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창포

영지니 2008. 1. 14. 23:30



창포(향포.왕창포)


 學名:Acorus   asiatcus NAKAI  [천남성科]


 

 

특징

 물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온몸에서 향긋하고 시원스런 향내를 풍긴다.

굵고 긴뿌리줄기根莖)를 가지고 있으며 빛깔은 적갈색이고 많은 마디가 있다,


)

 길쭉한 칼과 같은 생김새의 잎이 뭉쳐서 자라며 높이 60~90cm에 이른다.

 평행된 잎맥을 가지고 있는데 자리한 잎맥이 두드러지게 눈에 뜨인다.

 잎의 밑동은 서로 감싸는 상태로 겹쳐져 있다.

 

꽃대는 잎과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간부에 꽃이 뭉쳐 피어나  원기둥 꼴의 꽃차례가 생겨난다.

꽃차례의 길이는 5cm안팎이고 굵기는6~12mm정도 된다.

꽃차례의 빛깔은황록빛이다.

 

잎은 선잎이고 잎이나 뿌리가 냄새가 나고 꽃은 화려하지 않음

-냄새가 나지 않은 것은 꽃창포임

 

 

개화기→6월~7월

 

분포

 제주도를 비슷한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물가에 난다.

 

藥用 (약용) ()

생약명==

 

菖蒲 (창포) , 白菖 (백창) , 水菖 (수창) , 莖蒲 (경포) , 水菖蒲 (수창포) 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뿌리줄기를 약재로 쓴다

 

 단오때 잎은 끊여 머리를 감으면 리결이 고와지고 비듬이 없어진다.


채취와조제

8~10월사이에 언제든지 굴취하여 잔뿌리는 따버리고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햇볕에 잘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성분

피넨(Pinen), 캄펜(Camphen), 캄퍼(Campher), 칼라메놀(Calamenol) 등을 함유한 정유와 배당체인 아코린(Akorin)이 들어 있다.


  

 


藥效 (약효) == 健胃 (건위) ,진정,진경, 거담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으로는 소화불량,설사,간질병,驚悸(놀라고 두려워서 마음이 몹시 두근거리는 증세),건망증, 정신불안, 기침,기관지염,악성종기,옴등이다.



사용법

악성종기나 옴의 경우에는 약재를 달인 물로 환처를 닦아 내거나 또는 곱게가루로 빻은 것을 기름으로 개어서 바른다.

그 이외의 내과적인 질환에 대해서는 말린 약재를 1회에 1~3g씩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또는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이용 방안

잎이 시원스럽고 특이한 녹색으로 관상가치가 높으므로 연못 주변에 식재하여 조경용 식물로 이용하면 좋다.


잎에는 특이한 향기가 있어 욕실용 향수나 입욕제, 화장품, 비누 등에 이용한다.


근경을 白菖백창이라 하며 약용한다.



1  연중 채취 가능하나 8~10월에 채취한 것이 良品 양품이다.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근경(건조품)에는 精油 정유, tannin, 비타민 C, 녹말, palmitin 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3  약효: 化痰 화담, 開窮 개궁, 健脾 건비, 利濕 이습의 효능이 있다.

癲癎 전간, 驚悸健忘 경계건망, 神志不淸 신지불청, 설사 이질, 류머티성 疼痛 동통 癰腫 옹종, 疥瘡 개창 등을 치료한다.


유사종

석창포 ( A. gramineus Solander) :

남부 지방 계곡의 냇가 습기 있는 바위에 붙어 자란다.



특징

예전에는 민가 주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었으나 경지정리 및 제초제의 사용으로 희귀식물화하였다.

속명에서 희랍어의 "a(부정의 접두어)" 와 " coros(장식)" 의 합성어로 꽃의  관상가치가 없다는 뜻이다.

특이한 향을 내는 방향성 식물이다.

꽃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석창포 石菖蒲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석창포의 뿌리이다.

창포 Acorus calamus L. 의 뿌리를 대신 약용하며. 무늬석창의 뿌리는 약용하지 않는다.




성미

辛, 溫



효능

開竅安神, 化濕和胃



해설

1  방향성 정유는 담탁 痰濁 으로 정신과 의지가 혼란해지는 증상에 유효하다.


2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고, 건망과 불면증 및 귀에서 소리가 나며 농(膿)이 흐르는 데도 쓰인다.


3  비위 脾胃의 정체된 습기를 제거하므로 흉복부 창만 가슴답답증, 동통 및 입안이 쓰고 설태가 끼는 데도 효력을 나타낸다.


4  인후염, 성대 부종으로 음성이 변화된데 활용되고,


5  풍습성사지마비동통, 종기, 옴, 버짐 및 타박상에도 응용된다.




임상 보고

1  전간 癲癎에 유효성을 보였고


2  폐색성뇌질환에서 의식 장애, 정신신경증이 경감되거나 소실되었다.


3  만성 폐색성 폐부 질환에도 유효하였으며


4  어린아이의 지력 저하 증상에 대뇌 반응 기능 개선, 사유 및 분석 능력 작용을 향상시켰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고초(꿀풀)  (0) 2008.01.14
약초 독초 혼동하지마세요  (0) 2008.01.14
메밀,메밀의 효능  (0) 2008.01.14
용담초  (0) 2008.01.14
질경이  (0) 2008.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