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명 : 상어가오리 ●학명 : Raja porsa(R. kenojei) ●영명 : ray, skate ray ●일본명 : 간끼에이(ガンギエイ) ●방언 : 간재미·나무쟁이·홍어 바닷물고기는 분류학적으로 원구류(먹장어류), 연골어류(상어·가오리류) 와 경골어류(농어류 외)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물렁뼈로 이루어진 골격계 를 가진 연골어류는 크게 상어와 가오리 무리로 나뉜다. 상어류는 강한 이 빨과 성질이 흉폭한(일부 종) 것이 특징이다. 이와 달리 가오리 무리는 바 다 밑바닥에 점잖게 앉아 지내는 그룹이다. ●이름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가오리류는 대개 가오리·수구리·홍어 란 이름이 붙는다. 예를 들면 전기가오리·상어가오리·노랑가오리·눈가 오리·목탁수구리·동수구리·살홍어·홍어와 같다. 우리들이 어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은 상어가오리(일명 홍어)다. 대개 간재미·나무쟁이로 통하며 가오리·가부리·무러미 등 방언을 갖고 있다. 상어가오리의 학명은 Raja porosa이며(R. kenojei-국명 홍어-와 같은 종 으로 취급되기에 학명 재정리가 요구되는 종이다), 속명인 Raja는 라틴어 로 '가오리'란 뜻이다. 영명으로는 ray·skate이며, 일본에선 납작한 물고기란 뜻의 '에이(エイ)'로 불린다. 중국명은 요·어요어이다. ●특징 대개 물고기는 무늬를 보거나 살을 떼어내려 할 때 좌·우 측면을 생각케 된다. 가오리는 아래·위가 납작한 형이기에 예외다. 등·배쪽 또는 아래·위쪽으로 나누어 생각해야 하는 종편형의 몸을 갖는 게 특징이다. 이 러한 체형으로 인해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다. 아리스토텔레스의「박물지」에 쓰여진 가오리에 관한 글 중엔 "물고기들 은 대부분 암·수컷이 배와 배를 대고 교미하지만, 가오리는 수컷이 암컷의 등쪽에 올라탄 자세로 교미한다. 즉, 육상 동물과 같은 자세로 교미하는 흥 미로운 물고기다" 라고 표현돼 있다. 사실은 이 기록과 달리 가오리류는 암 컷과 수컷이 배를 붙이고 꼬리를 꼰 자세로 교미한다(<그림1> 참조). 아무튼 상어가오리류를 포함한 가오리류는 몸이 아래·위로 납작하면서 편편하다.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또는 사각형·오각형을 띠고 있다. 상어가 오리는 주둥이가 뾰족한 편이다. 살아 있을 때 체색이나 무늬 변이가 심하 다. 특히 등쪽의 좌우에 있는 둥근 타원형의 무늬는 안쪽에 점이 있는 놈, 없는 놈, 거의 무늬 자체가 없는 놈 등 개체간 변이가 매우 심하다. 따라 서 어설피 보면 다른 종으로 오해할 정도다. 살아 있을 때 등쪽은 황갈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체색보다 약간 짙은 흑갈색·회흑색 반점과 눈 모양의 무늬가 있다. 죽으면 이들 대부분이 없 어지고 커다란 타원형의 눈 모양 무늬만 남게 된다. 배쪽은 전체적으로 회 백색이다. 아가미 부근·배·꼬리엔 경계선이 뚜렷하지 않은 회갈색의 지 저분한 무늬가 있는 게 특징이다. 어린 상어가오리는 눈의 등쪽 언저리, 등의 중앙 부분, 꼬리 정중선에 비 교적 커다란 가시들이 있다. 이 가시 수는 성장하면서 증가한다. 꼬리엔 등 쪽과 옆 가장자리에 강한 가시열을 갖는다. 암수 모두 5열의 가시열을 갖고 있다(가시열의 수는 1, 3, 5열 등 개체간·암수간 변이가 매우 심한 편이다 <그림2참조>). 