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바다] 임연수어

영지니 2008. 7. 27. 20:32
   임연수어   
 

임연수어


쥐노래미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임연수어
●방언 : 이면수어·이면수·이민수·새치(강릉)·새끼를 일컬어 청새치
●學名 : Pleurogrammus azonus
●英名 : Atka mackerel
●日名 : 홋케(ホツケ)

※유사어종
●표준명 : 쥐노래미
●방언 : 게르치·노래미·돌삼치
●學名 : hexagrammos Otkii
●英名 : Greenling, Rock trout
●日名 : 아이나메(アイナメ)

겨울철 찬바람에 물보라가 날리는 동해안에서 옛부터 기막힌 맛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갖고 있는 물고기를 만날 수 있다. “굽는 냄새에 집나간 며느리가 돌아온다”든지 “맛있는 껍질로 싸먹는 쌈은 xx도 주지 않는다”든지 하는 얘기들의 주인공이 바로 임연수어이다. 이 고기는 1년 계속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겨울철 한류가 북쪽에서 내려올 때만 낚시에 걸려들기 때문에 낚시대상어로서의 정보는 그다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이름
물고기의 이름은 크기·형태·서식방법 등 여러 가지 요소의 특징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명명돼 왔지만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표준명은 찾아보기 힘들다. 임연수어는 옛날 임연수(林延壽)란 사람이 이 물고기를 잘 잡는다 해서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따서 임연수어(林延壽漁)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그 외 임연수어(臨淵水漁)· 이면수어(利面水漁)·이면수·이민수·새치(강릉)·청새치(어린 시기 청색을 띰)·가르쟁이 등이 있다. 학명은 Pleurogrammus azonus이고 속명은 그리이스어로 ‘몸의 측면’(pleura)과 ‘측선’(gramma)의 합성어이며, 임연수수어가 체측에 5개의 측선을 갖고있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 영명인 atka mackerel(아토카의 고등어)은 유명한 임연수어 어장인 알라스카 남부의 아토카섬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일본명은 홋케(ホツケ)로서 ‘북쪽의 고기’란 뜻에서 생겨났다는 설이 있다.

●특징
일반 경골어류들이 체측에 압력·촉감·수류·진동 등 외부 자극을 느끼는 측선을 한 줄씩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임연수어는 5줄의 측선을 가지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겉 모양은 방추형으로 쥐노래미와 유사하나 꼬리자루가 가늘고 꼬리지느러미가 깊이 두 갈래로 갈라진 가량이형이다. 눈의 위쪽에 2개, 그보다 위쪽뒤에서 2개의 작은 피질돌기가 있어 물속에서는 마치 귀를 쫑긋 세우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단순한 돌기에 지나지 않는다(물고기의 귀는 내이(內耳)만으로 되어 있어 밖에서는 볼 수 없다. 등지느러미는 머리 뒤에서 시작하여 꼬리지느러미 기저 앞쪽에서 끝나며 21개의 가시(棘)와 19개의 줄기로 이루어진다. 뒷지느러미는 27~32개 줄기로 된다.

