
 
목(木) = 근(筋) : 힘줄의 병,
화(火) = 오장(五臟) : 내장의 병,
토(土) = 설본(舌本) : 혀끝의 감각,
금(金) = 견(肩) : 어깨 병,
수(水) = 계(谿) : 뼈마디, 뼈 사이의 병.
 
 
 
계(鷄) : 닭,  양(羊) : 양,  우(牛) : 소,  마(馬) : 말,   돈(豚) : 돼지.

간(肝) = 계(鷄) : 간허(肝虛)에 좋다.
심(心) = 양(羊) : 심허(心虛)에 좋다.
비(脾) = 우(牛) : 비허(脾虛)에 좋다.
폐(肺) = 마(馬) : 폐허(肺虛)에 좋다.
신(腎) = 돈(豚) : 신허(腎虛)에 좋다.
 
 
 
맥(麥) : 보리,   서(黍) : 기장(수수),    직(稷) : 피· 메기장,   도(稻) : 벼,    두(豆) : 콩.

간(肝) = 맥(麥)(보리) : 간허(肝虛)에 좋다.
심(心) = 서(黍)(수수) : 심허(心虛)에 좋다.
비(脾) = 직(稷)(피·메기장) : 비허(脾虛)에 좋다.
폐(肺) = 도(稻)(벼) : 폐허(肺虛)에 좋다.
신(腎) = 두(豆)(콩) : 신허(腎虛)에 좋다.
 
 
 
간(肝) : 3 · 8 - 목(木),   심(心) : 2 · 7 -화(火),   비(脾) : 5 · 10 - 토(土),   폐(肺) : 4 · 9 -금(金),   신(腎) : 1 · 6 - 수(水).
 
 
 
간(肝) = 조( ) : 누린내 - 간실(肝實)자는 싫어하고 조취( 臭)를 풍긴다.
                                       간허(肝虛)자는 좋아한다.
심(心) = 초(焦) : 불냄새 - 심실(心實)자는 싫어하고 초취(焦臭)를 풍긴다.
                                      심허(心虛)자는 좋아한다.
비(脾) = 향(香) : 향기 - 비실(脾實)자는 싫어하고 향취(香臭)를 풍긴다.
                                   비허(脾虛)자는 좋아한다.
폐(肺) = 성(腥) : 비린내 - 폐실(肺實)자는 싫어하고 성취(腥臭)를 풍긴다.
                                      폐허(肺虛)자는 좋아한다.
신(腎) = 부(腐) : 썩는 냄새 - 신실(腎實)자는 싫어하고 부취(腐臭)를 풍긴다.
                                          신허(腎虛)자는 좋아한다.
 

 

 

 

[출처;우인]


'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찹쌀 이야기  (0) 2007.03.18
쑥뜸   (0) 2007.03.12
신경통에 효과적인 솔잎욕   (0) 2007.03.11
이럴때... 이런 허브   (0) 2007.03.11
새치 공포증  (0) 2007.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