노랑가오리는 꼬리에 독(毒)을 가진 큰 가시가 1개(2∼3개인 경우도 있다)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분류·분포 가오리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31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열대·아열대·온대지방의 따뜻한 바다에 산다. 이 중 일부는 남아메리카 대륙 담수계에서 사는 종도 있다. 우리 나라에는 홍어목(目, Rajiformes)에 21종이 기재돼 있다. 이 중 가오리과(科, Rajidae)엔 8종이 알려져 있다(<표1>참조). <표1>에서 알 수 있듯 가오리과는 식탁에 오르는 종들 사이에도 아직 정 확한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분류군이다. 앞으로 학계에서부터 학명·표준 명·방언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예를 들면 상어가오리(R. porosa)와 홍어(R. kemojei, 일반 어시장의 '홍어 '라는 고급 어종이 아님)는 배의 회흑색 무늬와 꼬리의 가시열 수의 차이 (상어가오리는 암수 모두 5열, 홍어는 수컷이 1열·암컷이 3열) 등의 특징으 로 두 종이 구분돼 왔다. 최근 일본 학계에선 동일종으로 정리 보고되고 있다. 한편 '홍탁'으로 유명한 고급 어종이면서 우리나라 연안에선 거의 멸종 되다시피 알려진 홍어(표준명:눈가오리, R. pulchra)는 표준명이 홍어(R. remojei)인 종과 혼동되고 있는 실정이다(<표2>참조). 체형으로 보면, 상어가오리는 거의 사각형에 가깝다. 반면 눈가오리는 주 둥이 부분이 뾰족한 마름모꼴에 가까우며 노랑가오리는 오각형의 몸을 갖 고 있다(<그림2>참조). 최근에는 칠레나 중국산 가오리('홍어'로 유통됨)의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어 어시장에서 볼 수 있는 홍어·가오리류는 더욱 다 양해지고 있다. ●생태 상어가오리(홍어)는 겨울 동안 깊은 곳에서 지내다 봄이 오면 연안으 로 이동한다. 즉, 가을에 황해 북부에서 점차 연안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 며, 제주도 서쪽 해역에서 남부에 걸친 해역에서 월동한다. 봄이 오면 이 무리는 우리나라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회유 경로를 갖고 있다. 서식 수 심층은 대개 20∼80m다. 산란기는 가을에서 이듬해 봄까지로 11∼12월 사이에 집중된다. 생후 3년 이 되면 어미가 된다. 생식기가 되면 몸 속 하우의 난소 속에 7∼8개의 크 고 작은 알들이 섞여 나타난다. 이때 알은 매우 커서 지름이 20㎜에 이른다. 알은 수란관을 거쳐 내려가면서 난각선(卵殼腺)에서부터 분비되는 각질 의 난각으로 쌓여져 전형적인 가오리알의 형태를 갖춘다(<그림3>참조). 이 때 수컷의 생식기에서 교미행위에 의한 암컷 몸 속으로 들어온 정자와의 수정은 알이 난각선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몸 밖으로 내보여진 알(3∼5cm)은 이미 수정이 끝난 상태에서 발생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몸 밖으로 나온 알은 약 3∼8개월 사이에 부화한다. 부화할 때의 새끼는 체폭이 약 5cm이다. 이처럼 상어가오리는 독특한 생김새의 알을 낳지만, 가오리류 중에는 새 끼를 낳는 종도 많다. 우리나라 연안에 흔한 노랑가오리는 대표적인 난태 생어(卵胎生魚)다. 노랑가오리는 수컷이 30cm, 암컷이 50cm 전후에서 성숙한다. 분만기는 5∼8월경이고, 내만 모래바닥으로 이동해 와서 10마리 전후의 새끼를 낳는 다. 