●분표·분류
임연수어는 횟대목 (目)어류이며 쥐노리미상과(上科, Hexagrammicae), 쥐노래미과(科, Hexa agrammidae), 임연수어속(屬, Pleuragrammus)에 속하며 우리나라 임연수어속에는 1종만 기재되어 있다.(정, 1977). 우리나라 쥐노래미에는 쥐노래미·노래미·줄노래미와 임연수어 4종이 있는데 이중 임연수어와 가장 비슷한 종은 쥐노래미이다. 우선 쥐노래미는 부레가 퇴화하여 항상 바닥에 앉아 있으나 임연수어는 중층을 헤엄쳐 다니기도한다. 측선수는 두 종 모두 5줄이며, 두 종을 구별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꼬리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의 형태이다. 임연수어의 꼬리지느러미 윤곽은 가랑이형으로 깊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나 쥐노래미는 거의 일직선이며, 임연수어의 등지느러미 윤곽은 밋밋한 데 비해, 쥐노래미는 가운데 오목(凹)한 부분이 있다. 그 외 <표1>에서 볼 수 있듯이 뒷지느러미 줄기수나 옆줄비늘수(2번째)에 있어 임연수어가 쥐노래미보다 많다. 임연수어는 한류성어류로 우리나라 동해안 중부 이북, 일본 훗카이도, 오호츠크해, 북극, 남극 주변에 서식하고 있으며, 보통 수십 m의 수심층에 많지만 극지방에서는 150~500m의 깊은 수층에서 무리지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
임연수어는 찬물을 좋아하며 저서생활을 하고 근해 2~3마일 떨어진 수심150~200m인 바닥 암초지대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성어는 주로 표층수온이 5~12℃(서식수온 2~17℃)인 곳에 많이 출연하며 태어난지 2년이 지나 27~31cm정도 크기로 자라면 최초로 산란에 참여하게 된다. 산란기에 이른 암컷과 수컷은 체색변화로 구별할 수 있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은 암색 바탕에 황색 무늬가 나타난다. 반면 수컷은 바탕색이 코발트색을 띠며 체측에는 암컷보다 선명한 노랑색 무늬가 나타나고 꼬리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의 선단부가 검게 변한다. 이런 수컷의 체색 변화는 알을 보호하는 습성에서 생긴 것(보호색)으로 생각된다.

산란장은 수심이 6~40m정도이고 조류 소통이 좋으며 요철이 심한 암초 바닥이 되는데, 산란을 위하여 연안으로 접근할 때에는 암컷과 수컷이 떼를 지어 몰려오는데 산란이 가까워지면 암·수컷의 무리가 분리된다. 암컷은 큰 이동을 하지 않고 산란장의 중층에 머물고, 암컷보다 조금 일찍 산란장에 도착한 수컷들은 서로 흩어져 해저 부근에 머물면서 좋은 보금자리를 차지하기 위하여 격렬한 싸움을 벌인다. 이때 수컷들은 위협을 주기도 하며 때로는 서로의 눈을 빼내어 버리기도 하는데, 이 싸움으로 사망하기도 한다. 이런 격렬한 투쟁 과정을 거치면서 보금자리를 마련한 수컷은 배를 부풀려서 암컷을 유인하여 방란?방정을 하게 된다.

암컷은 산란 후 약 10분간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가슴과 배를 이용하여 알덩이를 안전한 암초 사이에 위치시켜 놓고는 떠나버린다. 수컷은 암컷이 떠난 후 알덩이를 지키게 되며 가끔 입을 크게 벌린 채 알덩이에 접근하는 행위로서 알에 신선한 물을 흘려주곤 한다. 갓 부화한 임연수어 새끼는 8~11mm로 비교적 큰 편이며 태어나자마자 표층에서 활발히 유영한다. 등쪽에는 흑색소와 황색소의 선이 머리에서 꼬리까지 이어지고 체측에는 4개의 선이 보인다. 20~30mm로 성장하면 각 지느러미가 완성되고 몸은 청록색을 띠면서 치어기(稚漁期)에 이르지만 아직 꼬리지느러미는 둥근 모양이다. 그 후 성장함에 따라 꼬리지느러미가 깊게 패인 형으로 바뀌고 8~9mm 크기가 되면 거의 성어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4~16cm 크기의 어린 시기는 표층에서 살아가며 이 시기의 체색은 쥐노래미?노래미의 표층 생활기와 마찬가지로 청록색을 띠고 있다. 이들은 근해의 표층에 널리 분포하며 야간에는 표층, 주간에는 표층에서 조금 아래로 이동한다. 만 1년후 몸이 갈색으로 변하고 무늬가 뚜렷해지면 수심 100M전후의 깊은 곳까지 내려가 바닥생활을 하게 된다.

