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여기 가섭원부여기
시조 해부루 재위 39년
을미 (B.C.86) 원년 왕은 북부여 때문에 지약을 받아 가섭원 혹은 분능(산동성부근)이라고도 하는 곳으로 옮겨서 살았다. 오곡이 다 잘 되었는데 특히 보리가 많았고 또 범.표범.곰.이리 따위가 많아서 사냥하기 편했다.
정유(B.C.84) 3년 국상 아란불(동부여 재상, 많은 문헌에 등장)에게 명하여 원근의 백성들을 널리 잘 먹여주고 따뜻하게 살 곳을 주며 또밭을 주어 경작하게 하니 몇해 안되어 나라는 풍부해지고 백성들은 풍족해 졌다. 때에 필요할 때 마다 비가 내려 분능을 기름지게 하는지라, 백성들이 왕에게 정춘의 노래를 지어 불렀다.
임인 8년(B.C.79) 앞서 하백녀 유화부인이 나들이를 나갔는데 부여의 황손 고모수가 유혹하더니, 강제로 압록강변의 어떤 집에서 자기 멋대로 하여 버리고는 고모수는 승천하여 돌아오지 않았다. 유화의 부모는 유화가 무모하게 고모수를 따라 갔음을 책말하여 마침내 구석 방에 딸을 가두어 버렸다. 고모수는 본명이 불리지이며 혹은 고진의 손자라고도 한다. 왕께서는 유화를 이상히 여겨 수레를 같이 타고 궁으로 돌아와 깊숙한 곳에 가두어 버렸다. 그해 5월 5일 유화부인은 큰 알 하나를 낳으니 한 사내 아이가그 껍질을 깨고 나왔다. 이름은 고주몽이라 불렀는데 생김새가 뛰어났으며 나이 7세에 저 혼자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에선 활 잘 쏘는 것을 일컬어 주몽이라 하므로 이로써 이름으로 불렀다.
갑진 10년(B.C.77) 왕은 늙도록 아들이 없어 어느날 산천에 제사지내고 아들 있기를 빌었더니 타고 있던 말이 곤연에 이르자 큰 돌을 마주보고 눈물을 흘렸다. 왕은 이를 이상히 여겨 사람들을 시켜 큰 돌을 굴리게 하였더니 어린애가 있었는데 금색의 개구리 모양이더라. 왕은 몹시 기뻐하며 "이 아이야말로 하늘이 나에게 내리신 아기로다."라고 하시며 곧거두어 기르니, 이름을 금와라 하고 장성케하매 태자로 책봉하였다.
임술 28년(B.C.59) 나라 백성들이 고주몽을 가리켜 나라에 이로움이 없는 인물이라 하여 그를 죽이려 했다. 고주몽은 어머니 유화부인의 명을 받들어 동남쪽으로 도망하여 엄리대수를 건너 졸본천에 이르러, 이듬해 새나라를 세우니 이것이 고구려의 시조가 된다.계유 39년(B.C.48) 왕이 죽고 태자 금와가 즉위하다.
2세 금와 재위 41년
갑술 원년(B.C.47)왕이 사신을 보내 고구려에 특산물을 바쳤다.정유 24년(B.C.24)유화 부인이 돌아 가셨다. 고구려는 호위병 수만으로 졸본으로 모셔와 장사지냈는데 황태후의 예로써 억지로 산 같은 능을 만들고 곁에 묘사를 짓게 하였다.갑인 41년(B.C.7년) 왕이 돌아가시니 태자 대소가 즉위 하였다.
3세 대소 재위 28년
을묘 원년 (B.C.6) 봄 정월에 왕은 사신을 고구려에 보내 국교를 청하고자 왕자를 인질로 삼고자 하였다. 고구려의 열제가 태자 도절로써 인질을 삼으려 하였으나 도절이 가지 않으매 왕이 그를 꾸짖었다. 겨울 10월 병력 5만을 이끌고 가서 졸본성을 침략하였으나 큰 눈이 와서 많은 동사자만 내고는 퇴각하였다.계유 19년(A.D.13)왕께서는 고구려를 침략하였는데 학반령밑에 이르르자 복병을 만나 크게 패하였다.
임오 28년(A.D.22) 2월 고구려가 나라의 힘을 다시 모아서 침범해오니 왕은 몸소 무리를 이끌고 출전하였는데, 진흙탕을 만나 왕의 말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을때에 고구려 대장군 괴유가 바로 앞에서 있다가 살해하였다. 그래도 부여군은 굴하지않고 여러 겹으로 포위 하였는데 큰안개가 7일 동안이나 계속되니 고구려 열제는 몰래 병사를 이끌고 밤에 탈출하여 사잇길을 따라 도망쳐 달아나 버렸다.여름 4월 왕의 동생은 따르는 무리 수백인을 데리고 길을 떠났는데 압록곡에 이르러, 해두왕이 사냥 나온 것을 보고는 그를 죽이고 그 백성들을 취하였고, 그 길로 갈사수의 변두리를 차지하고는 나라를 세워 왕이라 칭하니 이를 갈사(길림성 부근)라 한다. 갈사는 태조 무열제의 융무 16년 8월에 이르렀을 때, 도두왕이 고구려가 날로 강해짐을 보고 마침내 나라를 들어 항복하니, 대저 3세 47년 만에 나라가 망했다. 고구려는 도두를 우대라고 부르도록 하고 저택을 하사하시니, 혼춘을 식읍으로 삼게 하여 동부여후에 봉하였다.
가을 7월 왕의 친척 동생이 여러 사람들에게, "선왕께서는 시해 당하시고 나라는 망하여 스스로 나라를 이루기 어렵고,나 또한 재능과 지혜가 부족하여 나라를 새롭게 일으킬 수가 없으니 차라리 항복함으로써 살기를 도모하리라" 하고 옛 도읍의 백성 만여명을 데리고 고구려에 투항하니, 고구려는 그를 봉하여 왕으로 삼고 연나무에 안치하였다. 그의 등에 떼와 같은 무늬가 있었던 까닭에 낙씨의 성을 하사하였는데 뒤에 차츰 자립하여 개원 서북으로부터 옮겨가 백랑곡에 이르니 바로 연 나라의 땅에 가까운 곳이었다. 문자열제의 명치갑술(A.D.494)에 이르러 나라를 들어 고구려의 연나부에 편입하니, 낙씨는 마침내 제사조차 끊겼다.
출처 : | 이선생의 블로그 | ||
'고 서적 , 역사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단고기 20. 태백일사(삼신오제본기 2) (0) | 2007.12.30 |
---|---|
한단고기 19. 태백일사(삼신오제본기 1) (0) | 2007.12.30 |
한단고기 17. 북부여기 (0) | 2007.12.30 |
한단고기 16. 단군세기(47세 단군 고열가 재위58 ) (0) | 2007.12.30 |
한단고기 15. 단군세기(41세 단군 - 46세 단군 ) (0) | 2007.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