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독초 혼동하지 마세요" |
“산행시 독초 조심하세요.” 뒤 지리산 을 비롯해 덕유산, 가야산 등 경남도내 주요 명산에 등산객과 산 나물 채취꾼의 행렬이 잇따르자 ‘독초주의보’가 내려지고 있다 . 또 농촌체험관광의 하나로 크고 작은 ‘산나물 채취행사’가 열리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먹는 중독사 고가 잇따르고 있다. 매년 잘못 먹은 독초나, 식용할 수 없는 버 섯을 먹고 생명을 잃는 일도 빈번하다. 지리산 인근의 함양군과 ‘함양군 안의면 상월리 소재 경남도약 초재배기술연구소 등 관련기관은 독초 중독사고를 사전에 막기 위해 각종 독초견본을 공개하는 등 경각심을 고취하고 나섰다.
연구소측은 이곳 산에서 흔히 발견되는 산나물과 비슷한 지리강 활, 은방울꽃, 박새, 족도리풀, 냉초 등 독초 20여종을 일반인들 에게 선보이고 독초와 산나물을 구별하는 방법을 널리 알리고 있다.
방문객들이나 지나가는 등산객, 산나물 채취꾼 들을 상대로 산나 물과 독초, 야생약초 등을 쉽게 구별하는 설명회도 갖고 있다.
정은호(40) 연구사는 “지리산과 덕유산 등지에 자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독초는 지리강활과 은방울꽃”이라며 “강활은 산나물 인 구릿대와 유사하고, 은방울꽃은 산나물인 산마늘과 매우 비슷 해 이를 잘못 알고 먹어서 중독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철 저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또 식용 산나물인 참당귀와 식중독을 유발하는 개당귀를 혼동하 는 경우도 흔하다.
잔대순의 경우도 독성을 가진 냉초와 매우 닮 아 자칫 전문 산나물 채취꾼과 산촌주민들조차 헷갈리는 사례가 잦다.
구릿대와 비슷한 강활은 줄기 부분이 마디마디 꺾여 있고 잎은 4 ~5㎝크기 겹잎으로 타원형에 가까운 둥근모양이며 끝부분은 뾰족 한 톱니처럼 생겼다.
강활의 경우 최고 2m까지 자라며 잎을 산나물로 착각하고 먹으면 중독사고를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다.
연구소측은 산나물과 독초 등 300여종의 각종 야생식물 시범포를 조성, 등산인이나 학생, 일반인들이 독초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함양군 농업기술센터도 식용산나물과 독초를 구분할 수 있도록 야생식물 화분 300여개를 전시하고 있다. 농업기술센터 약초개발담당 하종희(47)씨는 어려“산나물과 독초를 육안으로 구별하기 울 때는 잎을 따서 혀끝에 대 아린 맛이 나는지 파악하거나 즙을 팔목에 한방울 떨어뜨려보면 된다”며 “이 때 바로 피부가 부풀어 오르면 독초”라고 설명했다. 일부 야생식물은 어린 순은 먹을 수 있지만 잎이 자라면서 독초가 되 는 경우도 적지않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이라는 것. 독초는 대개 잎 등이 깨끗하며 혀끝이 타는 듯한 자극이 있으나 먹을 수 있는 식물은 벌레가 먹은 흔적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 의 분석이다.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잘못 먹고 중독됐을 경우 에는 재빨리 입안에 손가락을 넣고 위 속의 내용물을 토해낸 뒤 따뜻한 물을 먹이는 응급처치를 하고 의사를 찾아야 한다.
내과 전문의들은 “독초를 잘못 먹었을 경우 어지럼증이나 구토, 전신마비 현상이 나타나 즉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사망할수 있 으므로 사고 즉시 인근 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 히고 있다. |