●성장·식성
갓 태어난 임연수어는 다른 경골어류의 자어(仔漁)와 마찬가지로 소형 플랑크톤(요각류)를 주로 먹으며 성장함에 따라 입 크기에 맞는 곤쟁이류·단각류 등 동물성 플랑크톤 이외에도 게 유생과 까나리등 소형 어류 및 오징어류 등을 먹는다. 성어가 되면 정어리·전갱이·고등어·물고기 알·오징어·새우·곤쟁이·저서동물 등 주로 육식성 먹이를 먹는다. 특히 이들은 같은 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명태 치어나 조기류 치어를 많이.포식하기 때문에 산업종의 어족자원 보호 측면에서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대상종이다.

임연수어는 태어난지 1년 내에는 성장이 매우 빠르나 그후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1년 사이에 18~22cm로 자라는데 3살이 되면 28cm 전후, 3살에 32cm, 4살에 32cm 전후로 자라며, 이 성장은 개체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암컷이 수컷보다 평균적으로 약 1~2cm 정도 크며 수컷은 36cm이상으로 자라는 예가 드물다. 최고 연령은 7년 정도이며 60cm 전후까지 크는 개체도 있으나 최근에는 고령어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

●낚시
임연수어 낚시는 아직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일반화 되어있지 않다. 그것은 이 종이 차가운 물을 좋아하는 한류성 어종이기 때문에 그 분포해역이 주로 동해안 중부 이북 지방이 되며, 계절적으로도 겨울과 이른 봄철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아직 배낚시가 e시도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주로 삼척 이북지방의 방파제나 갯바위 부근, 물속여가 잘 발달된 곳에서 낚시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릴 던질 낚시도 시도되긴 하지만 민낚싯대를 이용한 찌낚시가 주류를 이룬다.

잘 낚이는 시간인 아침·저녁 특히 아침에 잘 되는데 동해안에서의 낚시가 모드 그러하듯이 임연수어낚시도 파도가 어느정도 있는 날에 잘 된다. 임연수어는 우리들에게 낚시보다 반찬용 생선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는 어종이지만 낚시어종이 그다지 다양하지 못한 동해안에서는 제한된 계절이나마 집중적으로 개발해 볼 가치가 있는 대상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임연수어는 살(가식부) 100g중에 수분이 70.3g, 단백질이 19.7g, 지방이 0.3g, 비타민A가 20IU이다(국립수산진흥원, 1989). 이런 성분을 보면 임연수어는 지방분이 지취보다 무려 30배, 쥐노래미보다 4.4배나 많고 , 비타민A역시 쥐노래미보다 약 3.8배나 많은 훌륭한 식품이라 할 수 있다.

<표1>임연수어와 쥐노래미의 비교
임연수어 표준명 쥐노래미
Pleurogrammus azonus 학명 Hexagrammos otakii
이민수, 새치, 청새치 방언 노래미, 게르치, 돌삼치
Atka mackerel 영명 grennling, rock trout
홋케(ホツケ) 일명 아이나메(アイナメ)
60~70cm 크기 50~60cm
  • 몸은 방추형이며 꼬리자루가 가늘고,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 윤곽이 깊이 패었다.
  • 등지느러미 윤곽에 凹부분이 없다
  • 회황색바탕에 5줄의 흑색띠가 세로로 그어져 있다.
  • 형태
  • 체형은 임연수어와 비슷하며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 윤곽이 거의 직선형이다.
  • 등지느러미 윤곽에 凹부분이 있다.
  • 체색은 서식장소에 따라 다양하며 황갈, 적갈색에 암갈색무늬가 있다.
  • 5줄 옆줄수 5줄
    동해, 일본북부, 북태평양 연안 서식
    분표
    연안암초지역, 전 연안(특히 서해안에 많다)
    12~2월 산란기 11~12월
    등지느러미(D), XXI019
    뒷지느러미(A), 27~32
    지느러미 D. XIX~XXZ, 21~23
    A. 21 ~ 23
    150개 이상 옆줄비늘수
    (2번째)
    100~110
    60개 전후 척추골수 50~52
    출처 : 일 묵 [一墨]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용치놀래기   (0) 2008.07.27
    [바다] 일곱동갈망둑   (0) 2008.07.27
    [바다] 자리돔   (0) 2008.07.27
    [바다] 자바리 / 다금바리   (0) 2008.07.27
    [바다] 전갱이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