이 종의 경우 배속에서 부화한 새끼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난황을 흡수 하면서 일정기간 성장한 후 몸밖으로 나온다. 가오리는 넙치·가자미와 마찬가지로 모래바닥에 몸을 숨기고 살아간다. 이처럼 연안에서 만나기가 쉽지 않아 생태에 관한 자료는 많지 않은 편이다. ●식성·성장 상어가오리의 식성은 오징어·갯가재·게·새우류를 주로 먹 는 육식성이다. 수명은 약 6년으로 알려져 있다. 생후 1년만에 15∼22cm, 2 년만에 22∼38cm, 3년만에 28∼50cm로 자라고 최대 50cm 전후까지 성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낚시 상어가오리·노랑가오리·홍어 등 가오리를 취미삼아 낚는 이는 없을 것이다. 낚으려 해도 이들의 서식지가 비교적 먼 바다이고, 바닥에 숨어사는 습성으로 쉽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 수산 통계에 의하면 상어가오리의 경 우, 연간 낚시(延繩)로 잡아 올리는 량이 100t을 상회하고 있다(년간 2천∼3 천t 생산). 낚시 어구에 의한 어획도 상당한 량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연안에서 흔히 만나는 상어가오리(일명 간재미·나무쟁이)는 외줄낚시 에서 가끔 손님고기로 만날 수 있다. 이 종을 취급할 때는 꼬리의 강한 가시를 조심해야 한다. 만약 노랑가오리를 낚았을 때 꼬리에 있는 1∼3개의 독침에 찔리지 않도 록 해야 한다. 매우 강한 독을 가진 이 가시에 찔리면 사람에 따라 며칠씩 고통받기도 한다. 노랑가오리를 낚았을 때 요령은 다음과 같다. 발로 등을 누른 후 꼬리의 끝을 잡아들면 꼬리에서 가시가 일어선다. 이때 몸통 쪽에 서 손을 훑듯이 접근시켜 가시만 잡은 후 앞쪽으로 꺾어 당기면 떼어낼 수 있다(자신 없으면 경험자에게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오리류 역시 먹는 맛이 낚는 맛보다 앞선다. 잘 알고 있는 '홍탁'은 홍 어와 탁주가 잘 어울리는 일미로 알려졌다. 잘 삭힌(지방에 따라 삭히는 정 도에 차이가 있음) 홍어(눈가오리류)는 전라도지방의 특미로 취급된다. 또 남·서해안에서 많이 잡히는 노랑가오리는 가오리류 중 그 맛이 일품이다. 크든 작든 부드럽고 속 깊은 독특한 맛으로 미식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때 문인지 서해안지방에선 혼례식 잔치 음식으로 '홍어무침'을 빠뜨리지 않고 있다. 일본에선 노랑가오리 한 마리를 낚으면 '북해도(홋카이도)를 낚았다'고 한다. 이는 북해도 섬이 마치 노랑가오리처럼 생겼기 때문에 전해 내려오 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선 전라도지방의 홍어낚시가 알려져 있으나 최근엔 자원량 감 소로 거의 어업 자체가 없어진 실정이다. 우리나라 어시장에서 취급되는 홍 어·가오리는 '-마리'란 말보다 이들 몸 생김새가 종이같이 납작하기에 '한 장 두 장' 하면서 '-장'이란 단어를 흔히 쓰는 게 흥미롭다. 아무튼 낚시 주 대상어는 아니지만 살아 있는 상어가오리를 한 마리 낚으면 쫄깃하게 씹 히는 연골어류의 숨겨진 살맛을 진하게 느낄 수 있다. <표1>가오리과(科, kajidae)의 종명과 방언
* 학명은 「한국동물명집(한국동물분류학회, 1997)」을 따름. ** 어시장에서 '홍어'라고 불리는 종은 이 종이 대부분이다. *** 최근 같은 종으로 취급하기도 하여, 분류학적 재검토가 요구되는 종이다. <표2>상어가오리, 눈가오리 및 노랑가오리의 비교
|
출처 : | 일 묵 [一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